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생활자금, 최소 2억 6000만 원
입력 2003.05.07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을 그만두고 노후생활을 할 때 최소한 2억 6000만원의 돈이 필요하다는 조사가 나왔습니다. 최저생계비에 약간의 여유활동비만을 계산한 액수입니다.
조현진 기자입니다.
⊙기자: 직장인들에게 은퇴 이후를 대비한 노후생활자금으로 얼마 정도가 필요하다고 보는지 물어봤습니다.
⊙김만식(직장인): 3억 정도, 노후에 필요한 것이...
⊙조문옥(개인사업): 급여가 없으니까 최소한 아무리 못 살아도 150만원은 있어야 둘이 살 거 아니에요?
⊙기자: 국민연금관리공단은 부부가 60살 이후 필요한 노후생활자금이 최소한 2억 6000만원이라는 계산을 내놓았습니다.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하는 데 월 최저생계비 58만 9000원, 취미생활과 경조사비용 등 여유비용으로 매달 50만원을 쓴다고 보고 기대수명을 곱한 값입니다.
최저생계비 대신 60세 이상 가구의 평균 소비지출 비용을 기준으로 할 경우에는 3억 5000만원이 필요합니다.
여유비용을 매달 100만원으로 계산하면 필요한 노후생활자금은 4억 7000만원으로 늘어납니다.
⊙전근성(국민연금관리공단 연금컨설턴트): 2억 6000만원이라는 돈이 얼핏 보기에 많은 돈 같지만 기본적인 의식주 해결비용과 절약하면서 최소한의 여가활동을 누릴 수 있는 최소한의 비용입니다.
⊙기자: 국민연금관리공단은 자녀의 교육과 결혼, 상속까지 고려할 경우 필요한 노후생활자금은 훨씬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뉴스 조현진입니다.
조현진 기자입니다.
⊙기자: 직장인들에게 은퇴 이후를 대비한 노후생활자금으로 얼마 정도가 필요하다고 보는지 물어봤습니다.
⊙김만식(직장인): 3억 정도, 노후에 필요한 것이...
⊙조문옥(개인사업): 급여가 없으니까 최소한 아무리 못 살아도 150만원은 있어야 둘이 살 거 아니에요?
⊙기자: 국민연금관리공단은 부부가 60살 이후 필요한 노후생활자금이 최소한 2억 6000만원이라는 계산을 내놓았습니다.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하는 데 월 최저생계비 58만 9000원, 취미생활과 경조사비용 등 여유비용으로 매달 50만원을 쓴다고 보고 기대수명을 곱한 값입니다.
최저생계비 대신 60세 이상 가구의 평균 소비지출 비용을 기준으로 할 경우에는 3억 5000만원이 필요합니다.
여유비용을 매달 100만원으로 계산하면 필요한 노후생활자금은 4억 7000만원으로 늘어납니다.
⊙전근성(국민연금관리공단 연금컨설턴트): 2억 6000만원이라는 돈이 얼핏 보기에 많은 돈 같지만 기본적인 의식주 해결비용과 절약하면서 최소한의 여가활동을 누릴 수 있는 최소한의 비용입니다.
⊙기자: 국민연금관리공단은 자녀의 교육과 결혼, 상속까지 고려할 경우 필요한 노후생활자금은 훨씬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뉴스 조현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노후 생활자금, 최소 2억 6000만 원
-
- 입력 2003-05-07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일을 그만두고 노후생활을 할 때 최소한 2억 6000만원의 돈이 필요하다는 조사가 나왔습니다. 최저생계비에 약간의 여유활동비만을 계산한 액수입니다.
조현진 기자입니다.
⊙기자: 직장인들에게 은퇴 이후를 대비한 노후생활자금으로 얼마 정도가 필요하다고 보는지 물어봤습니다.
⊙김만식(직장인): 3억 정도, 노후에 필요한 것이...
⊙조문옥(개인사업): 급여가 없으니까 최소한 아무리 못 살아도 150만원은 있어야 둘이 살 거 아니에요?
⊙기자: 국민연금관리공단은 부부가 60살 이후 필요한 노후생활자금이 최소한 2억 6000만원이라는 계산을 내놓았습니다.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하는 데 월 최저생계비 58만 9000원, 취미생활과 경조사비용 등 여유비용으로 매달 50만원을 쓴다고 보고 기대수명을 곱한 값입니다.
최저생계비 대신 60세 이상 가구의 평균 소비지출 비용을 기준으로 할 경우에는 3억 5000만원이 필요합니다.
여유비용을 매달 100만원으로 계산하면 필요한 노후생활자금은 4억 7000만원으로 늘어납니다.
⊙전근성(국민연금관리공단 연금컨설턴트): 2억 6000만원이라는 돈이 얼핏 보기에 많은 돈 같지만 기본적인 의식주 해결비용과 절약하면서 최소한의 여가활동을 누릴 수 있는 최소한의 비용입니다.
⊙기자: 국민연금관리공단은 자녀의 교육과 결혼, 상속까지 고려할 경우 필요한 노후생활자금은 훨씬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뉴스 조현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