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도축장 딜레마…열면 “병 옮을라” 안 열면 “시장 불안”
입력 2019.09.30 (21:22)
수정 2019.09.30 (22: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돼지 도축장은 이번 주부터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이런 거점 시설이 병의 진원지가 될 수 있는만큼, 48시간보다 더 강력한 이동 제한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의문도 생길 수 있는데요.
이동중지 명령을 푸는 데는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조혜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천의 한 도축장으로 축산 차량이 드나듭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농장 9곳 중 6곳이 이곳 도축장을 이용했지만, 여전히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대신 방역은 강화됐습니다.
안으로 들어가기 전 철저한 소독을 거치고, 경기 북부 등 발병 지역 관련 차량은 출입이 완전 통제됐습니다.
오늘(30일) 이 도축장에서 도축된 돼지는 모두 40여 마리로 평소 도축량의 2% 수준입니다.
만에 하나 바이러스가 묻어갈까 불안하지만, 도축을 미룰 순 없습니다.
[축산업자 : "다 걱정일 거야. 우리나라 전체가 다 걱정일 거 같아. 또 이런 상황이 올까봐."]
다 자란 돼지를 제때 출하하지 않으면 농장에서 관리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축산업자/음성변조 : "돼지는 하루하루 엄청나게 커버려요. 많이 먹어요, 사료를. 사료를 많이 먹으면 적자잖아요, 적자."]
외부로 반출되지 못해 축사 밀도가 높아지고, 분뇨 처리도 제대로 안 될 경우 돼지는 질병에 취약해집니다.
충남 홍성에서는 이동중지 해제 뒤 출하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19마리가 질식사하기도 했습니다.
[정현규/도드람양돈농협 수의학 박사 : "새끼를 낳고 출하가 나가고 이게 같은 농장에서 이뤄지는데, 어느 한쪽은 땅에 묻어야 합니다. (도축이) 안 되면."]
출하를 중단할 경우 당장 돼지고기 가격이 크게 오를 수 있다는 점도 정부로서는 부담입니다.
이동 중지가 풀리고 처음 맞은 평일, 전국 70곳에서 돼지 8만 마리가 도축됐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돼지 도축장은 이번 주부터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이런 거점 시설이 병의 진원지가 될 수 있는만큼, 48시간보다 더 강력한 이동 제한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의문도 생길 수 있는데요.
이동중지 명령을 푸는 데는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조혜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천의 한 도축장으로 축산 차량이 드나듭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농장 9곳 중 6곳이 이곳 도축장을 이용했지만, 여전히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대신 방역은 강화됐습니다.
안으로 들어가기 전 철저한 소독을 거치고, 경기 북부 등 발병 지역 관련 차량은 출입이 완전 통제됐습니다.
오늘(30일) 이 도축장에서 도축된 돼지는 모두 40여 마리로 평소 도축량의 2% 수준입니다.
만에 하나 바이러스가 묻어갈까 불안하지만, 도축을 미룰 순 없습니다.
[축산업자 : "다 걱정일 거야. 우리나라 전체가 다 걱정일 거 같아. 또 이런 상황이 올까봐."]
다 자란 돼지를 제때 출하하지 않으면 농장에서 관리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축산업자/음성변조 : "돼지는 하루하루 엄청나게 커버려요. 많이 먹어요, 사료를. 사료를 많이 먹으면 적자잖아요, 적자."]
외부로 반출되지 못해 축사 밀도가 높아지고, 분뇨 처리도 제대로 안 될 경우 돼지는 질병에 취약해집니다.
충남 홍성에서는 이동중지 해제 뒤 출하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19마리가 질식사하기도 했습니다.
[정현규/도드람양돈농협 수의학 박사 : "새끼를 낳고 출하가 나가고 이게 같은 농장에서 이뤄지는데, 어느 한쪽은 땅에 묻어야 합니다. (도축이) 안 되면."]
출하를 중단할 경우 당장 돼지고기 가격이 크게 오를 수 있다는 점도 정부로서는 부담입니다.
이동 중지가 풀리고 처음 맞은 평일, 전국 70곳에서 돼지 8만 마리가 도축됐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돼지 도축장 딜레마…열면 “병 옮을라” 안 열면 “시장 불안”
-
- 입력 2019-09-30 21:24:33
- 수정2019-09-30 22:29:42

[앵커]
돼지 도축장은 이번 주부터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이런 거점 시설이 병의 진원지가 될 수 있는만큼, 48시간보다 더 강력한 이동 제한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의문도 생길 수 있는데요.
이동중지 명령을 푸는 데는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조혜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천의 한 도축장으로 축산 차량이 드나듭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농장 9곳 중 6곳이 이곳 도축장을 이용했지만, 여전히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대신 방역은 강화됐습니다.
안으로 들어가기 전 철저한 소독을 거치고, 경기 북부 등 발병 지역 관련 차량은 출입이 완전 통제됐습니다.
오늘(30일) 이 도축장에서 도축된 돼지는 모두 40여 마리로 평소 도축량의 2% 수준입니다.
만에 하나 바이러스가 묻어갈까 불안하지만, 도축을 미룰 순 없습니다.
[축산업자 : "다 걱정일 거야. 우리나라 전체가 다 걱정일 거 같아. 또 이런 상황이 올까봐."]
다 자란 돼지를 제때 출하하지 않으면 농장에서 관리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축산업자/음성변조 : "돼지는 하루하루 엄청나게 커버려요. 많이 먹어요, 사료를. 사료를 많이 먹으면 적자잖아요, 적자."]
외부로 반출되지 못해 축사 밀도가 높아지고, 분뇨 처리도 제대로 안 될 경우 돼지는 질병에 취약해집니다.
충남 홍성에서는 이동중지 해제 뒤 출하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19마리가 질식사하기도 했습니다.
[정현규/도드람양돈농협 수의학 박사 : "새끼를 낳고 출하가 나가고 이게 같은 농장에서 이뤄지는데, 어느 한쪽은 땅에 묻어야 합니다. (도축이) 안 되면."]
출하를 중단할 경우 당장 돼지고기 가격이 크게 오를 수 있다는 점도 정부로서는 부담입니다.
이동 중지가 풀리고 처음 맞은 평일, 전국 70곳에서 돼지 8만 마리가 도축됐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돼지 도축장은 이번 주부터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이런 거점 시설이 병의 진원지가 될 수 있는만큼, 48시간보다 더 강력한 이동 제한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의문도 생길 수 있는데요.
이동중지 명령을 푸는 데는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조혜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천의 한 도축장으로 축산 차량이 드나듭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농장 9곳 중 6곳이 이곳 도축장을 이용했지만, 여전히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대신 방역은 강화됐습니다.
안으로 들어가기 전 철저한 소독을 거치고, 경기 북부 등 발병 지역 관련 차량은 출입이 완전 통제됐습니다.
오늘(30일) 이 도축장에서 도축된 돼지는 모두 40여 마리로 평소 도축량의 2% 수준입니다.
만에 하나 바이러스가 묻어갈까 불안하지만, 도축을 미룰 순 없습니다.
[축산업자 : "다 걱정일 거야. 우리나라 전체가 다 걱정일 거 같아. 또 이런 상황이 올까봐."]
다 자란 돼지를 제때 출하하지 않으면 농장에서 관리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축산업자/음성변조 : "돼지는 하루하루 엄청나게 커버려요. 많이 먹어요, 사료를. 사료를 많이 먹으면 적자잖아요, 적자."]
외부로 반출되지 못해 축사 밀도가 높아지고, 분뇨 처리도 제대로 안 될 경우 돼지는 질병에 취약해집니다.
충남 홍성에서는 이동중지 해제 뒤 출하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19마리가 질식사하기도 했습니다.
[정현규/도드람양돈농협 수의학 박사 : "새끼를 낳고 출하가 나가고 이게 같은 농장에서 이뤄지는데, 어느 한쪽은 땅에 묻어야 합니다. (도축이) 안 되면."]
출하를 중단할 경우 당장 돼지고기 가격이 크게 오를 수 있다는 점도 정부로서는 부담입니다.
이동 중지가 풀리고 처음 맞은 평일, 전국 70곳에서 돼지 8만 마리가 도축됐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
-
조혜진 기자 jin2@kbs.co.kr
조혜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아프리카돼지열병 비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