빅데이터로 침수 피해 3시간 전 미리 알고 막는다

입력 2019.08.06 (21:23) 수정 2019.08.07 (09: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폭우가 내리면 이어지는 침수 피해,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침수되기 3시간 전부터 구체적인 피해 지역과 정도까지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됐다고 하는데, 자세한 내용, 정아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여름 폭우로 침수 피해가 컸던 대전시 전민동, 단 2시간 만에 100mm가 넘는 비가 쏟아져 도로 곳곳이 물에 잠겼습니다.

[김윤희/회사원 : "(당시에) 물이 허벅지까지 차고 기류가 너무 심해서..차들도 물에 빠져서 못 움직였거든요."]

강수량이 같아도 유독 이 지역만 침수가 더 잦은 이유는 뭘까?

땅의 경사도와 건물 높낮이 정보, 하수관과 맨홀 지도까지,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한데 모아 슈퍼컴퓨터로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특히 맨홀 배수 효율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효율성이 원래보다 절반 이하로 떨어진 겁니다.

빅데이터 분석에 인공지능의 기상예보 분석까지 더해지면, 침수 지역과 피해 규모를 3시간 전부터 예측해냅니다.

특정 개인의 집 앞 도로에 어른 허리 정도 침수 예정'처럼 맞춤형 침수 정보를 제공합니다.

[장동민/KISTI 공학박사 : "주차된 차량이나 반지하 거주하는 사람이나 취약 인구에게 사전에 정보를 안내함으로써 인명 혹은 재산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침수에 뾰족한 대책이 없던 자치단체로서는 보다 정밀한 도시 정비계획을 세워 실시간 대응과 예방이 가능해진 겁니다.

[시현정/인천시 스마트도시과장 : "상습 지역에 대해서는 관로나 이런 데이터를 비교해서 바꿀 때 우선순위를 두고 교체할 수 있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특히 다음달부터 연구데이터 관리 관련법 개정으로 국가 차원의 공공 빅데이터 활용 사업이 본격화되면 과학으로 재난에 대처하는 방안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정아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빅데이터로 침수 피해 3시간 전 미리 알고 막는다
    • 입력 2019-08-06 21:25:29
    • 수정2019-08-07 09:30:51
    뉴스 9
[앵커] 폭우가 내리면 이어지는 침수 피해,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침수되기 3시간 전부터 구체적인 피해 지역과 정도까지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됐다고 하는데, 자세한 내용, 정아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여름 폭우로 침수 피해가 컸던 대전시 전민동, 단 2시간 만에 100mm가 넘는 비가 쏟아져 도로 곳곳이 물에 잠겼습니다. [김윤희/회사원 : "(당시에) 물이 허벅지까지 차고 기류가 너무 심해서..차들도 물에 빠져서 못 움직였거든요."] 강수량이 같아도 유독 이 지역만 침수가 더 잦은 이유는 뭘까? 땅의 경사도와 건물 높낮이 정보, 하수관과 맨홀 지도까지,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한데 모아 슈퍼컴퓨터로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특히 맨홀 배수 효율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효율성이 원래보다 절반 이하로 떨어진 겁니다. 빅데이터 분석에 인공지능의 기상예보 분석까지 더해지면, 침수 지역과 피해 규모를 3시간 전부터 예측해냅니다. 특정 개인의 집 앞 도로에 어른 허리 정도 침수 예정'처럼 맞춤형 침수 정보를 제공합니다. [장동민/KISTI 공학박사 : "주차된 차량이나 반지하 거주하는 사람이나 취약 인구에게 사전에 정보를 안내함으로써 인명 혹은 재산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침수에 뾰족한 대책이 없던 자치단체로서는 보다 정밀한 도시 정비계획을 세워 실시간 대응과 예방이 가능해진 겁니다. [시현정/인천시 스마트도시과장 : "상습 지역에 대해서는 관로나 이런 데이터를 비교해서 바꿀 때 우선순위를 두고 교체할 수 있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특히 다음달부터 연구데이터 관리 관련법 개정으로 국가 차원의 공공 빅데이터 활용 사업이 본격화되면 과학으로 재난에 대처하는 방안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정아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