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가전제품 화재 잇따라…원인은 내부 쌓인 먼지 탓
입력 2019.09.28 (06:37)
수정 2019.09.30 (09: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노후 가전제품에서 불이 나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내부에 쌓인 먼지가 습기를 머금을 때 전기가 흐르면서 불꽃이 튀는 트래킹 현상 때문이라고 합니다.
성용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가재도구가 모두 불타 잿더미가 됐습니다.
지난달 말 대전시 구암동의 한 주택 김치냉장고에서 불이 나 집 내부까지 태우고 30분 뒤에 꺼졌습니다.
앞서 대전의 또다른 아파트에서도 냉장고에서 난 불로 4백80만 원의 피해가 났습니다.
모두 오래된 제품 내부에 쌓인 먼지가 원인이었습니다.
노후 가전제품에서 어떻게 불이 나는 지 실험했습니다.
회로 기판에 쌓인 먼지에 물방울을 떨어뜨리자 불꽃이 튀면서 순식간에 먼지가 타들어 갑니다.
같은 상태인 김치냉장고에도 전기를 흘려보내자 금세 시커먼 연기가 피어오르더니 불길이 치솟습니다.
전기를 흘려보낸 김치냉장고 전체에 불길이 번지는 데는 채 3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한용식/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 "먼지와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전기가 인가되면 주변의 절연물질들을 탄화시키는 트래킹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것이 전기적으로 발화를 일으키는 (원인입니다)."]
실제 최근 3년간 가전제품 화재는 대전에서만 87건으로 제작연도가 확인된 41건 중 10년 넘은 제품이 39건이나 됩니다.
[이종섭/대전둔산소방서 화재조사팀장 : "가전제품 내부 습기, 먼지 제거 청소를 한 다음 안전점검을 받은 후 사용하는 것이 전기 화재 취약 요소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10년이 넘은 제품은 별다른 고장이 없더라도 제조사에 점검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노후 가전제품에서 불이 나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내부에 쌓인 먼지가 습기를 머금을 때 전기가 흐르면서 불꽃이 튀는 트래킹 현상 때문이라고 합니다.
성용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가재도구가 모두 불타 잿더미가 됐습니다.
지난달 말 대전시 구암동의 한 주택 김치냉장고에서 불이 나 집 내부까지 태우고 30분 뒤에 꺼졌습니다.
앞서 대전의 또다른 아파트에서도 냉장고에서 난 불로 4백80만 원의 피해가 났습니다.
모두 오래된 제품 내부에 쌓인 먼지가 원인이었습니다.
노후 가전제품에서 어떻게 불이 나는 지 실험했습니다.
회로 기판에 쌓인 먼지에 물방울을 떨어뜨리자 불꽃이 튀면서 순식간에 먼지가 타들어 갑니다.
같은 상태인 김치냉장고에도 전기를 흘려보내자 금세 시커먼 연기가 피어오르더니 불길이 치솟습니다.
전기를 흘려보낸 김치냉장고 전체에 불길이 번지는 데는 채 3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한용식/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 "먼지와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전기가 인가되면 주변의 절연물질들을 탄화시키는 트래킹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것이 전기적으로 발화를 일으키는 (원인입니다)."]
실제 최근 3년간 가전제품 화재는 대전에서만 87건으로 제작연도가 확인된 41건 중 10년 넘은 제품이 39건이나 됩니다.
[이종섭/대전둔산소방서 화재조사팀장 : "가전제품 내부 습기, 먼지 제거 청소를 한 다음 안전점검을 받은 후 사용하는 것이 전기 화재 취약 요소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10년이 넘은 제품은 별다른 고장이 없더라도 제조사에 점검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노후 가전제품 화재 잇따라…원인은 내부 쌓인 먼지 탓
-
- 입력 2019-09-28 06:42:25
- 수정2019-09-30 09:43:27

[앵커]
노후 가전제품에서 불이 나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내부에 쌓인 먼지가 습기를 머금을 때 전기가 흐르면서 불꽃이 튀는 트래킹 현상 때문이라고 합니다.
성용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가재도구가 모두 불타 잿더미가 됐습니다.
지난달 말 대전시 구암동의 한 주택 김치냉장고에서 불이 나 집 내부까지 태우고 30분 뒤에 꺼졌습니다.
앞서 대전의 또다른 아파트에서도 냉장고에서 난 불로 4백80만 원의 피해가 났습니다.
모두 오래된 제품 내부에 쌓인 먼지가 원인이었습니다.
노후 가전제품에서 어떻게 불이 나는 지 실험했습니다.
회로 기판에 쌓인 먼지에 물방울을 떨어뜨리자 불꽃이 튀면서 순식간에 먼지가 타들어 갑니다.
같은 상태인 김치냉장고에도 전기를 흘려보내자 금세 시커먼 연기가 피어오르더니 불길이 치솟습니다.
전기를 흘려보낸 김치냉장고 전체에 불길이 번지는 데는 채 3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한용식/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 "먼지와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전기가 인가되면 주변의 절연물질들을 탄화시키는 트래킹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것이 전기적으로 발화를 일으키는 (원인입니다)."]
실제 최근 3년간 가전제품 화재는 대전에서만 87건으로 제작연도가 확인된 41건 중 10년 넘은 제품이 39건이나 됩니다.
[이종섭/대전둔산소방서 화재조사팀장 : "가전제품 내부 습기, 먼지 제거 청소를 한 다음 안전점검을 받은 후 사용하는 것이 전기 화재 취약 요소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10년이 넘은 제품은 별다른 고장이 없더라도 제조사에 점검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
-
성용희 기자 heestory@kbs.co.kr
성용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