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감염 확산…추가 대책은?

입력 2020.02.01 (21:11) 수정 2020.02.02 (10: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네, 확진 환자의 가족 가운데 어린이집 교사가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걱정하는 분들 많았는데, 음성 판정을 받았죠?

정부가 오늘(1일) 신종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한 추가 대책도 내놨습니다.

이번에는 중앙사고수습본부로 가봅니다.

양예빈 기자, 무엇보다 지역사회 전파를 막는 대책이 시급해 보이는데, 그러려면 정부 대책도 일단 증상자를 빠르게 포착하는 데 초점을 맞췄겠네요?

[기자]

네, 그래서 병원과 의원 뿐 아니라 약국에서도 중국 방문 이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 연계시스템을 확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약국을 방문하는 사람들의 중국 여행 이력도 확인할 수 있게 됐습니다.

또, 확진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이들의 자가 격리를 강화하기 위해, 격리 대상자에 대한 긴급 생활자금을 지원합니다.

신종코로나 감염 우려로 일정 기간 직무에서 배제될 경우 고용노동부를 통해 유급으로 휴가를 받을 수 있게 조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직 구체적인 액수나 지원 규모는 확정되지 않았으며, 관계부서간 협의를 통해 정할 방침입니다.

또, 접촉자나 확진자에 대한 그릇된 정보와 조작된 정보가 유통된 사례에 대해 경찰이 내사에 착수했고, 앞으로도 허위 사실 유포에 대해서는 수사를 의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더불어 정부 합동으로 운영되는 중앙사고수습본부의 기능을 보다 강화한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중국 우한에서 입국한 내외국인을 전수조사 하겠다고 했는데, 연락이 안되는 사람이 많았죠? 오늘(1일)은 좀 찾았나요?

[기자]

현재 전수조사 대상자로 분류된 인원은 2천991명인데 내국인조차도 연락이 안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내국인 약 50여명의 경우 현재까지 한번도 연락이 닿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 300여 명에 대해서는 주소지를 파악해 해당 지자체에 명단을 보냈고, 경찰의 도움을 받아 추적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전수조사 대상자 중에서 일부 의심 증상을 보인 경우가 있었으나, 지금까지는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습니다.

지금까지 정부 세종청사에서 KBS 뉴스 양예빈입니다.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종 코로나’ 감염 확산…추가 대책은?
    • 입력 2020-02-01 21:12:48
    • 수정2020-02-02 10:30:36
    뉴스 9
[앵커] 네, 확진 환자의 가족 가운데 어린이집 교사가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걱정하는 분들 많았는데, 음성 판정을 받았죠? 정부가 오늘(1일) 신종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한 추가 대책도 내놨습니다. 이번에는 중앙사고수습본부로 가봅니다. 양예빈 기자, 무엇보다 지역사회 전파를 막는 대책이 시급해 보이는데, 그러려면 정부 대책도 일단 증상자를 빠르게 포착하는 데 초점을 맞췄겠네요? [기자] 네, 그래서 병원과 의원 뿐 아니라 약국에서도 중국 방문 이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 연계시스템을 확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약국을 방문하는 사람들의 중국 여행 이력도 확인할 수 있게 됐습니다. 또, 확진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이들의 자가 격리를 강화하기 위해, 격리 대상자에 대한 긴급 생활자금을 지원합니다. 신종코로나 감염 우려로 일정 기간 직무에서 배제될 경우 고용노동부를 통해 유급으로 휴가를 받을 수 있게 조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직 구체적인 액수나 지원 규모는 확정되지 않았으며, 관계부서간 협의를 통해 정할 방침입니다. 또, 접촉자나 확진자에 대한 그릇된 정보와 조작된 정보가 유통된 사례에 대해 경찰이 내사에 착수했고, 앞으로도 허위 사실 유포에 대해서는 수사를 의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더불어 정부 합동으로 운영되는 중앙사고수습본부의 기능을 보다 강화한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중국 우한에서 입국한 내외국인을 전수조사 하겠다고 했는데, 연락이 안되는 사람이 많았죠? 오늘(1일)은 좀 찾았나요? [기자] 현재 전수조사 대상자로 분류된 인원은 2천991명인데 내국인조차도 연락이 안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내국인 약 50여명의 경우 현재까지 한번도 연락이 닿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 300여 명에 대해서는 주소지를 파악해 해당 지자체에 명단을 보냈고, 경찰의 도움을 받아 추적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전수조사 대상자 중에서 일부 의심 증상을 보인 경우가 있었으나, 지금까지는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습니다. 지금까지 정부 세종청사에서 KBS 뉴스 양예빈입니다.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