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지문 터널 정전 원인 조사
입력 2003.06.07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홍지문터널 화재와 관련해 경찰은 화재 당시 왜 정전이 됐고 배연시설은 왜 작동하지 않았는지 그 원인을 집중 조사하고 있습니다.
김경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터널에 불이 나자마자 정전이 된 원인은 무엇인가.
전기안전공사 등 시설 관계자들이 현장 점검에 나섰습니다.
화재열기가 정전을 일으킬 수도 있지만 전기시설 자체에 결함이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관리사무소 관계자: (가능성은) 여러 가지 종류입니다. 쇼크를 먹어서 정전될 수도 있고... 자세히 모르겠습니다.
⊙기자: 시설 관계자들은 정확한 원인을 밝히는 데는 적어도 이틀 이상 걸릴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시설관리소가 정기적으로 실시한 정전대비 훈련은 이번 화재에서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2km 가량 떨어진 문화촌 환기소에는 상주하는 직원이 없었기 때문에 차단된 전원을 복구하는 데는 19분이라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관리사무소 관계자: 현재로선 그 방법밖에 없으니까 저희도 어떻게 할 수가 없습니다.
⊙기자: 경찰은 관리소 관계자들을 불러 시설관리에 허점이 있는지 조사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설계와 시공에 문제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해 문제점이 밝혀질 경우 관계자들을 엄중 처벌할 방침입니다.
KBS뉴스 김경래입니다.
김경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터널에 불이 나자마자 정전이 된 원인은 무엇인가.
전기안전공사 등 시설 관계자들이 현장 점검에 나섰습니다.
화재열기가 정전을 일으킬 수도 있지만 전기시설 자체에 결함이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관리사무소 관계자: (가능성은) 여러 가지 종류입니다. 쇼크를 먹어서 정전될 수도 있고... 자세히 모르겠습니다.
⊙기자: 시설 관계자들은 정확한 원인을 밝히는 데는 적어도 이틀 이상 걸릴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시설관리소가 정기적으로 실시한 정전대비 훈련은 이번 화재에서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2km 가량 떨어진 문화촌 환기소에는 상주하는 직원이 없었기 때문에 차단된 전원을 복구하는 데는 19분이라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관리사무소 관계자: 현재로선 그 방법밖에 없으니까 저희도 어떻게 할 수가 없습니다.
⊙기자: 경찰은 관리소 관계자들을 불러 시설관리에 허점이 있는지 조사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설계와 시공에 문제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해 문제점이 밝혀질 경우 관계자들을 엄중 처벌할 방침입니다.
KBS뉴스 김경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홍지문 터널 정전 원인 조사
-
- 입력 2003-06-07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홍지문터널 화재와 관련해 경찰은 화재 당시 왜 정전이 됐고 배연시설은 왜 작동하지 않았는지 그 원인을 집중 조사하고 있습니다.
김경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터널에 불이 나자마자 정전이 된 원인은 무엇인가.
전기안전공사 등 시설 관계자들이 현장 점검에 나섰습니다.
화재열기가 정전을 일으킬 수도 있지만 전기시설 자체에 결함이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관리사무소 관계자: (가능성은) 여러 가지 종류입니다. 쇼크를 먹어서 정전될 수도 있고... 자세히 모르겠습니다.
⊙기자: 시설 관계자들은 정확한 원인을 밝히는 데는 적어도 이틀 이상 걸릴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시설관리소가 정기적으로 실시한 정전대비 훈련은 이번 화재에서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2km 가량 떨어진 문화촌 환기소에는 상주하는 직원이 없었기 때문에 차단된 전원을 복구하는 데는 19분이라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관리사무소 관계자: 현재로선 그 방법밖에 없으니까 저희도 어떻게 할 수가 없습니다.
⊙기자: 경찰은 관리소 관계자들을 불러 시설관리에 허점이 있는지 조사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설계와 시공에 문제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해 문제점이 밝혀질 경우 관계자들을 엄중 처벌할 방침입니다.
KBS뉴스 김경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