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골 깊어져, 경제운용 계획 수정
입력 2003.05.22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경기를 두고 외환위기 때보다 더 어렵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정부도 심각성을 인정하고 추경예산을 더 늘리는 등 경기부양에 적극 나서기 시작했습니다.
계속해서 박유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소비현장에서 느끼는 경기는 올 들어 악화되고 있는 각종 경제지표보다 더더욱 얼어붙어 있습니다.
⊙이승미(남대문시장 상인): 물어만 보고 안 사요.
거의 가격조사만 하고 안 사는 편이죠.
⊙염희숙(서울 삼성동): 소득이 좀 줄었어요.
그래서 생활비도 줄일 겸 백화점 나올 거 시장에 나와서 장 보고...
⊙기자: 실제로 올 1분기 실질 국내 총소득은 지난해 1분기보다 2% 줄었습니다.
외환위기 직후인 지난 98년 4분기 이후 가장 큰 감소폭입니다.
수출품 가격은 내린 반면 수입품 가격은 올라 그만큼 국내 소득이 해외로 빠져나갔기 때문입니다.
생산보다 소득이 더 위축되었다는 것은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더더욱 악화되었다는 얘기여서 불황의 골은 그만큼 더 깊어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여당은 본격적인 경기부양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정부와 여당은 우선 이미 재원이 확보된 2조 3000억원보다 큰 규모로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기로 했습니다.
⊙김진표(경제부총리): 추경편성을 지금 검토하고 있는데, 4억을 연내에 지출할 수 있는 그런 사업들을 찾아서 부처간에 실무협의를 하고 있습니다.
⊙기자: 그러나 경기부양책이 가계부채 급증 속에 위축된 소비를 얼마나 살려낼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KBS뉴스 박유한입니다.
정부도 심각성을 인정하고 추경예산을 더 늘리는 등 경기부양에 적극 나서기 시작했습니다.
계속해서 박유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소비현장에서 느끼는 경기는 올 들어 악화되고 있는 각종 경제지표보다 더더욱 얼어붙어 있습니다.
⊙이승미(남대문시장 상인): 물어만 보고 안 사요.
거의 가격조사만 하고 안 사는 편이죠.
⊙염희숙(서울 삼성동): 소득이 좀 줄었어요.
그래서 생활비도 줄일 겸 백화점 나올 거 시장에 나와서 장 보고...
⊙기자: 실제로 올 1분기 실질 국내 총소득은 지난해 1분기보다 2% 줄었습니다.
외환위기 직후인 지난 98년 4분기 이후 가장 큰 감소폭입니다.
수출품 가격은 내린 반면 수입품 가격은 올라 그만큼 국내 소득이 해외로 빠져나갔기 때문입니다.
생산보다 소득이 더 위축되었다는 것은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더더욱 악화되었다는 얘기여서 불황의 골은 그만큼 더 깊어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여당은 본격적인 경기부양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정부와 여당은 우선 이미 재원이 확보된 2조 3000억원보다 큰 규모로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기로 했습니다.
⊙김진표(경제부총리): 추경편성을 지금 검토하고 있는데, 4억을 연내에 지출할 수 있는 그런 사업들을 찾아서 부처간에 실무협의를 하고 있습니다.
⊙기자: 그러나 경기부양책이 가계부채 급증 속에 위축된 소비를 얼마나 살려낼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KBS뉴스 박유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황 골 깊어져, 경제운용 계획 수정
-
- 입력 2003-05-22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요즘 경기를 두고 외환위기 때보다 더 어렵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정부도 심각성을 인정하고 추경예산을 더 늘리는 등 경기부양에 적극 나서기 시작했습니다.
계속해서 박유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소비현장에서 느끼는 경기는 올 들어 악화되고 있는 각종 경제지표보다 더더욱 얼어붙어 있습니다.
⊙이승미(남대문시장 상인): 물어만 보고 안 사요.
거의 가격조사만 하고 안 사는 편이죠.
⊙염희숙(서울 삼성동): 소득이 좀 줄었어요.
그래서 생활비도 줄일 겸 백화점 나올 거 시장에 나와서 장 보고...
⊙기자: 실제로 올 1분기 실질 국내 총소득은 지난해 1분기보다 2% 줄었습니다.
외환위기 직후인 지난 98년 4분기 이후 가장 큰 감소폭입니다.
수출품 가격은 내린 반면 수입품 가격은 올라 그만큼 국내 소득이 해외로 빠져나갔기 때문입니다.
생산보다 소득이 더 위축되었다는 것은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더더욱 악화되었다는 얘기여서 불황의 골은 그만큼 더 깊어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여당은 본격적인 경기부양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정부와 여당은 우선 이미 재원이 확보된 2조 3000억원보다 큰 규모로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기로 했습니다.
⊙김진표(경제부총리): 추경편성을 지금 검토하고 있는데, 4억을 연내에 지출할 수 있는 그런 사업들을 찾아서 부처간에 실무협의를 하고 있습니다.
⊙기자: 그러나 경기부양책이 가계부채 급증 속에 위축된 소비를 얼마나 살려낼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KBS뉴스 박유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