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오는데 “방 빼”?…코로나 마주한 이재민의 집단생활 ‘딜레마’
입력 2020.09.10 (13:16)
수정 2020.09.14 (13: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너진 섬진강 제방
■ 강변 살다 '물벼락'…집 잃고 대피소로
벌써 오래된 일인 듯 느껴지지만, 사실 이제 막 한 달 됐습니다. 8월 8일, 전날부터 쏟아진 비는 430mm를 넘어섰고, 500년에 한 번 온다는 이 폭우에 무섭게 불어난 강물은 기어이 섬진강 제방을 무너뜨렸습니다.
물에 잠긴 강변 마을, 전북 남원시 금지면
강변 살던 5백 명이 순식간에 들이닥친 흙탕물에 살던 곳을 내주고 이재민이 됐습니다. 이들은 당장 잘 데가 필요했습니다.
119구조대에 의해 구조되는 노인
시골 마을이라 이재민 대부분이 노인들이었습니다. 가족 집에 갈 형편이 되는 사람들은 그렇게 했고, 기댈 곳 없는 사람들은 대피소로 갔습니다. 그렇게 마을 근처 문화센터에 꾸려진 대피소에는 218명이 모여들었습니다.
■ 대피소를 떠난 사람들
이재민을 수용한 남원시 금지면 문화누리센터 대피소
대피소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네모난 텐트에 깔개를 깔면 몸을 누일만합니다. 텐트 안에는 슬리퍼에 화장지, 심지어 속옷까지 갖춰놨습니다. 때 되면 밥도 줍니다.
하지만 하루 이틀이지 사실 대피소 생활이 편할 리 없습니다. 그래서 얼마 뒤, 몇몇 주민들은 아직 엉망인 집으로 일단 돌아왔습니다.
엉망이 된 집안을 정리하는 이재민
옥상에 모기장을 치고 생활하는 이재민
흙탕 범벅이 돼 못 쓰게 된 살림들은 몽땅 버렸습니다. 장판도 걷어내고, 벽지도 뜯었습니다. 하지만 온종일 보일러를 때도 젖은 콘크리트는 잘 마르지 않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집 안에선 못 삽니다. 이재민들은 지금도 마당에서 밥을 끓여 먹고, 옥상에 텐트를 치고 삽니다.
■ 대피소에 남은 사람들, 그리고 '광복절'
다시 대피소 얘기입니다. '그래도 집이 낫다'는 사람들은 대피소를 나왔습니다. 하지만 엄두를 못 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마당 생활이 어려운 더 고령의 노인들입니다. 집이 망가진 정도가 남들보다 심한 사람들도 그렇습니다. 이들은 남는 걸 택했습니다.
그렇게 광복절이 지났습니다.
'283, 276, 315…434명' 물난리가 지나니 이번엔 감염병이 또 극성을 부리며 온 나라가 난리입니다. 막상 집 잃고 대피소로 모였을 땐 별말 없던 '거리 두기'가 다시 생활 필수 덕목이 됐습니다. 대피소 집단생활에서 그게 가능할 리 없습니다.
안달 난 건 남원시입니다. 대피소를 격리소처럼 운영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이재민들은 아침을 먹고 나면 뿔뿔이 흩어져 일상생활을 하고 저녁이면 다시 모여들었습니다. 수백 명이 한 데 먹고 자는 대피소에서 확진자가 발생한다면, 끔찍했습니다. 결론은 분명했습니다. '모여 있으면 위험해'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한 시설이 어느 순간 가장 위태로운 시설이 되자 결국 남원시는 조심스레 말을 꺼냈습니다.
"여러분들, 집으로 돌아가는 게 어떻겠습니까."
■ "태풍 오는데 어디로 가라고"
일부 주민은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아무래도 모여있으면 위험하다는 말이 옳아서입니다.
더욱이 무턱대고 나가라는 게 아니었습니다. 집 복구가 덜 끝났을 테니, 텐트와 깔개를 빌려준다고 했고, 그렇게 지내는 게 정 힘든 사람들은 마을마다 있는 경로당에서 지낼 수 있게 해주겠다는 조건도 덧붙었습니다.
하지만 또 다른 주민들은 생각이 달랐습니다. 물난리 통에 집을 잃은 것도 서러운데, 이재민을 내쫓는다고 역정을 냈습니다.
무엇보다 그들 생각에 대피소 밖은 안전하지 않았습니다. 태풍이 오고 있었습니다. 마당에, 옥상에 텐트 치고 살라니, 못 나간다 버텼습니다.
저희는 얼마 전에도 이런 말을 썼습니다. '딜레마'
[연관기사] 비워? 채워?…댐의 딜레마
■감염병 마주한 이재민의 집단생활 '딜레마'

지금 이 문제도 딜레마가 맞습니다.
둘 중 하나는 골라야 하는데, 어느 쪽을 택해도 곤란한 결과를 낳습니다. '죽느냐, 사느냐'를 중얼거린 햄릿은 이 딜레마를 풀지 못해 비극을 맞았습니다. 다행히, <이재민의 딜레마>는 비극 없이 지나고 있습니다. 대피소에 남았다가 감염병에 걸린 사람도, 대피소를 나갔다가 태풍 피해를 입은 사람도 아직은 없습니다.
감염병 위기와 자연재해, 두 가지를 동시에 겪는 일을 우리 대부분은 처음 겪어봅니다. 그래서 지금처럼 선택의 문제가 생겼습니다. 딜레마라는 건 일단 생기면 풀기 고약합니다. 가장 좋은 수는 딜레마가 없도록 예방하는 겁니다.
'감염병 위기 상황 시 이재민 수용대책' 같은 정책적 매뉴얼을 말합니다. 지혜롭게 준비한 대처 계획은 상황을 맞닥뜨렸을 때 딜레마를 물리치고 효과를 냅니다. 정부가 해야 할 일입니다.
이제 대피소에는 31명이 남았습니다. 모두 안전히, 건강히 집으로 돌아가길 바랍니다.
벌써 오래된 일인 듯 느껴지지만, 사실 이제 막 한 달 됐습니다. 8월 8일, 전날부터 쏟아진 비는 430mm를 넘어섰고, 500년에 한 번 온다는 이 폭우에 무섭게 불어난 강물은 기어이 섬진강 제방을 무너뜨렸습니다.

강변 살던 5백 명이 순식간에 들이닥친 흙탕물에 살던 곳을 내주고 이재민이 됐습니다. 이들은 당장 잘 데가 필요했습니다.

시골 마을이라 이재민 대부분이 노인들이었습니다. 가족 집에 갈 형편이 되는 사람들은 그렇게 했고, 기댈 곳 없는 사람들은 대피소로 갔습니다. 그렇게 마을 근처 문화센터에 꾸려진 대피소에는 218명이 모여들었습니다.
■ 대피소를 떠난 사람들

대피소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네모난 텐트에 깔개를 깔면 몸을 누일만합니다. 텐트 안에는 슬리퍼에 화장지, 심지어 속옷까지 갖춰놨습니다. 때 되면 밥도 줍니다.
하지만 하루 이틀이지 사실 대피소 생활이 편할 리 없습니다. 그래서 얼마 뒤, 몇몇 주민들은 아직 엉망인 집으로 일단 돌아왔습니다.


흙탕 범벅이 돼 못 쓰게 된 살림들은 몽땅 버렸습니다. 장판도 걷어내고, 벽지도 뜯었습니다. 하지만 온종일 보일러를 때도 젖은 콘크리트는 잘 마르지 않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집 안에선 못 삽니다. 이재민들은 지금도 마당에서 밥을 끓여 먹고, 옥상에 텐트를 치고 삽니다.
■ 대피소에 남은 사람들, 그리고 '광복절'
다시 대피소 얘기입니다. '그래도 집이 낫다'는 사람들은 대피소를 나왔습니다. 하지만 엄두를 못 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마당 생활이 어려운 더 고령의 노인들입니다. 집이 망가진 정도가 남들보다 심한 사람들도 그렇습니다. 이들은 남는 걸 택했습니다.
그렇게 광복절이 지났습니다.
'283, 276, 315…434명' 물난리가 지나니 이번엔 감염병이 또 극성을 부리며 온 나라가 난리입니다. 막상 집 잃고 대피소로 모였을 땐 별말 없던 '거리 두기'가 다시 생활 필수 덕목이 됐습니다. 대피소 집단생활에서 그게 가능할 리 없습니다.
안달 난 건 남원시입니다. 대피소를 격리소처럼 운영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이재민들은 아침을 먹고 나면 뿔뿔이 흩어져 일상생활을 하고 저녁이면 다시 모여들었습니다. 수백 명이 한 데 먹고 자는 대피소에서 확진자가 발생한다면, 끔찍했습니다. 결론은 분명했습니다. '모여 있으면 위험해'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한 시설이 어느 순간 가장 위태로운 시설이 되자 결국 남원시는 조심스레 말을 꺼냈습니다.
"여러분들, 집으로 돌아가는 게 어떻겠습니까."
■ "태풍 오는데 어디로 가라고"
일부 주민은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아무래도 모여있으면 위험하다는 말이 옳아서입니다.
더욱이 무턱대고 나가라는 게 아니었습니다. 집 복구가 덜 끝났을 테니, 텐트와 깔개를 빌려준다고 했고, 그렇게 지내는 게 정 힘든 사람들은 마을마다 있는 경로당에서 지낼 수 있게 해주겠다는 조건도 덧붙었습니다.
하지만 또 다른 주민들은 생각이 달랐습니다. 물난리 통에 집을 잃은 것도 서러운데, 이재민을 내쫓는다고 역정을 냈습니다.
무엇보다 그들 생각에 대피소 밖은 안전하지 않았습니다. 태풍이 오고 있었습니다. 마당에, 옥상에 텐트 치고 살라니, 못 나간다 버텼습니다.
저희는 얼마 전에도 이런 말을 썼습니다. '딜레마'
[연관기사] 비워? 채워?…댐의 딜레마
■감염병 마주한 이재민의 집단생활 '딜레마'

지금 이 문제도 딜레마가 맞습니다.
둘 중 하나는 골라야 하는데, 어느 쪽을 택해도 곤란한 결과를 낳습니다. '죽느냐, 사느냐'를 중얼거린 햄릿은 이 딜레마를 풀지 못해 비극을 맞았습니다. 다행히, <이재민의 딜레마>는 비극 없이 지나고 있습니다. 대피소에 남았다가 감염병에 걸린 사람도, 대피소를 나갔다가 태풍 피해를 입은 사람도 아직은 없습니다.
감염병 위기와 자연재해, 두 가지를 동시에 겪는 일을 우리 대부분은 처음 겪어봅니다. 그래서 지금처럼 선택의 문제가 생겼습니다. 딜레마라는 건 일단 생기면 풀기 고약합니다. 가장 좋은 수는 딜레마가 없도록 예방하는 겁니다.
'감염병 위기 상황 시 이재민 수용대책' 같은 정책적 매뉴얼을 말합니다. 지혜롭게 준비한 대처 계획은 상황을 맞닥뜨렸을 때 딜레마를 물리치고 효과를 냅니다. 정부가 해야 할 일입니다.
이제 대피소에는 31명이 남았습니다. 모두 안전히, 건강히 집으로 돌아가길 바랍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태풍 오는데 “방 빼”?…코로나 마주한 이재민의 집단생활 ‘딜레마’
-
- 입력 2020-09-10 13:16:28
- 수정2020-09-14 13:57:07

무너진 섬진강 제방
■ 강변 살다 '물벼락'…집 잃고 대피소로
벌써 오래된 일인 듯 느껴지지만, 사실 이제 막 한 달 됐습니다. 8월 8일, 전날부터 쏟아진 비는 430mm를 넘어섰고, 500년에 한 번 온다는 이 폭우에 무섭게 불어난 강물은 기어이 섬진강 제방을 무너뜨렸습니다.

강변 살던 5백 명이 순식간에 들이닥친 흙탕물에 살던 곳을 내주고 이재민이 됐습니다. 이들은 당장 잘 데가 필요했습니다.

시골 마을이라 이재민 대부분이 노인들이었습니다. 가족 집에 갈 형편이 되는 사람들은 그렇게 했고, 기댈 곳 없는 사람들은 대피소로 갔습니다. 그렇게 마을 근처 문화센터에 꾸려진 대피소에는 218명이 모여들었습니다.
■ 대피소를 떠난 사람들

대피소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네모난 텐트에 깔개를 깔면 몸을 누일만합니다. 텐트 안에는 슬리퍼에 화장지, 심지어 속옷까지 갖춰놨습니다. 때 되면 밥도 줍니다.
하지만 하루 이틀이지 사실 대피소 생활이 편할 리 없습니다. 그래서 얼마 뒤, 몇몇 주민들은 아직 엉망인 집으로 일단 돌아왔습니다.


흙탕 범벅이 돼 못 쓰게 된 살림들은 몽땅 버렸습니다. 장판도 걷어내고, 벽지도 뜯었습니다. 하지만 온종일 보일러를 때도 젖은 콘크리트는 잘 마르지 않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집 안에선 못 삽니다. 이재민들은 지금도 마당에서 밥을 끓여 먹고, 옥상에 텐트를 치고 삽니다.
■ 대피소에 남은 사람들, 그리고 '광복절'
다시 대피소 얘기입니다. '그래도 집이 낫다'는 사람들은 대피소를 나왔습니다. 하지만 엄두를 못 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마당 생활이 어려운 더 고령의 노인들입니다. 집이 망가진 정도가 남들보다 심한 사람들도 그렇습니다. 이들은 남는 걸 택했습니다.
그렇게 광복절이 지났습니다.
'283, 276, 315…434명' 물난리가 지나니 이번엔 감염병이 또 극성을 부리며 온 나라가 난리입니다. 막상 집 잃고 대피소로 모였을 땐 별말 없던 '거리 두기'가 다시 생활 필수 덕목이 됐습니다. 대피소 집단생활에서 그게 가능할 리 없습니다.
안달 난 건 남원시입니다. 대피소를 격리소처럼 운영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이재민들은 아침을 먹고 나면 뿔뿔이 흩어져 일상생활을 하고 저녁이면 다시 모여들었습니다. 수백 명이 한 데 먹고 자는 대피소에서 확진자가 발생한다면, 끔찍했습니다. 결론은 분명했습니다. '모여 있으면 위험해'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한 시설이 어느 순간 가장 위태로운 시설이 되자 결국 남원시는 조심스레 말을 꺼냈습니다.
"여러분들, 집으로 돌아가는 게 어떻겠습니까."
■ "태풍 오는데 어디로 가라고"
일부 주민은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아무래도 모여있으면 위험하다는 말이 옳아서입니다.
더욱이 무턱대고 나가라는 게 아니었습니다. 집 복구가 덜 끝났을 테니, 텐트와 깔개를 빌려준다고 했고, 그렇게 지내는 게 정 힘든 사람들은 마을마다 있는 경로당에서 지낼 수 있게 해주겠다는 조건도 덧붙었습니다.
하지만 또 다른 주민들은 생각이 달랐습니다. 물난리 통에 집을 잃은 것도 서러운데, 이재민을 내쫓는다고 역정을 냈습니다.
무엇보다 그들 생각에 대피소 밖은 안전하지 않았습니다. 태풍이 오고 있었습니다. 마당에, 옥상에 텐트 치고 살라니, 못 나간다 버텼습니다.
저희는 얼마 전에도 이런 말을 썼습니다. '딜레마'
[연관기사] 비워? 채워?…댐의 딜레마
■감염병 마주한 이재민의 집단생활 '딜레마'

지금 이 문제도 딜레마가 맞습니다.
둘 중 하나는 골라야 하는데, 어느 쪽을 택해도 곤란한 결과를 낳습니다. '죽느냐, 사느냐'를 중얼거린 햄릿은 이 딜레마를 풀지 못해 비극을 맞았습니다. 다행히, <이재민의 딜레마>는 비극 없이 지나고 있습니다. 대피소에 남았다가 감염병에 걸린 사람도, 대피소를 나갔다가 태풍 피해를 입은 사람도 아직은 없습니다.
감염병 위기와 자연재해, 두 가지를 동시에 겪는 일을 우리 대부분은 처음 겪어봅니다. 그래서 지금처럼 선택의 문제가 생겼습니다. 딜레마라는 건 일단 생기면 풀기 고약합니다. 가장 좋은 수는 딜레마가 없도록 예방하는 겁니다.
'감염병 위기 상황 시 이재민 수용대책' 같은 정책적 매뉴얼을 말합니다. 지혜롭게 준비한 대처 계획은 상황을 맞닥뜨렸을 때 딜레마를 물리치고 효과를 냅니다. 정부가 해야 할 일입니다.
이제 대피소에는 31명이 남았습니다. 모두 안전히, 건강히 집으로 돌아가길 바랍니다.
벌써 오래된 일인 듯 느껴지지만, 사실 이제 막 한 달 됐습니다. 8월 8일, 전날부터 쏟아진 비는 430mm를 넘어섰고, 500년에 한 번 온다는 이 폭우에 무섭게 불어난 강물은 기어이 섬진강 제방을 무너뜨렸습니다.

강변 살던 5백 명이 순식간에 들이닥친 흙탕물에 살던 곳을 내주고 이재민이 됐습니다. 이들은 당장 잘 데가 필요했습니다.

시골 마을이라 이재민 대부분이 노인들이었습니다. 가족 집에 갈 형편이 되는 사람들은 그렇게 했고, 기댈 곳 없는 사람들은 대피소로 갔습니다. 그렇게 마을 근처 문화센터에 꾸려진 대피소에는 218명이 모여들었습니다.
■ 대피소를 떠난 사람들

대피소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네모난 텐트에 깔개를 깔면 몸을 누일만합니다. 텐트 안에는 슬리퍼에 화장지, 심지어 속옷까지 갖춰놨습니다. 때 되면 밥도 줍니다.
하지만 하루 이틀이지 사실 대피소 생활이 편할 리 없습니다. 그래서 얼마 뒤, 몇몇 주민들은 아직 엉망인 집으로 일단 돌아왔습니다.


흙탕 범벅이 돼 못 쓰게 된 살림들은 몽땅 버렸습니다. 장판도 걷어내고, 벽지도 뜯었습니다. 하지만 온종일 보일러를 때도 젖은 콘크리트는 잘 마르지 않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집 안에선 못 삽니다. 이재민들은 지금도 마당에서 밥을 끓여 먹고, 옥상에 텐트를 치고 삽니다.
■ 대피소에 남은 사람들, 그리고 '광복절'
다시 대피소 얘기입니다. '그래도 집이 낫다'는 사람들은 대피소를 나왔습니다. 하지만 엄두를 못 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마당 생활이 어려운 더 고령의 노인들입니다. 집이 망가진 정도가 남들보다 심한 사람들도 그렇습니다. 이들은 남는 걸 택했습니다.
그렇게 광복절이 지났습니다.
'283, 276, 315…434명' 물난리가 지나니 이번엔 감염병이 또 극성을 부리며 온 나라가 난리입니다. 막상 집 잃고 대피소로 모였을 땐 별말 없던 '거리 두기'가 다시 생활 필수 덕목이 됐습니다. 대피소 집단생활에서 그게 가능할 리 없습니다.
안달 난 건 남원시입니다. 대피소를 격리소처럼 운영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이재민들은 아침을 먹고 나면 뿔뿔이 흩어져 일상생활을 하고 저녁이면 다시 모여들었습니다. 수백 명이 한 데 먹고 자는 대피소에서 확진자가 발생한다면, 끔찍했습니다. 결론은 분명했습니다. '모여 있으면 위험해'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한 시설이 어느 순간 가장 위태로운 시설이 되자 결국 남원시는 조심스레 말을 꺼냈습니다.
"여러분들, 집으로 돌아가는 게 어떻겠습니까."
■ "태풍 오는데 어디로 가라고"
일부 주민은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아무래도 모여있으면 위험하다는 말이 옳아서입니다.
더욱이 무턱대고 나가라는 게 아니었습니다. 집 복구가 덜 끝났을 테니, 텐트와 깔개를 빌려준다고 했고, 그렇게 지내는 게 정 힘든 사람들은 마을마다 있는 경로당에서 지낼 수 있게 해주겠다는 조건도 덧붙었습니다.
하지만 또 다른 주민들은 생각이 달랐습니다. 물난리 통에 집을 잃은 것도 서러운데, 이재민을 내쫓는다고 역정을 냈습니다.
무엇보다 그들 생각에 대피소 밖은 안전하지 않았습니다. 태풍이 오고 있었습니다. 마당에, 옥상에 텐트 치고 살라니, 못 나간다 버텼습니다.
저희는 얼마 전에도 이런 말을 썼습니다. '딜레마'
[연관기사] 비워? 채워?…댐의 딜레마
■감염병 마주한 이재민의 집단생활 '딜레마'

지금 이 문제도 딜레마가 맞습니다.
둘 중 하나는 골라야 하는데, 어느 쪽을 택해도 곤란한 결과를 낳습니다. '죽느냐, 사느냐'를 중얼거린 햄릿은 이 딜레마를 풀지 못해 비극을 맞았습니다. 다행히, <이재민의 딜레마>는 비극 없이 지나고 있습니다. 대피소에 남았다가 감염병에 걸린 사람도, 대피소를 나갔다가 태풍 피해를 입은 사람도 아직은 없습니다.
감염병 위기와 자연재해, 두 가지를 동시에 겪는 일을 우리 대부분은 처음 겪어봅니다. 그래서 지금처럼 선택의 문제가 생겼습니다. 딜레마라는 건 일단 생기면 풀기 고약합니다. 가장 좋은 수는 딜레마가 없도록 예방하는 겁니다.
'감염병 위기 상황 시 이재민 수용대책' 같은 정책적 매뉴얼을 말합니다. 지혜롭게 준비한 대처 계획은 상황을 맞닥뜨렸을 때 딜레마를 물리치고 효과를 냅니다. 정부가 해야 할 일입니다.
이제 대피소에는 31명이 남았습니다. 모두 안전히, 건강히 집으로 돌아가길 바랍니다.
-
-
오정현 기자 ohhh@kbs.co.kr
오정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10호 태풍 하이선·9호 태풍 마이삭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