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지 않는 ‘아이스팩’…재사용하기도 어려워

입력 2019.08.09 (12:31) 수정 2019.08.09 (12: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신선식품 배송이 늘면서 아이스팩 사용도 급증하고 있는데요 다 쓴 아이스팩 처리가 난감한 환경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소각장에서 태워도 타지 않고, 잘 썩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아이스팩을 버리지 않고 재사용하는 게 최선이지만 뒷받침할 대책은 부실합니다.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쓰고 버린 아이스팩을 가위로 잘라봤습니다.

투명한 젤 형태의 '고흡수성 폴리머'가 쏟아져 나옵니다.

정부 권고대로 종량제 봉투에 넣어 버리면 쓰레기 소각장에서 태우게 됩니다.

묻어도 잘 썩지 않는 고흡수성 폴리머, 태우면 잘 분해될까?

실험을 해봤습니다.

[김용곤/연구소 관계자 : "현재 1,300도 되는 열로 계속 가열하고 있는데 5분 정도 지난 현 상황에서도 불에 타진 않고요."]

자기 무게의 500배에 달하는 수분을 머금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특성 탓에 뜨거울 열에도 잘 타지 않는 겁니다.

소각장에서 타지 않으면 결국 찌꺼기로 땅에 묻혀 고스란히 토양 오염의 원인이 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재사용입니다.

일부 유통업체와 자치단체가 사회공헌 차원에서 수거하는데 아직은 그 양이 미미합니다.

[윤두석/홈쇼핑 편성마케팅팀 : "오히려 한 달에 한 번 오는 게 너무 부족하다, 더 횟수를 늘려줬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고. '왜 우리 단지는 같이 안 하느냐'고 하면서..."]

어렵사리 수거를 해와도 문제는 또 있습니다.

유통업체가 다시 쓸 수 있게 보내려 해도, 크기나 포장재질이 제각각이고 겉에 업체명까지 쓰여 있으니 재사용을 꺼리는 업체가 많습니다.

[재활용업체 관계자 : "이게 아무래도 특정 메이커가 있는 아이스팩들이 많은 경우라서 타 업체로 보내도 이걸 재사용하기가 힘든 상황이고."]

환경부는 아이스팩 사용량과 재활용 실태에 대한 기본 현황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우원식/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 : "전혀 현황 파악이 안 되고 있는 거예요. 생산되는 양은 굉장히 많으면서 전혀 이 문제의 심각성을 파악하고 있지 못한 게 큰 문제입니다."]

정부가 손을 놓은 사이 사용이 급증한 아이스팩은 애물단지가 돼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타지 않는 ‘아이스팩’…재사용하기도 어려워
    • 입력 2019-08-09 12:34:05
    • 수정2019-08-09 12:43:01
    뉴스 12
[앵커]

요즘 신선식품 배송이 늘면서 아이스팩 사용도 급증하고 있는데요 다 쓴 아이스팩 처리가 난감한 환경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소각장에서 태워도 타지 않고, 잘 썩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아이스팩을 버리지 않고 재사용하는 게 최선이지만 뒷받침할 대책은 부실합니다.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쓰고 버린 아이스팩을 가위로 잘라봤습니다.

투명한 젤 형태의 '고흡수성 폴리머'가 쏟아져 나옵니다.

정부 권고대로 종량제 봉투에 넣어 버리면 쓰레기 소각장에서 태우게 됩니다.

묻어도 잘 썩지 않는 고흡수성 폴리머, 태우면 잘 분해될까?

실험을 해봤습니다.

[김용곤/연구소 관계자 : "현재 1,300도 되는 열로 계속 가열하고 있는데 5분 정도 지난 현 상황에서도 불에 타진 않고요."]

자기 무게의 500배에 달하는 수분을 머금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특성 탓에 뜨거울 열에도 잘 타지 않는 겁니다.

소각장에서 타지 않으면 결국 찌꺼기로 땅에 묻혀 고스란히 토양 오염의 원인이 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재사용입니다.

일부 유통업체와 자치단체가 사회공헌 차원에서 수거하는데 아직은 그 양이 미미합니다.

[윤두석/홈쇼핑 편성마케팅팀 : "오히려 한 달에 한 번 오는 게 너무 부족하다, 더 횟수를 늘려줬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고. '왜 우리 단지는 같이 안 하느냐'고 하면서..."]

어렵사리 수거를 해와도 문제는 또 있습니다.

유통업체가 다시 쓸 수 있게 보내려 해도, 크기나 포장재질이 제각각이고 겉에 업체명까지 쓰여 있으니 재사용을 꺼리는 업체가 많습니다.

[재활용업체 관계자 : "이게 아무래도 특정 메이커가 있는 아이스팩들이 많은 경우라서 타 업체로 보내도 이걸 재사용하기가 힘든 상황이고."]

환경부는 아이스팩 사용량과 재활용 실태에 대한 기본 현황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우원식/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 : "전혀 현황 파악이 안 되고 있는 거예요. 생산되는 양은 굉장히 많으면서 전혀 이 문제의 심각성을 파악하고 있지 못한 게 큰 문제입니다."]

정부가 손을 놓은 사이 사용이 급증한 아이스팩은 애물단지가 돼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