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日 백색국가 제외’ 다음 달 시행…“긴밀 공조 어렵다”
입력 2019.08.13 (06:05)
수정 2019.08.13 (06: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 정부도 일본을 수출우대국 백색국가에서 제외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히고 다음달 중에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원칙에 맞지 않게 국제수출통제제도를 운영하는 나라와는 긴밀한 공조가 어렵다며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서재희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일본은 우리나라에서 전략물자를 수입할 때 우대를 받습니다.
4대 국제 수출통제체제에 모두 가입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일본이 제도를 원칙대로 운영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1996년 4월 7일 KBS뉴스9 : "일본 경찰은 북한의 이 사린(독가스) 원료를 밀수출한 혐의로..."]
1996년, 일본에서 북한으로 독가스 원료가 밀수출 됐습니다.
지난달엔 3개 소재 수출을 제한해 '정상적 민간거래를 저해하지 않도록 한다'는 바세나르 체제 원칙을 어겼다고 봤습니다.
[성윤모/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부적절한 운영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국가와는 긴밀한 국제공조가 어려우므로 이를 감안한 수출통제제도의 운영이 필요합니다."]
이에따라 정부는 일본을 수출우대국에서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가'지역을 1과 2로 나눠 일본만 '가의 2'에 넣기로 했습니다.
개별허가 서류도 늘고 심사기간은 최대 3배 늘어납니다.
사용자포괄허가도 예외적으로만 허용돼 비우대국 수준으로 통제됩니다.
[박태성/산업부 무역투자실장 : "바세나르 체제와 같은 그런 국제 협약상의 원칙을 준수하면서 우리가 지금 제도를 변경하는 것입니다."]
정부는 내일 고시 개정안을 행정예고하고 의견수렴과 법제처 심사등을 거쳐 다음달 중에 시행합니다.
그러나, 일본의 협의 요청이 오면 언제 어디서든 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서재희입니다.
우리 정부도 일본을 수출우대국 백색국가에서 제외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히고 다음달 중에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원칙에 맞지 않게 국제수출통제제도를 운영하는 나라와는 긴밀한 공조가 어렵다며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서재희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일본은 우리나라에서 전략물자를 수입할 때 우대를 받습니다.
4대 국제 수출통제체제에 모두 가입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일본이 제도를 원칙대로 운영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1996년 4월 7일 KBS뉴스9 : "일본 경찰은 북한의 이 사린(독가스) 원료를 밀수출한 혐의로..."]
1996년, 일본에서 북한으로 독가스 원료가 밀수출 됐습니다.
지난달엔 3개 소재 수출을 제한해 '정상적 민간거래를 저해하지 않도록 한다'는 바세나르 체제 원칙을 어겼다고 봤습니다.
[성윤모/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부적절한 운영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국가와는 긴밀한 국제공조가 어려우므로 이를 감안한 수출통제제도의 운영이 필요합니다."]
이에따라 정부는 일본을 수출우대국에서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가'지역을 1과 2로 나눠 일본만 '가의 2'에 넣기로 했습니다.
개별허가 서류도 늘고 심사기간은 최대 3배 늘어납니다.
사용자포괄허가도 예외적으로만 허용돼 비우대국 수준으로 통제됩니다.
[박태성/산업부 무역투자실장 : "바세나르 체제와 같은 그런 국제 협약상의 원칙을 준수하면서 우리가 지금 제도를 변경하는 것입니다."]
정부는 내일 고시 개정안을 행정예고하고 의견수렴과 법제처 심사등을 거쳐 다음달 중에 시행합니다.
그러나, 일본의 협의 요청이 오면 언제 어디서든 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서재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도 ‘日 백색국가 제외’ 다음 달 시행…“긴밀 공조 어렵다”
-
- 입력 2019-08-13 06:07:11
- 수정2019-08-13 06:15:53
[앵커]
우리 정부도 일본을 수출우대국 백색국가에서 제외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히고 다음달 중에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원칙에 맞지 않게 국제수출통제제도를 운영하는 나라와는 긴밀한 공조가 어렵다며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서재희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일본은 우리나라에서 전략물자를 수입할 때 우대를 받습니다.
4대 국제 수출통제체제에 모두 가입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일본이 제도를 원칙대로 운영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1996년 4월 7일 KBS뉴스9 : "일본 경찰은 북한의 이 사린(독가스) 원료를 밀수출한 혐의로..."]
1996년, 일본에서 북한으로 독가스 원료가 밀수출 됐습니다.
지난달엔 3개 소재 수출을 제한해 '정상적 민간거래를 저해하지 않도록 한다'는 바세나르 체제 원칙을 어겼다고 봤습니다.
[성윤모/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부적절한 운영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국가와는 긴밀한 국제공조가 어려우므로 이를 감안한 수출통제제도의 운영이 필요합니다."]
이에따라 정부는 일본을 수출우대국에서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가'지역을 1과 2로 나눠 일본만 '가의 2'에 넣기로 했습니다.
개별허가 서류도 늘고 심사기간은 최대 3배 늘어납니다.
사용자포괄허가도 예외적으로만 허용돼 비우대국 수준으로 통제됩니다.
[박태성/산업부 무역투자실장 : "바세나르 체제와 같은 그런 국제 협약상의 원칙을 준수하면서 우리가 지금 제도를 변경하는 것입니다."]
정부는 내일 고시 개정안을 행정예고하고 의견수렴과 법제처 심사등을 거쳐 다음달 중에 시행합니다.
그러나, 일본의 협의 요청이 오면 언제 어디서든 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서재희입니다.
우리 정부도 일본을 수출우대국 백색국가에서 제외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히고 다음달 중에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원칙에 맞지 않게 국제수출통제제도를 운영하는 나라와는 긴밀한 공조가 어렵다며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서재희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일본은 우리나라에서 전략물자를 수입할 때 우대를 받습니다.
4대 국제 수출통제체제에 모두 가입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일본이 제도를 원칙대로 운영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1996년 4월 7일 KBS뉴스9 : "일본 경찰은 북한의 이 사린(독가스) 원료를 밀수출한 혐의로..."]
1996년, 일본에서 북한으로 독가스 원료가 밀수출 됐습니다.
지난달엔 3개 소재 수출을 제한해 '정상적 민간거래를 저해하지 않도록 한다'는 바세나르 체제 원칙을 어겼다고 봤습니다.
[성윤모/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부적절한 운영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국가와는 긴밀한 국제공조가 어려우므로 이를 감안한 수출통제제도의 운영이 필요합니다."]
이에따라 정부는 일본을 수출우대국에서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가'지역을 1과 2로 나눠 일본만 '가의 2'에 넣기로 했습니다.
개별허가 서류도 늘고 심사기간은 최대 3배 늘어납니다.
사용자포괄허가도 예외적으로만 허용돼 비우대국 수준으로 통제됩니다.
[박태성/산업부 무역투자실장 : "바세나르 체제와 같은 그런 국제 협약상의 원칙을 준수하면서 우리가 지금 제도를 변경하는 것입니다."]
정부는 내일 고시 개정안을 행정예고하고 의견수렴과 법제처 심사등을 거쳐 다음달 중에 시행합니다.
그러나, 일본의 협의 요청이 오면 언제 어디서든 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서재희입니다.
-
-
서재희 기자 seojh@kbs.co.kr
서재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