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 무법자 ‘전동 퀵보드’…출입 통제 고민

입력 2020.11.23 (21:43) 수정 2020.11.23 (21: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전동 킥보드가 개인 이동 수단으로 큰 인기를 끌면서, 특히 대학 캠퍼스 안에서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사고가 속출하자 일부 학교에서는 출입을 통제하는 등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홍정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캠퍼스 안 내리막길.

전동 킥보드 두 대가 거침없이 질주합니다.

1인용인 킥보드에 둘이 함께 타기도 합니다.

학내에 전동 킥보드 출입을 금지하는 안내막이 걸렸지만,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지난 학기 초 캠퍼스에 공유 킥보드가 들어오면서 한 달도 채 안 돼 네 번이나 119가 출동하는 안전사고가 잇따랐습니다.

학교 측이 공유 킥보드 업체에 관리 구역에서 빼달라고 요구했지만 소용이 없습니다.

[최성규/한남대 시설관리팀장 : "(업체) 쪽에서는 사용자가 어디에서 쓰는지 모르기 때문에 (구역을 제한할 수) 없다. 사용자가 어디로 가는 줄 알고 제한 하느냐 (라고 말합니다)."]

전동 킥보드 이용을 허용한 대학들도 고충은 마찬가지.

헬멧을 안 쓰는 건 물론, 교정 곳곳에 아무렇게나 킥보드를 놔두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용자들은 학내에서 편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전동 킥보드를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전동 킥보드 이용 대학생 : "학교가 너무 넓어서 집까지 이동하는 데 50분 정도 걸리거든요. 그것 때문에 좀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 같아요."]

다음 달부터는 관련 규제 완화로 전동 킥보드 이용이 더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동 킥보드에 대한 안전 대책 마련을 놓고 대학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홍정표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캠퍼스 무법자 ‘전동 퀵보드’…출입 통제 고민
    • 입력 2020-11-23 21:43:25
    • 수정2020-11-23 21:52:11
    뉴스9(대전)
[앵커]

요즘 전동 킥보드가 개인 이동 수단으로 큰 인기를 끌면서, 특히 대학 캠퍼스 안에서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사고가 속출하자 일부 학교에서는 출입을 통제하는 등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홍정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캠퍼스 안 내리막길.

전동 킥보드 두 대가 거침없이 질주합니다.

1인용인 킥보드에 둘이 함께 타기도 합니다.

학내에 전동 킥보드 출입을 금지하는 안내막이 걸렸지만,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지난 학기 초 캠퍼스에 공유 킥보드가 들어오면서 한 달도 채 안 돼 네 번이나 119가 출동하는 안전사고가 잇따랐습니다.

학교 측이 공유 킥보드 업체에 관리 구역에서 빼달라고 요구했지만 소용이 없습니다.

[최성규/한남대 시설관리팀장 : "(업체) 쪽에서는 사용자가 어디에서 쓰는지 모르기 때문에 (구역을 제한할 수) 없다. 사용자가 어디로 가는 줄 알고 제한 하느냐 (라고 말합니다)."]

전동 킥보드 이용을 허용한 대학들도 고충은 마찬가지.

헬멧을 안 쓰는 건 물론, 교정 곳곳에 아무렇게나 킥보드를 놔두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용자들은 학내에서 편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전동 킥보드를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전동 킥보드 이용 대학생 : "학교가 너무 넓어서 집까지 이동하는 데 50분 정도 걸리거든요. 그것 때문에 좀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 같아요."]

다음 달부터는 관련 규제 완화로 전동 킥보드 이용이 더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동 킥보드에 대한 안전 대책 마련을 놓고 대학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홍정표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