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구도 끝나기 전에…잠기고 무너질까 ‘불안’
입력 2020.07.27 (19:07)
수정 2020.07.27 (1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부산에는 또 많은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지난 2주 사이 쏟아진 집중호우로 침수피해를 입은 주민들은 피해를 복구하지도 못한 상황에서 또 다시 물이 차오를까 노심초사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정민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축대가 붕괴돼 토사 20톤이 순식간에 쏟아진 부산의 한 아파트 단지.
붕괴사고 나흘이 지나 현장을 다시 찾았습니다.
뿌리째 뽑힌 나무가 위태롭게 쓰러져 있습니다.
축대 잔해, 콘크리트 벽체 조각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나뒹굽니다.
비가 더 내릴 경우 추가 붕괴까지 우려되지만 안전 조치는 허술합니다.
빗줄기가 다시 굵어지자 주민들은 불안합니다.
[변재호/아파트 입주자 : "보시다시피 절개지가 아슬아슬하기도 하고 추가 붕괴 시에 저희는 대비책도 없는 상황입니다."]
흙이 더는 아파트 아래로 내려오지 않도록 이렇게 급한 조치는 취해놓았지만, 아직 제대로 된 복구는 시작도 하지 못했습니다.
빗물이 역사 안으로 쏟아져 들어와 한때 전동차 운행이 중단됐던 도시철도 부산역.
집중호우가 또 예보되자 급히 물막이를 쌓는 보수 작업이 한창입니다.
[김현수/부산교통공사 부산관리역장 : "재차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물막이판을 바로 설치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고, 모래주머니를 충분하게 준비하였습니다."]
두 차례나 침수 피해를 본 부산 동천 인근 주민과 상인들.
침수 피해로 못쓰게 돼 내놓은 쓰레기 더미를 아직 치우지 못했는데 다시 내리는 비가 야속하기만 합니다.
[정유화/자성대노인복지관 직원 : "저희가 이미 두 번의 침수 피해를 겪었기 때문에 직원들이 너무 많이 고생을 했거든요. 이번에는 피해를 좀 안 받았으면 좋겠어요."]
7월 내내 이어진 장마 기간에 부산에 내린 비의 양은 670mm.
누적 강수량이 최근 20년간 2위를 기록했습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
부산에는 또 많은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지난 2주 사이 쏟아진 집중호우로 침수피해를 입은 주민들은 피해를 복구하지도 못한 상황에서 또 다시 물이 차오를까 노심초사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정민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축대가 붕괴돼 토사 20톤이 순식간에 쏟아진 부산의 한 아파트 단지.
붕괴사고 나흘이 지나 현장을 다시 찾았습니다.
뿌리째 뽑힌 나무가 위태롭게 쓰러져 있습니다.
축대 잔해, 콘크리트 벽체 조각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나뒹굽니다.
비가 더 내릴 경우 추가 붕괴까지 우려되지만 안전 조치는 허술합니다.
빗줄기가 다시 굵어지자 주민들은 불안합니다.
[변재호/아파트 입주자 : "보시다시피 절개지가 아슬아슬하기도 하고 추가 붕괴 시에 저희는 대비책도 없는 상황입니다."]
흙이 더는 아파트 아래로 내려오지 않도록 이렇게 급한 조치는 취해놓았지만, 아직 제대로 된 복구는 시작도 하지 못했습니다.
빗물이 역사 안으로 쏟아져 들어와 한때 전동차 운행이 중단됐던 도시철도 부산역.
집중호우가 또 예보되자 급히 물막이를 쌓는 보수 작업이 한창입니다.
[김현수/부산교통공사 부산관리역장 : "재차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물막이판을 바로 설치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고, 모래주머니를 충분하게 준비하였습니다."]
두 차례나 침수 피해를 본 부산 동천 인근 주민과 상인들.
침수 피해로 못쓰게 돼 내놓은 쓰레기 더미를 아직 치우지 못했는데 다시 내리는 비가 야속하기만 합니다.
[정유화/자성대노인복지관 직원 : "저희가 이미 두 번의 침수 피해를 겪었기 때문에 직원들이 너무 많이 고생을 했거든요. 이번에는 피해를 좀 안 받았으면 좋겠어요."]
7월 내내 이어진 장마 기간에 부산에 내린 비의 양은 670mm.
누적 강수량이 최근 20년간 2위를 기록했습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복구도 끝나기 전에…잠기고 무너질까 ‘불안’
-
- 입력 2020-07-27 19:08:07
- 수정2020-07-27 19:45:36

[앵커]
부산에는 또 많은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지난 2주 사이 쏟아진 집중호우로 침수피해를 입은 주민들은 피해를 복구하지도 못한 상황에서 또 다시 물이 차오를까 노심초사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정민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축대가 붕괴돼 토사 20톤이 순식간에 쏟아진 부산의 한 아파트 단지.
붕괴사고 나흘이 지나 현장을 다시 찾았습니다.
뿌리째 뽑힌 나무가 위태롭게 쓰러져 있습니다.
축대 잔해, 콘크리트 벽체 조각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나뒹굽니다.
비가 더 내릴 경우 추가 붕괴까지 우려되지만 안전 조치는 허술합니다.
빗줄기가 다시 굵어지자 주민들은 불안합니다.
[변재호/아파트 입주자 : "보시다시피 절개지가 아슬아슬하기도 하고 추가 붕괴 시에 저희는 대비책도 없는 상황입니다."]
흙이 더는 아파트 아래로 내려오지 않도록 이렇게 급한 조치는 취해놓았지만, 아직 제대로 된 복구는 시작도 하지 못했습니다.
빗물이 역사 안으로 쏟아져 들어와 한때 전동차 운행이 중단됐던 도시철도 부산역.
집중호우가 또 예보되자 급히 물막이를 쌓는 보수 작업이 한창입니다.
[김현수/부산교통공사 부산관리역장 : "재차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물막이판을 바로 설치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고, 모래주머니를 충분하게 준비하였습니다."]
두 차례나 침수 피해를 본 부산 동천 인근 주민과 상인들.
침수 피해로 못쓰게 돼 내놓은 쓰레기 더미를 아직 치우지 못했는데 다시 내리는 비가 야속하기만 합니다.
[정유화/자성대노인복지관 직원 : "저희가 이미 두 번의 침수 피해를 겪었기 때문에 직원들이 너무 많이 고생을 했거든요. 이번에는 피해를 좀 안 받았으면 좋겠어요."]
7월 내내 이어진 장마 기간에 부산에 내린 비의 양은 670mm.
누적 강수량이 최근 20년간 2위를 기록했습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
부산에는 또 많은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지난 2주 사이 쏟아진 집중호우로 침수피해를 입은 주민들은 피해를 복구하지도 못한 상황에서 또 다시 물이 차오를까 노심초사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정민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축대가 붕괴돼 토사 20톤이 순식간에 쏟아진 부산의 한 아파트 단지.
붕괴사고 나흘이 지나 현장을 다시 찾았습니다.
뿌리째 뽑힌 나무가 위태롭게 쓰러져 있습니다.
축대 잔해, 콘크리트 벽체 조각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나뒹굽니다.
비가 더 내릴 경우 추가 붕괴까지 우려되지만 안전 조치는 허술합니다.
빗줄기가 다시 굵어지자 주민들은 불안합니다.
[변재호/아파트 입주자 : "보시다시피 절개지가 아슬아슬하기도 하고 추가 붕괴 시에 저희는 대비책도 없는 상황입니다."]
흙이 더는 아파트 아래로 내려오지 않도록 이렇게 급한 조치는 취해놓았지만, 아직 제대로 된 복구는 시작도 하지 못했습니다.
빗물이 역사 안으로 쏟아져 들어와 한때 전동차 운행이 중단됐던 도시철도 부산역.
집중호우가 또 예보되자 급히 물막이를 쌓는 보수 작업이 한창입니다.
[김현수/부산교통공사 부산관리역장 : "재차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물막이판을 바로 설치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고, 모래주머니를 충분하게 준비하였습니다."]
두 차례나 침수 피해를 본 부산 동천 인근 주민과 상인들.
침수 피해로 못쓰게 돼 내놓은 쓰레기 더미를 아직 치우지 못했는데 다시 내리는 비가 야속하기만 합니다.
[정유화/자성대노인복지관 직원 : "저희가 이미 두 번의 침수 피해를 겪었기 때문에 직원들이 너무 많이 고생을 했거든요. 이번에는 피해를 좀 안 받았으면 좋겠어요."]
7월 내내 이어진 장마 기간에 부산에 내린 비의 양은 670mm.
누적 강수량이 최근 20년간 2위를 기록했습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
-
-
정민규 기자 hi@kbs.co.kr
정민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