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악기 공방들, 위기에도 장인정신 발휘
입력 2020.06.11 (09:48)
수정 2020.06.11 (09: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로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한 건 독일의 악기 제조업계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도 이들의 장인 정신은 여전히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리포트]
엘튼 존과 앙드레 류, 메탈리카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세계적인 음악가이고, '메이드 인 작센'의 악기를 사랑한다는 점입니다.
독일 작센 주의 포크트란트 지역.
공방 100여 곳에서 1400명이 넘는 악기 제조 전문가들이 일하고 있습니다.
350년 이상의 악기 제조 역사를 가진 곳이지만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때문에 콘서트가 취소되고 음악학교들도 문을 닫아 악기 수요가 급감했기 때문입니다.
11대째 관악기를 만들고 있는 이 공방도 마찬가지입니다.
[케르스틴 포이크트/악기 제작가 : "기본적으로 고객들은 지금 당장 악기를 새로 구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럴 여력도 없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오랜 전통과 기술에 대한 자긍심으로 오늘도 악기를 만지는 손길 하나하나에 정성을 들여 혼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코로나19로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한 건 독일의 악기 제조업계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도 이들의 장인 정신은 여전히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리포트]
엘튼 존과 앙드레 류, 메탈리카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세계적인 음악가이고, '메이드 인 작센'의 악기를 사랑한다는 점입니다.
독일 작센 주의 포크트란트 지역.
공방 100여 곳에서 1400명이 넘는 악기 제조 전문가들이 일하고 있습니다.
350년 이상의 악기 제조 역사를 가진 곳이지만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때문에 콘서트가 취소되고 음악학교들도 문을 닫아 악기 수요가 급감했기 때문입니다.
11대째 관악기를 만들고 있는 이 공방도 마찬가지입니다.
[케르스틴 포이크트/악기 제작가 : "기본적으로 고객들은 지금 당장 악기를 새로 구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럴 여력도 없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오랜 전통과 기술에 대한 자긍심으로 오늘도 악기를 만지는 손길 하나하나에 정성을 들여 혼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獨 악기 공방들, 위기에도 장인정신 발휘
-
- 입력 2020-06-11 09:53:45
- 수정2020-06-11 09:57:41

[앵커]
코로나19로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한 건 독일의 악기 제조업계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도 이들의 장인 정신은 여전히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리포트]
엘튼 존과 앙드레 류, 메탈리카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세계적인 음악가이고, '메이드 인 작센'의 악기를 사랑한다는 점입니다.
독일 작센 주의 포크트란트 지역.
공방 100여 곳에서 1400명이 넘는 악기 제조 전문가들이 일하고 있습니다.
350년 이상의 악기 제조 역사를 가진 곳이지만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때문에 콘서트가 취소되고 음악학교들도 문을 닫아 악기 수요가 급감했기 때문입니다.
11대째 관악기를 만들고 있는 이 공방도 마찬가지입니다.
[케르스틴 포이크트/악기 제작가 : "기본적으로 고객들은 지금 당장 악기를 새로 구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럴 여력도 없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오랜 전통과 기술에 대한 자긍심으로 오늘도 악기를 만지는 손길 하나하나에 정성을 들여 혼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코로나19로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한 건 독일의 악기 제조업계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도 이들의 장인 정신은 여전히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리포트]
엘튼 존과 앙드레 류, 메탈리카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세계적인 음악가이고, '메이드 인 작센'의 악기를 사랑한다는 점입니다.
독일 작센 주의 포크트란트 지역.
공방 100여 곳에서 1400명이 넘는 악기 제조 전문가들이 일하고 있습니다.
350년 이상의 악기 제조 역사를 가진 곳이지만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때문에 콘서트가 취소되고 음악학교들도 문을 닫아 악기 수요가 급감했기 때문입니다.
11대째 관악기를 만들고 있는 이 공방도 마찬가지입니다.
[케르스틴 포이크트/악기 제작가 : "기본적으로 고객들은 지금 당장 악기를 새로 구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럴 여력도 없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오랜 전통과 기술에 대한 자긍심으로 오늘도 악기를 만지는 손길 하나하나에 정성을 들여 혼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