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O회의, 타협까지 험난할 듯
입력 2003.09.11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 정부의 최대 목표도 농업개도국 지위를 유지하며 개방속도를 늦추는 것이지만 각 나라마다 입장차가 커서 원하는 합의점을 찾기가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금철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번 칸쿤 WTO 각료회의장은 회의장 밖 NGO들의 반대시위만큼 나라마다 첨예한 입장차로 뜨겁게 달궈진 상태입니다.
특히 농산물 수출국과 수입국간 신경전이 뜨겁습니다.
브라질과 인도, 중국 등 주요 농산물 수출국들은 선진국들을 상대로 농산물 관세인하와 보조금의 대폭 삭감을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과 EU 등 선진국들은 관세인하율 등 민감한 사안은 나중에 논의하자며 이 같은 요구를 일축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의 최대 목표는 농업개방 시기를 최대한 늦추면서 당분간 농업개도국 지위 유지와 쌀 개방폭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허상만(농림부 장관): 농업을 보호하는 그런 안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지금부터 준비를 할 것입니다.
⊙기자: 농업개도국으로 인정받지 못하면 4, 5년 후부터 쌀 시장 개방이 대폭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황두연 통상교섭본부장도 기조연설을 통해 식량안보와 농촌의 생존을 위협하는 급격한 개혁은 실패로 돌아갈 것이라며 농업 개방의 속도 조절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정부의 이 같은 입장은 미국과 EU로 대변되는 선진국 입장과도, 또 브라질과 중국 등 주요 농산물 수출국 입장과도 차이가 있는 것이어서 합의 도출은 험난한 작업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금철영입니다.
금철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번 칸쿤 WTO 각료회의장은 회의장 밖 NGO들의 반대시위만큼 나라마다 첨예한 입장차로 뜨겁게 달궈진 상태입니다.
특히 농산물 수출국과 수입국간 신경전이 뜨겁습니다.
브라질과 인도, 중국 등 주요 농산물 수출국들은 선진국들을 상대로 농산물 관세인하와 보조금의 대폭 삭감을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과 EU 등 선진국들은 관세인하율 등 민감한 사안은 나중에 논의하자며 이 같은 요구를 일축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의 최대 목표는 농업개방 시기를 최대한 늦추면서 당분간 농업개도국 지위 유지와 쌀 개방폭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허상만(농림부 장관): 농업을 보호하는 그런 안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지금부터 준비를 할 것입니다.
⊙기자: 농업개도국으로 인정받지 못하면 4, 5년 후부터 쌀 시장 개방이 대폭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황두연 통상교섭본부장도 기조연설을 통해 식량안보와 농촌의 생존을 위협하는 급격한 개혁은 실패로 돌아갈 것이라며 농업 개방의 속도 조절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정부의 이 같은 입장은 미국과 EU로 대변되는 선진국 입장과도, 또 브라질과 중국 등 주요 농산물 수출국 입장과도 차이가 있는 것이어서 합의 도출은 험난한 작업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금철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WTO회의, 타협까지 험난할 듯
-
- 입력 2003-09-11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우리 정부의 최대 목표도 농업개도국 지위를 유지하며 개방속도를 늦추는 것이지만 각 나라마다 입장차가 커서 원하는 합의점을 찾기가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금철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번 칸쿤 WTO 각료회의장은 회의장 밖 NGO들의 반대시위만큼 나라마다 첨예한 입장차로 뜨겁게 달궈진 상태입니다.
특히 농산물 수출국과 수입국간 신경전이 뜨겁습니다.
브라질과 인도, 중국 등 주요 농산물 수출국들은 선진국들을 상대로 농산물 관세인하와 보조금의 대폭 삭감을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과 EU 등 선진국들은 관세인하율 등 민감한 사안은 나중에 논의하자며 이 같은 요구를 일축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의 최대 목표는 농업개방 시기를 최대한 늦추면서 당분간 농업개도국 지위 유지와 쌀 개방폭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허상만(농림부 장관): 농업을 보호하는 그런 안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지금부터 준비를 할 것입니다.
⊙기자: 농업개도국으로 인정받지 못하면 4, 5년 후부터 쌀 시장 개방이 대폭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황두연 통상교섭본부장도 기조연설을 통해 식량안보와 농촌의 생존을 위협하는 급격한 개혁은 실패로 돌아갈 것이라며 농업 개방의 속도 조절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정부의 이 같은 입장은 미국과 EU로 대변되는 선진국 입장과도, 또 브라질과 중국 등 주요 농산물 수출국 입장과도 차이가 있는 것이어서 합의 도출은 험난한 작업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금철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