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24 현장] 日, 신차에 ‘자동 브레이크’ 도입

입력 2019.11.28 (20:37) 수정 2019.11.28 (20: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초고령 사회 일본에서는 노인 운전자 교통사고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일본 정부가 앞으로 일본에서 생산되는 모든 신차에 ‘자동 브레이크’를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하겠다, 이런 방침을 밝혔습니다.

도쿄 연결해서 자세히 듣겠습니다.

이민영 특파원!

일본 정부가 차량 관련법을 개정하겠다, 이런 내용을 발표했죠?

[기자]

네, 일본 국토교통성이 '자동차 운송 차량법’을 개정할 계획인데요,

앞으로 일본에서 출시되는 모든 신차에 자동 브레이크를 의무적으로 탑재할 계획입니다.

고령 운전자 사고가 끊이지 않으면서 일본 정부가 대책 마련을 서두르는 모습입니다.

이에 따라 일본에서는 오는 2021년부터 신차를 출시할 때 충돌 피해를 줄이는 장치, 즉 ‘자동 브레이크’를 의무적으로 장착해야 합니다.

고령 운전자의 ‘조작 실수’가 교통사고로 이어졌다는 점을 일본 정부가 주목한 겁니다.

지난 4월 도쿄에서 88살 남성이 횡단보도를 건너던 30대 여성과 3살 된 딸을 치어 숨지게 한 사건.

또 6월 후쿠오카에서 80대 노인이 역주행 해서 2명이 숨지고 7명이 다친 사건 등 잇따른 고령 운전자 사고는 일본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는데요.

일본에서 75살 이상 고령 운전자가 낸 사망사고는 2006년 420여 건에서 지난해 460여 건으로 늘었고, 지난해 고령 운전자가 일으킨 사망사고의 원인 1위는 브레이크 대신 가속페달을 밟는 등의 ‘조작 실수’로 드러났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자동 브레이크’ 의무화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시행되는 겁니까?

[기자]

네, 일본에서는 이미 5년 전부터 대형 화물차와 버스에 자동 브레이크 장착이 의무화됐습니다.

앞으로 승용차와 경차, 소형 화물차까지 의무 대상이 확대되는 건데요,

일본 정부는 주요 자동차 기업들과 관련 내용을 협의 중입니다.

지난해 일본에서 판매된 신차에 85% 가량은 자동 브레이크를 장착했는데요.

제조업체와 차종에 따라 성능이 제각각이어서 인증기준을 만드는 것도 관건입니다.

지난 6월 유엔이 정한 ‘자동 브레이크’ 성능 기준은 이렇습니다.

시속 30킬로미터로 주행할 때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와 충돌하지 않을 것.

시속 40킬로미터로 주행할 때 앞에 정차한 차와 부딪히지 않을 것.

그리고 60킬로미터로 주행할 때 앞에 20킬로미터로 서행하는 차와 부딪히지 않을 것, 이렇게 3가지입니다.

이미 판매된 차량과 수입차의 경우에는 유예 기간을 두고 ‘자동 브레이크’ 장착 의무화를 추진할 방침입니다.

[앵커]

그런데 자동 브레이크가 옵션이 아니라 의무 장착이라면 자동차 값이 대폭 오를 것 같은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차량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높아서 고령 운전자들이 자동 브레이크를 탑재한 신차를 당장 구입하기는 아무래도 쉽지는 않겠죠.

그래서 보조금 정책도 나왔습니다.

지난 21일 일본 정부는 65살 이상 고령자가 ‘안전운전 장치’가 달린 차를 사면 대당 만 엔, 우리 돈 10만 원 가량을 보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엑셀이나 브레이크를 잘못 밟았을 때 급발진을 막아주는 장치를 추가한 차량에 해당됩니다.

고령 운전자 사고가 급증하면서 운전면허를 자진 반납하자는 운동도 벌어지고 있지만, 노인의 이동권을 제한한다며 반대의견도 많았는데요.

‘자동 브레이크’ 의무화 제도가 고령 운전자의 나라 일본에서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지켜볼 일입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글로벌24 현장] 日, 신차에 ‘자동 브레이크’ 도입
    • 입력 2019-11-28 20:30:14
    • 수정2019-11-28 20:58:40
    글로벌24
[앵커]

초고령 사회 일본에서는 노인 운전자 교통사고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일본 정부가 앞으로 일본에서 생산되는 모든 신차에 ‘자동 브레이크’를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하겠다, 이런 방침을 밝혔습니다.

도쿄 연결해서 자세히 듣겠습니다.

이민영 특파원!

일본 정부가 차량 관련법을 개정하겠다, 이런 내용을 발표했죠?

[기자]

네, 일본 국토교통성이 '자동차 운송 차량법’을 개정할 계획인데요,

앞으로 일본에서 출시되는 모든 신차에 자동 브레이크를 의무적으로 탑재할 계획입니다.

고령 운전자 사고가 끊이지 않으면서 일본 정부가 대책 마련을 서두르는 모습입니다.

이에 따라 일본에서는 오는 2021년부터 신차를 출시할 때 충돌 피해를 줄이는 장치, 즉 ‘자동 브레이크’를 의무적으로 장착해야 합니다.

고령 운전자의 ‘조작 실수’가 교통사고로 이어졌다는 점을 일본 정부가 주목한 겁니다.

지난 4월 도쿄에서 88살 남성이 횡단보도를 건너던 30대 여성과 3살 된 딸을 치어 숨지게 한 사건.

또 6월 후쿠오카에서 80대 노인이 역주행 해서 2명이 숨지고 7명이 다친 사건 등 잇따른 고령 운전자 사고는 일본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는데요.

일본에서 75살 이상 고령 운전자가 낸 사망사고는 2006년 420여 건에서 지난해 460여 건으로 늘었고, 지난해 고령 운전자가 일으킨 사망사고의 원인 1위는 브레이크 대신 가속페달을 밟는 등의 ‘조작 실수’로 드러났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자동 브레이크’ 의무화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시행되는 겁니까?

[기자]

네, 일본에서는 이미 5년 전부터 대형 화물차와 버스에 자동 브레이크 장착이 의무화됐습니다.

앞으로 승용차와 경차, 소형 화물차까지 의무 대상이 확대되는 건데요,

일본 정부는 주요 자동차 기업들과 관련 내용을 협의 중입니다.

지난해 일본에서 판매된 신차에 85% 가량은 자동 브레이크를 장착했는데요.

제조업체와 차종에 따라 성능이 제각각이어서 인증기준을 만드는 것도 관건입니다.

지난 6월 유엔이 정한 ‘자동 브레이크’ 성능 기준은 이렇습니다.

시속 30킬로미터로 주행할 때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와 충돌하지 않을 것.

시속 40킬로미터로 주행할 때 앞에 정차한 차와 부딪히지 않을 것.

그리고 60킬로미터로 주행할 때 앞에 20킬로미터로 서행하는 차와 부딪히지 않을 것, 이렇게 3가지입니다.

이미 판매된 차량과 수입차의 경우에는 유예 기간을 두고 ‘자동 브레이크’ 장착 의무화를 추진할 방침입니다.

[앵커]

그런데 자동 브레이크가 옵션이 아니라 의무 장착이라면 자동차 값이 대폭 오를 것 같은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차량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높아서 고령 운전자들이 자동 브레이크를 탑재한 신차를 당장 구입하기는 아무래도 쉽지는 않겠죠.

그래서 보조금 정책도 나왔습니다.

지난 21일 일본 정부는 65살 이상 고령자가 ‘안전운전 장치’가 달린 차를 사면 대당 만 엔, 우리 돈 10만 원 가량을 보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엑셀이나 브레이크를 잘못 밟았을 때 급발진을 막아주는 장치를 추가한 차량에 해당됩니다.

고령 운전자 사고가 급증하면서 운전면허를 자진 반납하자는 운동도 벌어지고 있지만, 노인의 이동권을 제한한다며 반대의견도 많았는데요.

‘자동 브레이크’ 의무화 제도가 고령 운전자의 나라 일본에서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지켜볼 일입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