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 만났지만 日 여전히 “한일청구권협정 준수해야”

입력 2019.11.04 (21:03) 수정 2019.11.04 (21: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만남을 일본 정부도 신속히 밝혔고 언론들도 속보로 전했습니다.

그런데 초점은 우리와는 달랐다고 합니다.

도쿄 연결합니다.

이민영 특파원, 일본의 관심은 여전히 한국이 해법을 내놔라 이런 기조인거죠?

[기자]

일본이 강조한 건 아베 총리가 우리 정부에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 준수를 거듭 요구했다는 점입니다.

다시 말해 징용문제는 이미 다 해결됐다는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겠다는 말입니다.

일본 외무성 발표 자료와 언론의 보도 내용도 모두 이 방향으로 모아졌습니다.

[앵커]

예정에 없던 만남이어서 일본도 관심이었던거죠?

[기자]

일본 언론도 마찬가지로 이번 만남이 예정에 없었던 것으로 전하고 있습니다.

아베 총리가 대기실에 들어와 각국 정상들과 악수를 하는 가운데 문 대통령과도 악수를 했고 자연스럽게 주변 소파에 앉아 얘기를 나눴다고 NHK는 전했습니다.

한 방송사는 두 정상이 갑자기 마주한 배경에 대해 1년 이상 대화가 없었던 상황을 극복하고 강제징용과 지소미아 등 구체적인 현안들을 실무 차원에서 해결해 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앵커]

오늘(4일) 두 정상의 대화, 정상회담은 아니고 우린 환담, 만남 이렇게 전하고 있는데 일본은 어떤 표현으로 전하고 있나요?

[기자]

네, 일본 정부는 한일 정상이 대화를 나눴다고 발표했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접촉이라고 표현하거나 아니면 특정한 단어 대신 만났다, 입장을 교환했다, 이런 식으로 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색된 한일관계가 풀어지는 전환점이 될지 주목하는 분위기는 역력합니다.

특히 NHK는 아베 총리가 한일청구권협정을 언급한 뒤 바로 이어서 대화를 계속하자고 말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습니다.

[앵커]

문희상 국회의장도 지금 G20 국회의장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일본 방문 중이죠.

강제징용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죠?

[기자]

네, 한국과 일본 기업을 대상으로 모금을 해서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지급하는 방안입니다.

강제적인 것도 아니고 기업을 특정하지도 국적을 가리지도 않겠다고 했습니다.

이런 내용의 법안을 마련했고 일본 측 반응을 봐서 국회에 제출할지 판단하겠다는 겁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일 정상 만났지만 日 여전히 “한일청구권협정 준수해야”
    • 입력 2019-11-04 21:06:26
    • 수정2019-11-04 21:59:32
    뉴스 9
[앵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만남을 일본 정부도 신속히 밝혔고 언론들도 속보로 전했습니다.

그런데 초점은 우리와는 달랐다고 합니다.

도쿄 연결합니다.

이민영 특파원, 일본의 관심은 여전히 한국이 해법을 내놔라 이런 기조인거죠?

[기자]

일본이 강조한 건 아베 총리가 우리 정부에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 준수를 거듭 요구했다는 점입니다.

다시 말해 징용문제는 이미 다 해결됐다는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겠다는 말입니다.

일본 외무성 발표 자료와 언론의 보도 내용도 모두 이 방향으로 모아졌습니다.

[앵커]

예정에 없던 만남이어서 일본도 관심이었던거죠?

[기자]

일본 언론도 마찬가지로 이번 만남이 예정에 없었던 것으로 전하고 있습니다.

아베 총리가 대기실에 들어와 각국 정상들과 악수를 하는 가운데 문 대통령과도 악수를 했고 자연스럽게 주변 소파에 앉아 얘기를 나눴다고 NHK는 전했습니다.

한 방송사는 두 정상이 갑자기 마주한 배경에 대해 1년 이상 대화가 없었던 상황을 극복하고 강제징용과 지소미아 등 구체적인 현안들을 실무 차원에서 해결해 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앵커]

오늘(4일) 두 정상의 대화, 정상회담은 아니고 우린 환담, 만남 이렇게 전하고 있는데 일본은 어떤 표현으로 전하고 있나요?

[기자]

네, 일본 정부는 한일 정상이 대화를 나눴다고 발표했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접촉이라고 표현하거나 아니면 특정한 단어 대신 만났다, 입장을 교환했다, 이런 식으로 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색된 한일관계가 풀어지는 전환점이 될지 주목하는 분위기는 역력합니다.

특히 NHK는 아베 총리가 한일청구권협정을 언급한 뒤 바로 이어서 대화를 계속하자고 말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습니다.

[앵커]

문희상 국회의장도 지금 G20 국회의장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일본 방문 중이죠.

강제징용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죠?

[기자]

네, 한국과 일본 기업을 대상으로 모금을 해서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지급하는 방안입니다.

강제적인 것도 아니고 기업을 특정하지도 국적을 가리지도 않겠다고 했습니다.

이런 내용의 법안을 마련했고 일본 측 반응을 봐서 국회에 제출할지 판단하겠다는 겁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