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진주] “형제봉에 반달곰 서식”…하동 산악열차 난항
입력 2020.10.19 (19:48)
수정 2020.10.19 (20: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진주국 연결해서 하동 산악열차 사업과 서부권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안유리 아나운서입니다.
[답변]
지리산 형제봉에 반달곰이 서식한다는 환경부의 공식 발표로, 하동 산악열차 사업이 또 다시 난항을 겪게 됐습니다.
찬반 논란 속에서 산림 관광 과제로 '알프스 하동 프로젝트'를 추진했던 기획재정부도 사업을 다시 검토하겠다고 입장을 번복했습니다.
윤현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8월, 천연기념물인 반달가슴곰 네 마리가 지리산 형제봉에 서식하는 흔적이 폐쇄회로TV와 위치추적기로 확인됐습니다.
국립공원공단은 위치추적기가 부착되지 않은 반달곰들도 서식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환경부가 279억 원을 투입한 지리산 반달곰 복원사업의 결과입니다.
이 형제봉에 하동군이 산악열차 사업을 추진하자 환경부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송항수/환경부 국토환경정책과 사무관 : "저희는 산악열차뿐만 아니라 어떠한 개발사업에 대해서도 자연생태 우수지역에 환경영향평가가 들어오는 경우, 입지 타당성 및 환경적 영향을 면밀히 검토할 예정입니다.]
하동군의 추진계획서는 형제봉 일대에 반달곰이 출현하긴 하지만 주요 활동범위가 아니라고 밝혀 환경부 자료와 배치됩니다.
사회적 타협 방식인 '한걸음 모델'의 3대 과제로 '알프스 하동 프로젝트'를 선정해 중재에 나섰던 기획재정부는 한 발 물러섰습니다.
[정원희/기획재정부 혁신성장추진기획단 사무관 : "조정기구에 환경단체도 들어와 계시고 환경 전문가들도 많이 들어와 계시니까 조정기구 논의되는 것에 따라서 따르겠다는 입장이지. 기본적으로 하자 말자는 입장이 아니에요."]
기획재정부는 오는 29일과 30일 지리산 형제봉 현장 답사와 함께 5차 회의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윤현서입니다.
촬영기자:최석규/그래픽:박수홍
▲진주시의원 10명 ‘채용비리 특위’ 불발에 반발
▲세월호 유가족 ‘4·16 진실버스’ 진주 찾아
광주·대구고속도로 서함양 하이패스IC 개통
광주·대구고속도로 서함양 하이패스 나들목이 오늘(19일) 개통했습니다.
함양군과 한국도로공사가 사업비 83억 원을 들여 지은 서함양 하이패스 나들목은 총 길이 1.79km, 폭 7.6m에 회차로와 무인영업 시설을 갖췄습니다.
이번 개통으로 서함양 나들목에서 함양산삼엑스포 행사장인 상림공원까지 2분, 대봉산휴양밸리까지 5분 정도 걸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진주국 연결해서 하동 산악열차 사업과 서부권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안유리 아나운서입니다.
[답변]
지리산 형제봉에 반달곰이 서식한다는 환경부의 공식 발표로, 하동 산악열차 사업이 또 다시 난항을 겪게 됐습니다.
찬반 논란 속에서 산림 관광 과제로 '알프스 하동 프로젝트'를 추진했던 기획재정부도 사업을 다시 검토하겠다고 입장을 번복했습니다.
윤현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8월, 천연기념물인 반달가슴곰 네 마리가 지리산 형제봉에 서식하는 흔적이 폐쇄회로TV와 위치추적기로 확인됐습니다.
국립공원공단은 위치추적기가 부착되지 않은 반달곰들도 서식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환경부가 279억 원을 투입한 지리산 반달곰 복원사업의 결과입니다.
이 형제봉에 하동군이 산악열차 사업을 추진하자 환경부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송항수/환경부 국토환경정책과 사무관 : "저희는 산악열차뿐만 아니라 어떠한 개발사업에 대해서도 자연생태 우수지역에 환경영향평가가 들어오는 경우, 입지 타당성 및 환경적 영향을 면밀히 검토할 예정입니다.]
하동군의 추진계획서는 형제봉 일대에 반달곰이 출현하긴 하지만 주요 활동범위가 아니라고 밝혀 환경부 자료와 배치됩니다.
사회적 타협 방식인 '한걸음 모델'의 3대 과제로 '알프스 하동 프로젝트'를 선정해 중재에 나섰던 기획재정부는 한 발 물러섰습니다.
[정원희/기획재정부 혁신성장추진기획단 사무관 : "조정기구에 환경단체도 들어와 계시고 환경 전문가들도 많이 들어와 계시니까 조정기구 논의되는 것에 따라서 따르겠다는 입장이지. 기본적으로 하자 말자는 입장이 아니에요."]
기획재정부는 오는 29일과 30일 지리산 형제봉 현장 답사와 함께 5차 회의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윤현서입니다.
촬영기자:최석규/그래픽:박수홍
▲진주시의원 10명 ‘채용비리 특위’ 불발에 반발
▲세월호 유가족 ‘4·16 진실버스’ 진주 찾아
광주·대구고속도로 서함양 하이패스IC 개통
광주·대구고속도로 서함양 하이패스 나들목이 오늘(19일) 개통했습니다.
함양군과 한국도로공사가 사업비 83억 원을 들여 지은 서함양 하이패스 나들목은 총 길이 1.79km, 폭 7.6m에 회차로와 무인영업 시설을 갖췄습니다.
이번 개통으로 서함양 나들목에서 함양산삼엑스포 행사장인 상림공원까지 2분, 대봉산휴양밸리까지 5분 정도 걸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진주] “형제봉에 반달곰 서식”…하동 산악열차 난항
-
- 입력 2020-10-19 19:48:00
- 수정2020-10-19 20:16:54

[앵커]
진주국 연결해서 하동 산악열차 사업과 서부권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안유리 아나운서입니다.
[답변]
지리산 형제봉에 반달곰이 서식한다는 환경부의 공식 발표로, 하동 산악열차 사업이 또 다시 난항을 겪게 됐습니다.
찬반 논란 속에서 산림 관광 과제로 '알프스 하동 프로젝트'를 추진했던 기획재정부도 사업을 다시 검토하겠다고 입장을 번복했습니다.
윤현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8월, 천연기념물인 반달가슴곰 네 마리가 지리산 형제봉에 서식하는 흔적이 폐쇄회로TV와 위치추적기로 확인됐습니다.
국립공원공단은 위치추적기가 부착되지 않은 반달곰들도 서식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환경부가 279억 원을 투입한 지리산 반달곰 복원사업의 결과입니다.
이 형제봉에 하동군이 산악열차 사업을 추진하자 환경부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송항수/환경부 국토환경정책과 사무관 : "저희는 산악열차뿐만 아니라 어떠한 개발사업에 대해서도 자연생태 우수지역에 환경영향평가가 들어오는 경우, 입지 타당성 및 환경적 영향을 면밀히 검토할 예정입니다.]
하동군의 추진계획서는 형제봉 일대에 반달곰이 출현하긴 하지만 주요 활동범위가 아니라고 밝혀 환경부 자료와 배치됩니다.
사회적 타협 방식인 '한걸음 모델'의 3대 과제로 '알프스 하동 프로젝트'를 선정해 중재에 나섰던 기획재정부는 한 발 물러섰습니다.
[정원희/기획재정부 혁신성장추진기획단 사무관 : "조정기구에 환경단체도 들어와 계시고 환경 전문가들도 많이 들어와 계시니까 조정기구 논의되는 것에 따라서 따르겠다는 입장이지. 기본적으로 하자 말자는 입장이 아니에요."]
기획재정부는 오는 29일과 30일 지리산 형제봉 현장 답사와 함께 5차 회의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윤현서입니다.
촬영기자:최석규/그래픽:박수홍
▲진주시의원 10명 ‘채용비리 특위’ 불발에 반발
▲세월호 유가족 ‘4·16 진실버스’ 진주 찾아
광주·대구고속도로 서함양 하이패스IC 개통
광주·대구고속도로 서함양 하이패스 나들목이 오늘(19일) 개통했습니다.
함양군과 한국도로공사가 사업비 83억 원을 들여 지은 서함양 하이패스 나들목은 총 길이 1.79km, 폭 7.6m에 회차로와 무인영업 시설을 갖췄습니다.
이번 개통으로 서함양 나들목에서 함양산삼엑스포 행사장인 상림공원까지 2분, 대봉산휴양밸리까지 5분 정도 걸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진주국 연결해서 하동 산악열차 사업과 서부권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안유리 아나운서입니다.
[답변]
지리산 형제봉에 반달곰이 서식한다는 환경부의 공식 발표로, 하동 산악열차 사업이 또 다시 난항을 겪게 됐습니다.
찬반 논란 속에서 산림 관광 과제로 '알프스 하동 프로젝트'를 추진했던 기획재정부도 사업을 다시 검토하겠다고 입장을 번복했습니다.
윤현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8월, 천연기념물인 반달가슴곰 네 마리가 지리산 형제봉에 서식하는 흔적이 폐쇄회로TV와 위치추적기로 확인됐습니다.
국립공원공단은 위치추적기가 부착되지 않은 반달곰들도 서식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환경부가 279억 원을 투입한 지리산 반달곰 복원사업의 결과입니다.
이 형제봉에 하동군이 산악열차 사업을 추진하자 환경부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송항수/환경부 국토환경정책과 사무관 : "저희는 산악열차뿐만 아니라 어떠한 개발사업에 대해서도 자연생태 우수지역에 환경영향평가가 들어오는 경우, 입지 타당성 및 환경적 영향을 면밀히 검토할 예정입니다.]
하동군의 추진계획서는 형제봉 일대에 반달곰이 출현하긴 하지만 주요 활동범위가 아니라고 밝혀 환경부 자료와 배치됩니다.
사회적 타협 방식인 '한걸음 모델'의 3대 과제로 '알프스 하동 프로젝트'를 선정해 중재에 나섰던 기획재정부는 한 발 물러섰습니다.
[정원희/기획재정부 혁신성장추진기획단 사무관 : "조정기구에 환경단체도 들어와 계시고 환경 전문가들도 많이 들어와 계시니까 조정기구 논의되는 것에 따라서 따르겠다는 입장이지. 기본적으로 하자 말자는 입장이 아니에요."]
기획재정부는 오는 29일과 30일 지리산 형제봉 현장 답사와 함께 5차 회의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윤현서입니다.
촬영기자:최석규/그래픽:박수홍
▲진주시의원 10명 ‘채용비리 특위’ 불발에 반발
▲세월호 유가족 ‘4·16 진실버스’ 진주 찾아
광주·대구고속도로 서함양 하이패스IC 개통
광주·대구고속도로 서함양 하이패스 나들목이 오늘(19일) 개통했습니다.
함양군과 한국도로공사가 사업비 83억 원을 들여 지은 서함양 하이패스 나들목은 총 길이 1.79km, 폭 7.6m에 회차로와 무인영업 시설을 갖췄습니다.
이번 개통으로 서함양 나들목에서 함양산삼엑스포 행사장인 상림공원까지 2분, 대봉산휴양밸리까지 5분 정도 걸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