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레저객 늘며 사고도 잇따라

입력 2020.04.20 (08:25) 수정 2020.04.20 (08: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사회적 거리두기가 계속되는 와중에도, 해양 레저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배를 빌려 함께 낚시하는 낚시객은 크게 준 반면, 인적이 드문 곳을 찾아 수상레저기구를 타고 나가는 방문객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이연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파도가 치는 바위섬에 해경이 힘겹게 배를 댑니다.

["얼른 빨리 올라오세요."]

섬까지 타고 온 모터보트가 침수되자 승선객 2명이 해경에 구조를 요청한 겁니다.

지난 주말에는 한가족 4명이 타고 나갔던 모터보트의 엔진이 고장나 해경이 긴급 출동했습니다.

지난달에는 서핑을 즐기던 50대가 바다 위를 표류하다 구조되는 등 해양 레저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달 충남 남부 해상으로 출항한 낚시객은 같은 기간 3년 평균과 비교해 80% 감소했지만, 레저객은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박성원/보령해양경찰서 교통레저계장 : "낚시어선협회에서 자발적으로 영업을 자제하기로 협의해 낚시객이 크게 감소한 반면에 레저 활동은 개인 활동으로 코로나 감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생각해서 그런지 레저 활동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해 인적이 드문 갯바위에서 낚시를 하다 밀물에 고립되거나 테트라포드에 들어가 추락하는 사고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런 테트라포드에서는 발을 헛디디면 미끄러지기 쉽고 한 번 빠지면 나오기가 어려워 아예 들어가지 않는 게 좋습니다.

해경은 다른 사람과 접촉을 줄이려 너무 한적한 바다에서 레저를 즐길 경우, 사고 위험이 높다고 지적하면서, 사고를 당할 경우 '해로드' 앱을 사용해 구조 신호를 하면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양레저객 늘며 사고도 잇따라
    • 입력 2020-04-20 08:26:17
    • 수정2020-04-20 08:29:16
    아침뉴스타임
[앵커]

사회적 거리두기가 계속되는 와중에도, 해양 레저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배를 빌려 함께 낚시하는 낚시객은 크게 준 반면, 인적이 드문 곳을 찾아 수상레저기구를 타고 나가는 방문객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이연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파도가 치는 바위섬에 해경이 힘겹게 배를 댑니다.

["얼른 빨리 올라오세요."]

섬까지 타고 온 모터보트가 침수되자 승선객 2명이 해경에 구조를 요청한 겁니다.

지난 주말에는 한가족 4명이 타고 나갔던 모터보트의 엔진이 고장나 해경이 긴급 출동했습니다.

지난달에는 서핑을 즐기던 50대가 바다 위를 표류하다 구조되는 등 해양 레저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달 충남 남부 해상으로 출항한 낚시객은 같은 기간 3년 평균과 비교해 80% 감소했지만, 레저객은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박성원/보령해양경찰서 교통레저계장 : "낚시어선협회에서 자발적으로 영업을 자제하기로 협의해 낚시객이 크게 감소한 반면에 레저 활동은 개인 활동으로 코로나 감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생각해서 그런지 레저 활동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해 인적이 드문 갯바위에서 낚시를 하다 밀물에 고립되거나 테트라포드에 들어가 추락하는 사고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런 테트라포드에서는 발을 헛디디면 미끄러지기 쉽고 한 번 빠지면 나오기가 어려워 아예 들어가지 않는 게 좋습니다.

해경은 다른 사람과 접촉을 줄이려 너무 한적한 바다에서 레저를 즐길 경우, 사고 위험이 높다고 지적하면서, 사고를 당할 경우 '해로드' 앱을 사용해 구조 신호를 하면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