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구조 신호”…정부·자치단체 나서 ‘극단적 선택’ 막는다

입력 2019.11.26 (21:37) 수정 2019.11.27 (11: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부담되기 싫다."

"내가 없는 게 더 나을거야."

"내일이 오는 게 싫어."

친구나 직장 동료가 갑자기 이런 부정적인 말을 자주 한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람들의 90% 이상이 이렇게 주변 사람들에게 '위험 신호'를 보낸다고 하는데요,

정부와 자치단체가, 이런 위험신호를 감지해서 전문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는 걸 돕는 '자살 예방 지킴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천현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근무하는 강신민 씨는 한 달 전 입주민과 이야기를 나누다 불길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얼마 전 가족을 잃은 입주민이 살기 싫다는 말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강 씨가 지난 7월 생명지킴이 교육을 받을 때 들은 자살 위험 신호였습니다.

[강신민/경남 김해시 생명지킴이 : "(생명지킴이) 교육을 받고 나니까 이게 자살을 하게 되는 초기 증상이구나, 징후가 나타나는구나 알게 되었습니다."]

강씨는 곧바로 정신건강 복지센터로 연락했고 입주민은 전문가 상담을 받았습니다.

[김미경/경남 김해시 정신건강전문팀장 : "지속적으로 일주일에 1회 이상 가정방문을 가거나 전화상담을 하며 상담 중에 있습니다."]

자살 위험 신호는 "부담되기 싫다." "내가 없는 게 더 나을거야." 라고 말하거나 감정 기복이 커져 분노와 죄책감 등으로 나타냅니다.

자살한 사람의 92%가 이처럼 구조나 위험 신호를 보내지만 이를 알아차리는 경우는 21%에 불과해, 대부분 골든 타임을 놓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도입된 생명지킴이는 공무원, 학생, 사회봉사단체, 마을 이·통장 등으로 구성돼 전국에서 100만 명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종학/경남 김해시보건소장 : "(상담센터에) 연결을 시켜주는 것은 심정지 환자에게 CPR(심폐소생술)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입니다."]

삶의 의욕을 잃은 소중한 이웃을 발견할 경우, 상담전화 1393번을 비롯해 시군 정신건강센터를 통해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천현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것이 구조 신호”…정부·자치단체 나서 ‘극단적 선택’ 막는다
    • 입력 2019-11-26 21:41:33
    • 수정2019-11-27 11:29:31
    뉴스 9
[앵커] "부담되기 싫다." "내가 없는 게 더 나을거야." "내일이 오는 게 싫어." 친구나 직장 동료가 갑자기 이런 부정적인 말을 자주 한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람들의 90% 이상이 이렇게 주변 사람들에게 '위험 신호'를 보낸다고 하는데요, 정부와 자치단체가, 이런 위험신호를 감지해서 전문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는 걸 돕는 '자살 예방 지킴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천현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근무하는 강신민 씨는 한 달 전 입주민과 이야기를 나누다 불길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얼마 전 가족을 잃은 입주민이 살기 싫다는 말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강 씨가 지난 7월 생명지킴이 교육을 받을 때 들은 자살 위험 신호였습니다. [강신민/경남 김해시 생명지킴이 : "(생명지킴이) 교육을 받고 나니까 이게 자살을 하게 되는 초기 증상이구나, 징후가 나타나는구나 알게 되었습니다."] 강씨는 곧바로 정신건강 복지센터로 연락했고 입주민은 전문가 상담을 받았습니다. [김미경/경남 김해시 정신건강전문팀장 : "지속적으로 일주일에 1회 이상 가정방문을 가거나 전화상담을 하며 상담 중에 있습니다."] 자살 위험 신호는 "부담되기 싫다." "내가 없는 게 더 나을거야." 라고 말하거나 감정 기복이 커져 분노와 죄책감 등으로 나타냅니다. 자살한 사람의 92%가 이처럼 구조나 위험 신호를 보내지만 이를 알아차리는 경우는 21%에 불과해, 대부분 골든 타임을 놓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도입된 생명지킴이는 공무원, 학생, 사회봉사단체, 마을 이·통장 등으로 구성돼 전국에서 100만 명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종학/경남 김해시보건소장 : "(상담센터에) 연결을 시켜주는 것은 심정지 환자에게 CPR(심폐소생술)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입니다."] 삶의 의욕을 잃은 소중한 이웃을 발견할 경우, 상담전화 1393번을 비롯해 시군 정신건강센터를 통해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천현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