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문회서 도덕성 검증 비공개하자”…“알 권리 침해 우려”
입력 2020.06.22 (19:23)
수정 2020.06.22 (19: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고위공직자 인사청문회에서 도덕성 검증을 비공개로 하자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됐습니다.
인사청문회가 정책 검증은 뒷전인 채 후보자 '신상털기'로 변질됐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깜깜이' 청문회가 되면서 시민들의 알 권리를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계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아파트 전입 과정을 캐묻다가 갑자기 부인 이름을 확인합니다.
[진선미/당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2015년 2월/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 "혹시 사모님이 이○○씨가 아닌 것은 아니지요?"]
[이완구/국무총리 후보자/2015년 2월 : "그것은 제 자식 이름입니다."]
뜬금없이 혼인 여부를 물으며 면박을 줍니다.
[정갑윤/당시 자유한국당 의원/2019년 9월 2일/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 "지금 아직 결혼 안 하셨죠?"]
명분은 도덕성 검증인데 사실상 후보자 사생활 털기에 인신 공격입니다.
이보다는 정책 역량 검증에 충실하자며 민주당 의원 등 46명이 인사청문회법 개정안을 냈습니다.
후보자의 도덕성 등은 윤리청문회에서 비공개로 , 정책 전문성은 역량청문회에서 공개적으로 다루자는 내용입니다.
[홍영표/민주당 의원/대표발의 : "생방송 되면서 본인에 대해서 굉장히 망신주기를 한다든가, 공직의 어떤 대상자들이 굉장히 그 자체를 회피하게 되고..."]
시민단체들은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당할 수 있다며 우려합니다.
사전 검증이 미흡한 경우 자칫 '깜깜이 청문회'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겁니다.
[강성국/'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활동가 : "(역량과 윤리) 두 개를 명확하게 분리할 수가 없습니다. 투명성을 요구하는 시대에 전혀 맞지 않는 퇴행적인 제도 변화라고 할 수 있죠."]
여야가 바뀜에 따라 잣대가 달라진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2014년 당시 집권당이던 새누리당 장윤석 전 의원이 흡사한 내용의 개정안을 냈지만 폐기되기도 했습니다.
20대 국회에서도 비슷한 법안 5건이 발의됐지만 제대로 논의조차 되지 못하고 모두 폐기됐습니다.
KBS 뉴스 계현우입니다.
고위공직자 인사청문회에서 도덕성 검증을 비공개로 하자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됐습니다.
인사청문회가 정책 검증은 뒷전인 채 후보자 '신상털기'로 변질됐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깜깜이' 청문회가 되면서 시민들의 알 권리를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계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아파트 전입 과정을 캐묻다가 갑자기 부인 이름을 확인합니다.
[진선미/당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2015년 2월/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 "혹시 사모님이 이○○씨가 아닌 것은 아니지요?"]
[이완구/국무총리 후보자/2015년 2월 : "그것은 제 자식 이름입니다."]
뜬금없이 혼인 여부를 물으며 면박을 줍니다.
[정갑윤/당시 자유한국당 의원/2019년 9월 2일/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 "지금 아직 결혼 안 하셨죠?"]
명분은 도덕성 검증인데 사실상 후보자 사생활 털기에 인신 공격입니다.
이보다는 정책 역량 검증에 충실하자며 민주당 의원 등 46명이 인사청문회법 개정안을 냈습니다.
후보자의 도덕성 등은 윤리청문회에서 비공개로 , 정책 전문성은 역량청문회에서 공개적으로 다루자는 내용입니다.
[홍영표/민주당 의원/대표발의 : "생방송 되면서 본인에 대해서 굉장히 망신주기를 한다든가, 공직의 어떤 대상자들이 굉장히 그 자체를 회피하게 되고..."]
시민단체들은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당할 수 있다며 우려합니다.
사전 검증이 미흡한 경우 자칫 '깜깜이 청문회'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겁니다.
[강성국/'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활동가 : "(역량과 윤리) 두 개를 명확하게 분리할 수가 없습니다. 투명성을 요구하는 시대에 전혀 맞지 않는 퇴행적인 제도 변화라고 할 수 있죠."]
여야가 바뀜에 따라 잣대가 달라진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2014년 당시 집권당이던 새누리당 장윤석 전 의원이 흡사한 내용의 개정안을 냈지만 폐기되기도 했습니다.
20대 국회에서도 비슷한 법안 5건이 발의됐지만 제대로 논의조차 되지 못하고 모두 폐기됐습니다.
KBS 뉴스 계현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문회서 도덕성 검증 비공개하자”…“알 권리 침해 우려”
-
- 입력 2020-06-22 19:33:51
- 수정2020-06-22 19:50:48

[앵커]
고위공직자 인사청문회에서 도덕성 검증을 비공개로 하자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됐습니다.
인사청문회가 정책 검증은 뒷전인 채 후보자 '신상털기'로 변질됐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깜깜이' 청문회가 되면서 시민들의 알 권리를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계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아파트 전입 과정을 캐묻다가 갑자기 부인 이름을 확인합니다.
[진선미/당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2015년 2월/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 "혹시 사모님이 이○○씨가 아닌 것은 아니지요?"]
[이완구/국무총리 후보자/2015년 2월 : "그것은 제 자식 이름입니다."]
뜬금없이 혼인 여부를 물으며 면박을 줍니다.
[정갑윤/당시 자유한국당 의원/2019년 9월 2일/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 "지금 아직 결혼 안 하셨죠?"]
명분은 도덕성 검증인데 사실상 후보자 사생활 털기에 인신 공격입니다.
이보다는 정책 역량 검증에 충실하자며 민주당 의원 등 46명이 인사청문회법 개정안을 냈습니다.
후보자의 도덕성 등은 윤리청문회에서 비공개로 , 정책 전문성은 역량청문회에서 공개적으로 다루자는 내용입니다.
[홍영표/민주당 의원/대표발의 : "생방송 되면서 본인에 대해서 굉장히 망신주기를 한다든가, 공직의 어떤 대상자들이 굉장히 그 자체를 회피하게 되고..."]
시민단체들은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당할 수 있다며 우려합니다.
사전 검증이 미흡한 경우 자칫 '깜깜이 청문회'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겁니다.
[강성국/'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활동가 : "(역량과 윤리) 두 개를 명확하게 분리할 수가 없습니다. 투명성을 요구하는 시대에 전혀 맞지 않는 퇴행적인 제도 변화라고 할 수 있죠."]
여야가 바뀜에 따라 잣대가 달라진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2014년 당시 집권당이던 새누리당 장윤석 전 의원이 흡사한 내용의 개정안을 냈지만 폐기되기도 했습니다.
20대 국회에서도 비슷한 법안 5건이 발의됐지만 제대로 논의조차 되지 못하고 모두 폐기됐습니다.
KBS 뉴스 계현우입니다.
고위공직자 인사청문회에서 도덕성 검증을 비공개로 하자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됐습니다.
인사청문회가 정책 검증은 뒷전인 채 후보자 '신상털기'로 변질됐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깜깜이' 청문회가 되면서 시민들의 알 권리를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계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아파트 전입 과정을 캐묻다가 갑자기 부인 이름을 확인합니다.
[진선미/당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2015년 2월/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 "혹시 사모님이 이○○씨가 아닌 것은 아니지요?"]
[이완구/국무총리 후보자/2015년 2월 : "그것은 제 자식 이름입니다."]
뜬금없이 혼인 여부를 물으며 면박을 줍니다.
[정갑윤/당시 자유한국당 의원/2019년 9월 2일/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 "지금 아직 결혼 안 하셨죠?"]
명분은 도덕성 검증인데 사실상 후보자 사생활 털기에 인신 공격입니다.
이보다는 정책 역량 검증에 충실하자며 민주당 의원 등 46명이 인사청문회법 개정안을 냈습니다.
후보자의 도덕성 등은 윤리청문회에서 비공개로 , 정책 전문성은 역량청문회에서 공개적으로 다루자는 내용입니다.
[홍영표/민주당 의원/대표발의 : "생방송 되면서 본인에 대해서 굉장히 망신주기를 한다든가, 공직의 어떤 대상자들이 굉장히 그 자체를 회피하게 되고..."]
시민단체들은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당할 수 있다며 우려합니다.
사전 검증이 미흡한 경우 자칫 '깜깜이 청문회'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겁니다.
[강성국/'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활동가 : "(역량과 윤리) 두 개를 명확하게 분리할 수가 없습니다. 투명성을 요구하는 시대에 전혀 맞지 않는 퇴행적인 제도 변화라고 할 수 있죠."]
여야가 바뀜에 따라 잣대가 달라진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2014년 당시 집권당이던 새누리당 장윤석 전 의원이 흡사한 내용의 개정안을 냈지만 폐기되기도 했습니다.
20대 국회에서도 비슷한 법안 5건이 발의됐지만 제대로 논의조차 되지 못하고 모두 폐기됐습니다.
KBS 뉴스 계현우입니다.
-
-
계현우 기자 kye@kbs.co.kr
계현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