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장들 사과했지만, 정부 “어려운 문제다”…‘대리사과’ 논란도

입력 2020.10.08 (21:24) 수정 2020.10.08 (21: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의대생들의 국가고시 재응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요 대학병원장들이 오늘(8일) 국민에게 사과했습니다.

학생들에게 기회를 한번 더 달라는 취지였는데, 여론을 어떻게 수습하느냐가 최대 과제로 보입니다.

보도에 김민혁 기잡니다.

[리포트]

시험을 거부했던 의대생들에게 의사 국가고시 재시험을 치르게 해줘선 안된다는 청와대 국민청원, 현재까지 57만여 명이 동의했습니다.

여론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엔 주요 대학 병원장들이 나섰습니다.

어려운 시기, 국민께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먼저 고개를 숙였습니다.

[김영훈/고려대학교 의료원장 : "국민들의 마음을 잘 헤아리지 못한 이 점을 깊이 반성합니다. 질책은 선배들에게 해주십시오."]

신규 의사가 배출되지 못할 경우 심각한 의료 공백이 우려된다며 국민권익위원회 차원의 중재도 요청했습니다.

[전현희/국민권익위원장 : "권익위에서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공감과 또 동의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시험 당사자인 의대생이 아닌 선배 의사들만 나서는 데 대해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신현영/더불어민주당 의원 : "지금 본과 4학년 의대생들의 마음 상태가 어떤가요? 실제로 직접 대국민 사과를 할 가능성 없는지도 말씀해주십시오."]

[박능후/보건복지부 장관 : "정부가 1년에 수백 개씩 치르고 있는 국가시험 중 어느 한 시험만 예외적으로 응시자들의 요구에 의해서 거부되고 재응시한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정말 어려운 문제입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뒤늦게라도 사과 표현을 한 것은 다행이지만 "국민 안전이 위협받았는데, 의료 행위에 있어 배타적 권리가 있는 의사들이 이를 이행하지 않고, 단체행동을 한 것에 대해 명확히 해소되지 않았다며 아쉬움을 나타냈습니다.

정부는 달라진 게 없다면서도 국민적 동의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국회에서 이를 논의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KBS 뉴스 김민혁입니다.

촬영기자:김휴동 최원석 박세준/영상편집:권형욱/그래픽:이희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병원장들 사과했지만, 정부 “어려운 문제다”…‘대리사과’ 논란도
    • 입력 2020-10-08 21:24:26
    • 수정2020-10-08 21:33:39
    뉴스 9
[앵커]

의대생들의 국가고시 재응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요 대학병원장들이 오늘(8일) 국민에게 사과했습니다.

학생들에게 기회를 한번 더 달라는 취지였는데, 여론을 어떻게 수습하느냐가 최대 과제로 보입니다.

보도에 김민혁 기잡니다.

[리포트]

시험을 거부했던 의대생들에게 의사 국가고시 재시험을 치르게 해줘선 안된다는 청와대 국민청원, 현재까지 57만여 명이 동의했습니다.

여론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엔 주요 대학 병원장들이 나섰습니다.

어려운 시기, 국민께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먼저 고개를 숙였습니다.

[김영훈/고려대학교 의료원장 : "국민들의 마음을 잘 헤아리지 못한 이 점을 깊이 반성합니다. 질책은 선배들에게 해주십시오."]

신규 의사가 배출되지 못할 경우 심각한 의료 공백이 우려된다며 국민권익위원회 차원의 중재도 요청했습니다.

[전현희/국민권익위원장 : "권익위에서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공감과 또 동의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시험 당사자인 의대생이 아닌 선배 의사들만 나서는 데 대해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신현영/더불어민주당 의원 : "지금 본과 4학년 의대생들의 마음 상태가 어떤가요? 실제로 직접 대국민 사과를 할 가능성 없는지도 말씀해주십시오."]

[박능후/보건복지부 장관 : "정부가 1년에 수백 개씩 치르고 있는 국가시험 중 어느 한 시험만 예외적으로 응시자들의 요구에 의해서 거부되고 재응시한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정말 어려운 문제입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뒤늦게라도 사과 표현을 한 것은 다행이지만 "국민 안전이 위협받았는데, 의료 행위에 있어 배타적 권리가 있는 의사들이 이를 이행하지 않고, 단체행동을 한 것에 대해 명확히 해소되지 않았다며 아쉬움을 나타냈습니다.

정부는 달라진 게 없다면서도 국민적 동의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국회에서 이를 논의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KBS 뉴스 김민혁입니다.

촬영기자:김휴동 최원석 박세준/영상편집:권형욱/그래픽:이희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