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일조량 예년 70%

입력 2003.08.18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렇게 흉작에다 병해충까지 겹친 것은 올 여름 일조량이 예년의 70% 수준에 머문 것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더욱 걱정인 것은 다음 달 상순까지도 비가 자주 올 것이라는 예보입니다.
이기문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예년 같으면 아직도 무더위가 기승을 부릴 때지만 오늘은 하루 종일 비구름이 전국을 뒤덮었습니다.
남부지방에는 호우주의보까지 내려지면서 사흘째 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 여름 전국 평균 강우량은 752mm로 예년보다 34% 많았고 특히 부산 경남지역은 예년의 2배 가량이나 됐습니다.
강우일수도 증가해 평균 이틀에 하루 꼴로 비가 내렸고 대신 기온은 예년보다 1.2도 낮았습니다.
이같이 올 여름 동안 예년보다 비가 자주, 많이 내림에 따라 농작물 생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일조시간은 예년보다 크게 줄었습니다.
지난 6월부터 어제까지 전국의 일조시간은 평균 314시간으로 예년의 70%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최근 10년 동안의 기록을 볼 때 올 여름의 일조시간이 가장 적었습니다.
⊙박정규(기상청 기후예측과장): 금년 여름철에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크게 확장하지 못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부근으로 기압골이 자주 통과하면서 비오는 날이 이례적으로 많았습니다.
⊙기자: 비가 많은 날씨는 다음 달 상순까지 계속될 것으로 전망돼 결실기에 뜨거운 햇살이 필요한 농작물이나 과일의 작황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기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올 여름 일조량 예년 70%
    • 입력 2003-08-1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이렇게 흉작에다 병해충까지 겹친 것은 올 여름 일조량이 예년의 70% 수준에 머문 것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더욱 걱정인 것은 다음 달 상순까지도 비가 자주 올 것이라는 예보입니다. 이기문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예년 같으면 아직도 무더위가 기승을 부릴 때지만 오늘은 하루 종일 비구름이 전국을 뒤덮었습니다. 남부지방에는 호우주의보까지 내려지면서 사흘째 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 여름 전국 평균 강우량은 752mm로 예년보다 34% 많았고 특히 부산 경남지역은 예년의 2배 가량이나 됐습니다. 강우일수도 증가해 평균 이틀에 하루 꼴로 비가 내렸고 대신 기온은 예년보다 1.2도 낮았습니다. 이같이 올 여름 동안 예년보다 비가 자주, 많이 내림에 따라 농작물 생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일조시간은 예년보다 크게 줄었습니다. 지난 6월부터 어제까지 전국의 일조시간은 평균 314시간으로 예년의 70%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최근 10년 동안의 기록을 볼 때 올 여름의 일조시간이 가장 적었습니다. ⊙박정규(기상청 기후예측과장): 금년 여름철에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크게 확장하지 못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부근으로 기압골이 자주 통과하면서 비오는 날이 이례적으로 많았습니다. ⊙기자: 비가 많은 날씨는 다음 달 상순까지 계속될 것으로 전망돼 결실기에 뜨거운 햇살이 필요한 농작물이나 과일의 작황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기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