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올림픽경기장 적자 현실로…앞으로가 더 문제
입력 2020.05.04 (07:37)
수정 2020.05.04 (07: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 세계에 대한민국의 동계 스포츠를 각인시키고 한반도 평화 분위기 조성의 무대가 됐던 2018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난 지 2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정작 개최지인 강원도는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수천억 원을 들여 지은 시설들이 올림픽이 끝나니 적자만 내는 애물단지로 전락했기 때문입니다.
박상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018평창동계올림픽은 대한민국 동계 스포츠와 첨단 기술과 우리 문화의 저력을 보여준 큰 잔치였습니다.
2년이 지난 지금 화려했던 올림픽 무대는 계륵이 됐습니다.
강원도는 지난해 강릉 스피드스케이팅장과 하키센터, 평창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등 3개를 시범 운영하며, 수익성을 따져 봤습니다.
지난해 운영비는 36억 8천만 원, 수익은 1억 3천만 원에 그쳤습니다.
1년 적자가 35억 원이 넘는 겁니다.
얼음을 얼리고 유지하는데 든 전기료만 평소 한 달에 6천만 원, 여름철에는 1억 원을 훌쩍 넘겼습니다.
[이종구/강원도 올림픽시설과 : "통상적으로 스포츠 목적으로 사용해 얻은 수익은 전기요금의 반도 안되거든요. 운영비를 최적화하는 게 관문이라고 생각하고."]
앞으로가 더 걱정입니다.
동계 스포츠는 선수는 물론, 동호인도 적다보니 경기장 자체가 수익을 내기 어려운 시설입니다.
또, 얼음을 제대로 다 얼린다면, 운영비가 천정부지로 치솟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정선 알파인경기장은 존폐 논란을 거듭하고 있고, 크로스컨트리와 바이애슬론 경기장도 적자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김태동/강원연구원 박사 : "대한체육회라든지 아니면 강원체육회라든지 시군체육회와 협력해 일반인을 대상으로한 프로그램들을 지속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
강원도는 2024년 동계청소년올림픽을 비롯해, 각종 국내외 대회 유치로 돌파구를 찾겠다는 계획이지만, 적자 행진을 중단시키기엔 역부족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평갑니다.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전 세계에 대한민국의 동계 스포츠를 각인시키고 한반도 평화 분위기 조성의 무대가 됐던 2018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난 지 2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정작 개최지인 강원도는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수천억 원을 들여 지은 시설들이 올림픽이 끝나니 적자만 내는 애물단지로 전락했기 때문입니다.
박상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018평창동계올림픽은 대한민국 동계 스포츠와 첨단 기술과 우리 문화의 저력을 보여준 큰 잔치였습니다.
2년이 지난 지금 화려했던 올림픽 무대는 계륵이 됐습니다.
강원도는 지난해 강릉 스피드스케이팅장과 하키센터, 평창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등 3개를 시범 운영하며, 수익성을 따져 봤습니다.
지난해 운영비는 36억 8천만 원, 수익은 1억 3천만 원에 그쳤습니다.
1년 적자가 35억 원이 넘는 겁니다.
얼음을 얼리고 유지하는데 든 전기료만 평소 한 달에 6천만 원, 여름철에는 1억 원을 훌쩍 넘겼습니다.
[이종구/강원도 올림픽시설과 : "통상적으로 스포츠 목적으로 사용해 얻은 수익은 전기요금의 반도 안되거든요. 운영비를 최적화하는 게 관문이라고 생각하고."]
앞으로가 더 걱정입니다.
동계 스포츠는 선수는 물론, 동호인도 적다보니 경기장 자체가 수익을 내기 어려운 시설입니다.
또, 얼음을 제대로 다 얼린다면, 운영비가 천정부지로 치솟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정선 알파인경기장은 존폐 논란을 거듭하고 있고, 크로스컨트리와 바이애슬론 경기장도 적자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김태동/강원연구원 박사 : "대한체육회라든지 아니면 강원체육회라든지 시군체육회와 협력해 일반인을 대상으로한 프로그램들을 지속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
강원도는 2024년 동계청소년올림픽을 비롯해, 각종 국내외 대회 유치로 돌파구를 찾겠다는 계획이지만, 적자 행진을 중단시키기엔 역부족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평갑니다.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계올림픽경기장 적자 현실로…앞으로가 더 문제
-
- 입력 2020-05-04 07:43:01
- 수정2020-05-04 07:47:05

[앵커]
전 세계에 대한민국의 동계 스포츠를 각인시키고 한반도 평화 분위기 조성의 무대가 됐던 2018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난 지 2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정작 개최지인 강원도는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수천억 원을 들여 지은 시설들이 올림픽이 끝나니 적자만 내는 애물단지로 전락했기 때문입니다.
박상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018평창동계올림픽은 대한민국 동계 스포츠와 첨단 기술과 우리 문화의 저력을 보여준 큰 잔치였습니다.
2년이 지난 지금 화려했던 올림픽 무대는 계륵이 됐습니다.
강원도는 지난해 강릉 스피드스케이팅장과 하키센터, 평창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등 3개를 시범 운영하며, 수익성을 따져 봤습니다.
지난해 운영비는 36억 8천만 원, 수익은 1억 3천만 원에 그쳤습니다.
1년 적자가 35억 원이 넘는 겁니다.
얼음을 얼리고 유지하는데 든 전기료만 평소 한 달에 6천만 원, 여름철에는 1억 원을 훌쩍 넘겼습니다.
[이종구/강원도 올림픽시설과 : "통상적으로 스포츠 목적으로 사용해 얻은 수익은 전기요금의 반도 안되거든요. 운영비를 최적화하는 게 관문이라고 생각하고."]
앞으로가 더 걱정입니다.
동계 스포츠는 선수는 물론, 동호인도 적다보니 경기장 자체가 수익을 내기 어려운 시설입니다.
또, 얼음을 제대로 다 얼린다면, 운영비가 천정부지로 치솟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정선 알파인경기장은 존폐 논란을 거듭하고 있고, 크로스컨트리와 바이애슬론 경기장도 적자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김태동/강원연구원 박사 : "대한체육회라든지 아니면 강원체육회라든지 시군체육회와 협력해 일반인을 대상으로한 프로그램들을 지속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
강원도는 2024년 동계청소년올림픽을 비롯해, 각종 국내외 대회 유치로 돌파구를 찾겠다는 계획이지만, 적자 행진을 중단시키기엔 역부족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평갑니다.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전 세계에 대한민국의 동계 스포츠를 각인시키고 한반도 평화 분위기 조성의 무대가 됐던 2018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난 지 2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정작 개최지인 강원도는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수천억 원을 들여 지은 시설들이 올림픽이 끝나니 적자만 내는 애물단지로 전락했기 때문입니다.
박상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018평창동계올림픽은 대한민국 동계 스포츠와 첨단 기술과 우리 문화의 저력을 보여준 큰 잔치였습니다.
2년이 지난 지금 화려했던 올림픽 무대는 계륵이 됐습니다.
강원도는 지난해 강릉 스피드스케이팅장과 하키센터, 평창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등 3개를 시범 운영하며, 수익성을 따져 봤습니다.
지난해 운영비는 36억 8천만 원, 수익은 1억 3천만 원에 그쳤습니다.
1년 적자가 35억 원이 넘는 겁니다.
얼음을 얼리고 유지하는데 든 전기료만 평소 한 달에 6천만 원, 여름철에는 1억 원을 훌쩍 넘겼습니다.
[이종구/강원도 올림픽시설과 : "통상적으로 스포츠 목적으로 사용해 얻은 수익은 전기요금의 반도 안되거든요. 운영비를 최적화하는 게 관문이라고 생각하고."]
앞으로가 더 걱정입니다.
동계 스포츠는 선수는 물론, 동호인도 적다보니 경기장 자체가 수익을 내기 어려운 시설입니다.
또, 얼음을 제대로 다 얼린다면, 운영비가 천정부지로 치솟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정선 알파인경기장은 존폐 논란을 거듭하고 있고, 크로스컨트리와 바이애슬론 경기장도 적자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김태동/강원연구원 박사 : "대한체육회라든지 아니면 강원체육회라든지 시군체육회와 협력해 일반인을 대상으로한 프로그램들을 지속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
강원도는 2024년 동계청소년올림픽을 비롯해, 각종 국내외 대회 유치로 돌파구를 찾겠다는 계획이지만, 적자 행진을 중단시키기엔 역부족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평갑니다.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
-
박상용 기자 miso@kbs.co.kr
박상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