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바꾼 문화생활…‘유튜브’로 감상
입력 2020.04.09 (07:38)
수정 2020.04.09 (08: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여파로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이 연장되면서 집 안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었는데요.
지역 문화예술단체와 프로구단들이 연주나 경기를 온라인으로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김애린 기자입니다.
[리포트]
하루 대부분 시간을 집에서 보내는 삼남매.
요즘 국악부터 교향악, 발레까지 유튜브 문화예술 콘텐츠에 푹 빠졌습니다.
[신현주/엄마 : "코로나 전에는 뮤지컬을 아이들하고 같이 공연을 보러 다니긴 했는데 지금 시국이 이러다 보니까 나갈 수가 없어서 이제 유튜브를 통해서..."]
객석이 텅 빈 소극장.
["준비~ 큐!"]
감독의 사인에 맞춰 감미로운 연주가 시작됩니다.
광주시립교향악단이 코로나19로 이른바 '집콕' 상태인 시민들을 위해 마련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의 녹화현장입니다.
[모성일/광주문화예술회관 홍보팀장 : "공연장을 찾고 싶어도 이렇게 찾지 못하는 시민들이 많이 있으셔서 저희가 직접 안방에서 온라인으로 공연을 접할 수 있게 온라인 채널 '안방예술극장'을 오픈했습니다."]
프로야구 개막이 늦어지자 구단마다 자체 연습경기를 온라인으로 중계합니다.
["지금은 밀어 때렸습니다. 좌익수 앞에 안타. 나지완 앞으로 떨어뜨려 놓습니다. 홍종표의 안타."]
평일 낮 시간대인데도 접속자가 4천 명을 넘습니다.
그런가 하면 국립공원을 찾지 못하는 이들을 위해 자연경관을 설명하는 해설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는 등 사회적 거리두기로 몸과 마음이 지쳐가는 시민들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 제작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애린입니다.
코로나19 여파로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이 연장되면서 집 안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었는데요.
지역 문화예술단체와 프로구단들이 연주나 경기를 온라인으로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김애린 기자입니다.
[리포트]
하루 대부분 시간을 집에서 보내는 삼남매.
요즘 국악부터 교향악, 발레까지 유튜브 문화예술 콘텐츠에 푹 빠졌습니다.
[신현주/엄마 : "코로나 전에는 뮤지컬을 아이들하고 같이 공연을 보러 다니긴 했는데 지금 시국이 이러다 보니까 나갈 수가 없어서 이제 유튜브를 통해서..."]
객석이 텅 빈 소극장.
["준비~ 큐!"]
감독의 사인에 맞춰 감미로운 연주가 시작됩니다.
광주시립교향악단이 코로나19로 이른바 '집콕' 상태인 시민들을 위해 마련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의 녹화현장입니다.
[모성일/광주문화예술회관 홍보팀장 : "공연장을 찾고 싶어도 이렇게 찾지 못하는 시민들이 많이 있으셔서 저희가 직접 안방에서 온라인으로 공연을 접할 수 있게 온라인 채널 '안방예술극장'을 오픈했습니다."]
프로야구 개막이 늦어지자 구단마다 자체 연습경기를 온라인으로 중계합니다.
["지금은 밀어 때렸습니다. 좌익수 앞에 안타. 나지완 앞으로 떨어뜨려 놓습니다. 홍종표의 안타."]
평일 낮 시간대인데도 접속자가 4천 명을 넘습니다.
그런가 하면 국립공원을 찾지 못하는 이들을 위해 자연경관을 설명하는 해설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는 등 사회적 거리두기로 몸과 마음이 지쳐가는 시민들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 제작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애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가 바꾼 문화생활…‘유튜브’로 감상
-
- 입력 2020-04-09 07:46:32
- 수정2020-04-09 08:35:21

[앵커]
코로나19 여파로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이 연장되면서 집 안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었는데요.
지역 문화예술단체와 프로구단들이 연주나 경기를 온라인으로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김애린 기자입니다.
[리포트]
하루 대부분 시간을 집에서 보내는 삼남매.
요즘 국악부터 교향악, 발레까지 유튜브 문화예술 콘텐츠에 푹 빠졌습니다.
[신현주/엄마 : "코로나 전에는 뮤지컬을 아이들하고 같이 공연을 보러 다니긴 했는데 지금 시국이 이러다 보니까 나갈 수가 없어서 이제 유튜브를 통해서..."]
객석이 텅 빈 소극장.
["준비~ 큐!"]
감독의 사인에 맞춰 감미로운 연주가 시작됩니다.
광주시립교향악단이 코로나19로 이른바 '집콕' 상태인 시민들을 위해 마련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의 녹화현장입니다.
[모성일/광주문화예술회관 홍보팀장 : "공연장을 찾고 싶어도 이렇게 찾지 못하는 시민들이 많이 있으셔서 저희가 직접 안방에서 온라인으로 공연을 접할 수 있게 온라인 채널 '안방예술극장'을 오픈했습니다."]
프로야구 개막이 늦어지자 구단마다 자체 연습경기를 온라인으로 중계합니다.
["지금은 밀어 때렸습니다. 좌익수 앞에 안타. 나지완 앞으로 떨어뜨려 놓습니다. 홍종표의 안타."]
평일 낮 시간대인데도 접속자가 4천 명을 넘습니다.
그런가 하면 국립공원을 찾지 못하는 이들을 위해 자연경관을 설명하는 해설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는 등 사회적 거리두기로 몸과 마음이 지쳐가는 시민들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 제작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애린입니다.
-
-
김애린 기자 thirsty@kbs.co.kr
김애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