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 경제] ‘N번방’ 시작과 끝, 다크웹 ‘코챈’을 해부하다

입력 2020.04.14 (18:09) 수정 2020.04.14 (18: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텔레그램 '박사방'을 통해 성 착취 영상을 제작 유포한 혐의를 받는 조주빈이 어제 구속 기소됐죠.

이들의 범죄 주무대는 텔레그렘이였지만, 그 전에 이른바 '다크웹'이라는 공간이 있었습니다.

KBS 취재진은 이 다크웹의 한국어 최대 커뮤니티이자 성착취물 유통의 온상으로 지목된 '코챈' 사이트를 집중 해부했습니다.

산업과학부 김유대 기자 나와있습니다.

김 기자, 다크웹, 생소한 분들이 많을텐데 어떤건지 먼저 설명해주시죠.

[기자]

네, 인터넷 하실 때 보통 인터넷 익스플로러 같은 브라우저를 사용하시죠?

다크웹은 그런 일반적인 브라우저로는 접속할수 없고, 특정 브라우저로만 접근할 수 있는데요.

네이버 같은 곳에서도 검색이 안 되고요.

IP주소를 여러 경로로 우회하기 때문에 어디서 접속을 했는지, 추적이 쉽지 않습니다.

이런 익명성에 기대 마약 성착취물 유통 등의 온상으로 지목되는 게 다크웹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다크웹 사이트 중 왜 코챈이라는 곳을 분석하게 된 거죠?

[기자]

N번방 사건 이후, 저희 취재진이 성착취물 유통 구조를 자세히 들여다보니, 그 뒤에 이 코챈이라는 공간이 있었는데요.

지난해 1월부터 올라온 게시글 2만 천여 건을 모두 모아서 어떤 것들이 공유되고, 어떤 대화가 오가는지 일일이 분석했습니다.

조주빈 일당이 벌인 범죄 흔적과 함께 수십 명의 추가 피해자를 확인했는데요.

피해자 실명과 휴대전화 번호 등 신상 정보가 그대로 노출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텔레그램 주소도 지난 1년 동안 120여개가 이곳에서 공유됐는데, 문제가 된 N번방, 박사방 주소도 상당수 등장했습니다.

[앵커]

조주빈 일당이 다크웹 사이트를 통해 N번방을 홍보하고, 사람들을 끌어 모았다는 거네요?

[기자]

조주빈 일당이 다크웹을 직접 이용했는지는 현재 수사기관에서 수사 중인데요.

어떻게든 이들이 다크웹을 직간접적으로 이용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저희 취재진의 분석 결과입니다.

지난해 7월 코챈에는 '감시자'라는 아이디를 쓰는 인물이 등장합니다.

성착취물과 피해자 묘사 등의 글을 올리고, 'N번방', '고담방'의 주소도 올렸습니다.

이 '감시자', 지금 재판 중인 N번방 전 운영자 '와치맨'의 닉네임과 동일합니다.

또, 조주빈 일당이 피해 여성에게 접근한 방법, 주민센터에서 일하는 사회복무요원을 끌어들여 개인정보를 빼내지 않습니까.

코챈에선 큰 돈을 벌게해주겠다며 사회복무요원을 찾는다는 글이 발견됐습니다.

사회복무요원들이 조주빈 사건에 왜 등장하는지 추정할 수 있는 정황인거죠.

[앵커]

조주빈 일당이 잡혀도 오히려 이 사이트가 더 활발해졌다면서요.

[기자]

지난해 9월 N번방 전 운영자 '와치맨'이 구속됐을 때, 그리고 최근 조주빈 검거 때, 코챈에서 성착취물 거래는 더 활발해지는 모습이었습니다.

텔레그램이 막히니 코챈이 피난처가 된 셈인데요.

[추미애/법무부 장관/취임 100일 영상, 법무부TV : "(N번방 사건은) 세계에서 가장 앞서가는 ICT 기술을 누리는 우리 사회의 밝은 면 뒤에 다크웹 등을 통해 성 착취물을 전세계에 제작 유통하는 진원지라는 어두운 그림자를 드러낸 것입니다."]

[앵커]

이번에야말로 이런 잘못된 성착취물 유통, 근절해야 할텐데, 우리 관계기관들 대응은 어떤까요?

[기자]

이런 디지털 성범죄가 이슈될 때마다 관계 기관들이 수 많은 대책을 발표했지만, 그때 그때 땜질식 처방에 불과했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경찰이나 검찰에선 다크웹 전담팀을 두고 있지만, 인력이나 시스템이 아직 미흡해 보이고요.

과기부는 디지털 성범죄 종합 대책으로 2건의 연구를 했는데, 텔레그램이나 다크웹과는 무관한 겁니다.

특히나 이 다크웹이라는 게 국경을 넘나들기 때문에, 국제공조가 중요하겠지요.

EU가 주도해서 2001년 만든 사이버범죄방지협약,이른바 부다페스트 협약에 미국 등 60여개국이 가입돼 있는데, 우리는 아직 미가입국입니다.

정부가 가입 의지는 갖고 있다고 하는데, 법무부 등의 논의는 수년째 제자리 걸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포인트 경제] ‘N번방’ 시작과 끝, 다크웹 ‘코챈’을 해부하다
    • 입력 2020-04-14 18:12:34
    • 수정2020-04-14 18:23:52
    통합뉴스룸ET
[앵커]

텔레그램 '박사방'을 통해 성 착취 영상을 제작 유포한 혐의를 받는 조주빈이 어제 구속 기소됐죠.

이들의 범죄 주무대는 텔레그렘이였지만, 그 전에 이른바 '다크웹'이라는 공간이 있었습니다.

KBS 취재진은 이 다크웹의 한국어 최대 커뮤니티이자 성착취물 유통의 온상으로 지목된 '코챈' 사이트를 집중 해부했습니다.

산업과학부 김유대 기자 나와있습니다.

김 기자, 다크웹, 생소한 분들이 많을텐데 어떤건지 먼저 설명해주시죠.

[기자]

네, 인터넷 하실 때 보통 인터넷 익스플로러 같은 브라우저를 사용하시죠?

다크웹은 그런 일반적인 브라우저로는 접속할수 없고, 특정 브라우저로만 접근할 수 있는데요.

네이버 같은 곳에서도 검색이 안 되고요.

IP주소를 여러 경로로 우회하기 때문에 어디서 접속을 했는지, 추적이 쉽지 않습니다.

이런 익명성에 기대 마약 성착취물 유통 등의 온상으로 지목되는 게 다크웹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다크웹 사이트 중 왜 코챈이라는 곳을 분석하게 된 거죠?

[기자]

N번방 사건 이후, 저희 취재진이 성착취물 유통 구조를 자세히 들여다보니, 그 뒤에 이 코챈이라는 공간이 있었는데요.

지난해 1월부터 올라온 게시글 2만 천여 건을 모두 모아서 어떤 것들이 공유되고, 어떤 대화가 오가는지 일일이 분석했습니다.

조주빈 일당이 벌인 범죄 흔적과 함께 수십 명의 추가 피해자를 확인했는데요.

피해자 실명과 휴대전화 번호 등 신상 정보가 그대로 노출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텔레그램 주소도 지난 1년 동안 120여개가 이곳에서 공유됐는데, 문제가 된 N번방, 박사방 주소도 상당수 등장했습니다.

[앵커]

조주빈 일당이 다크웹 사이트를 통해 N번방을 홍보하고, 사람들을 끌어 모았다는 거네요?

[기자]

조주빈 일당이 다크웹을 직접 이용했는지는 현재 수사기관에서 수사 중인데요.

어떻게든 이들이 다크웹을 직간접적으로 이용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저희 취재진의 분석 결과입니다.

지난해 7월 코챈에는 '감시자'라는 아이디를 쓰는 인물이 등장합니다.

성착취물과 피해자 묘사 등의 글을 올리고, 'N번방', '고담방'의 주소도 올렸습니다.

이 '감시자', 지금 재판 중인 N번방 전 운영자 '와치맨'의 닉네임과 동일합니다.

또, 조주빈 일당이 피해 여성에게 접근한 방법, 주민센터에서 일하는 사회복무요원을 끌어들여 개인정보를 빼내지 않습니까.

코챈에선 큰 돈을 벌게해주겠다며 사회복무요원을 찾는다는 글이 발견됐습니다.

사회복무요원들이 조주빈 사건에 왜 등장하는지 추정할 수 있는 정황인거죠.

[앵커]

조주빈 일당이 잡혀도 오히려 이 사이트가 더 활발해졌다면서요.

[기자]

지난해 9월 N번방 전 운영자 '와치맨'이 구속됐을 때, 그리고 최근 조주빈 검거 때, 코챈에서 성착취물 거래는 더 활발해지는 모습이었습니다.

텔레그램이 막히니 코챈이 피난처가 된 셈인데요.

[추미애/법무부 장관/취임 100일 영상, 법무부TV : "(N번방 사건은) 세계에서 가장 앞서가는 ICT 기술을 누리는 우리 사회의 밝은 면 뒤에 다크웹 등을 통해 성 착취물을 전세계에 제작 유통하는 진원지라는 어두운 그림자를 드러낸 것입니다."]

[앵커]

이번에야말로 이런 잘못된 성착취물 유통, 근절해야 할텐데, 우리 관계기관들 대응은 어떤까요?

[기자]

이런 디지털 성범죄가 이슈될 때마다 관계 기관들이 수 많은 대책을 발표했지만, 그때 그때 땜질식 처방에 불과했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경찰이나 검찰에선 다크웹 전담팀을 두고 있지만, 인력이나 시스템이 아직 미흡해 보이고요.

과기부는 디지털 성범죄 종합 대책으로 2건의 연구를 했는데, 텔레그램이나 다크웹과는 무관한 겁니다.

특히나 이 다크웹이라는 게 국경을 넘나들기 때문에, 국제공조가 중요하겠지요.

EU가 주도해서 2001년 만든 사이버범죄방지협약,이른바 부다페스트 협약에 미국 등 60여개국이 가입돼 있는데, 우리는 아직 미가입국입니다.

정부가 가입 의지는 갖고 있다고 하는데, 법무부 등의 논의는 수년째 제자리 걸음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