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방류 피해 석달…원인 조사·보상은 제자리

입력 2020.11.25 (12:31) 수정 2020.11.25 (13: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 여름 집중호우 때 댐 방류로 침수 피해가 난 곳들도 있었는데요.

충북지역도 전북 용담댐 방류로 주택과 농경지 침수 피해를 봤습니다.

하지만 석 달이 지난 지금도, 진상 조사와 보상이 이뤄지지 않아 주민들의 고통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송근섭 기자, 지난여름 집중호우 때 댐 방류로 피해가 컸었잖아요.

현재 복구는 다 됐나요?

[기자]

네. 지난 여름이죠.

정확히는 8월 8일이었습니다.

집중호우가 내리자 전북 용담댐에선 초당 2,900톤의 물을 방류했는데요.

문제는 일시에 수천 톤의 물이 방류되면서 댐 하류 지역 피해가 커졌다는 겁니다.

충북 영동과 옥천, 충남 금산, 전북 무주 등지인데요.

주택 190여 채와 농경지 700여 ha가 침수됐습니다.

이후 정부의 특별재난지역 지정으로 도로 등과 같은 공공 시설물에 대해선 예산이 투입돼 신속히 복구됐지만 피해 원인과 규모가 나오지 않은 사유 시설은 주민들 자체적으로 복구에 나설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 때문에 아직도 복구가 끝나지 않은 현장들도 남아있습니다.

당시 특히 농경지 피해가 컸는데요.

벼와 인삼, 복숭아, 포도 등이 물에 잠겨 대부분을 버리거나 헐값에 팔아야 했습니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한 복숭아 재배 농민은 피해 금액이 5천만 원이 넘는다고 토로했는데요.

빚을 갚기 위해서 최근 건설현장 임시 근로자로 일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앵커]

이렇게 주민의 고통이 계속되는데, 정부 차원의 보상은 아직 갈 길이 멀다고요.

[기자]

네. 지난 여름 댐 방류로 충북을 비롯해 전국 곳곳에서 피해가 나자, 환경부는 신속한 조사를 약속했습니다.

지난 9월에는 교수 등 전문가들로 댐 관리 조사위원회를 구성했는데요.

초반부터 피해 지역에서 추천한 전문가나 주민들이 배제됐다면서 반발에 부딪혔습니다.

이어 국정감사 기간에는 환경부 주도로 구성한 위원회는 사실상 '셀프 조사'라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논란 끝에 조사위는 한 달여 만에 해산했습니다.

이어 피해지역 주민들도 참여하는 수해 원인 조사협의회로 확대 개편됐는데요.

협의회를 구성한 지 한 달이 넘었지만, 아직 수해 원인을 조사할 용역 업체도 선정하지 못한 상탭니다.

용역 업체를 선정해도 원인 조사에만 최소 6개월이 걸리는데요.

결국, 주민들이 요구하는 피해 보상이 이뤄지려면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고 그만큼 주민들의 시름도 깊어지게 됐습니다.

지금까지 청주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댐 방류 피해 석달…원인 조사·보상은 제자리
    • 입력 2020-11-25 12:31:12
    • 수정2020-11-25 13:04:56
    뉴스 12
[앵커]

지난 여름 집중호우 때 댐 방류로 침수 피해가 난 곳들도 있었는데요.

충북지역도 전북 용담댐 방류로 주택과 농경지 침수 피해를 봤습니다.

하지만 석 달이 지난 지금도, 진상 조사와 보상이 이뤄지지 않아 주민들의 고통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송근섭 기자, 지난여름 집중호우 때 댐 방류로 피해가 컸었잖아요.

현재 복구는 다 됐나요?

[기자]

네. 지난 여름이죠.

정확히는 8월 8일이었습니다.

집중호우가 내리자 전북 용담댐에선 초당 2,900톤의 물을 방류했는데요.

문제는 일시에 수천 톤의 물이 방류되면서 댐 하류 지역 피해가 커졌다는 겁니다.

충북 영동과 옥천, 충남 금산, 전북 무주 등지인데요.

주택 190여 채와 농경지 700여 ha가 침수됐습니다.

이후 정부의 특별재난지역 지정으로 도로 등과 같은 공공 시설물에 대해선 예산이 투입돼 신속히 복구됐지만 피해 원인과 규모가 나오지 않은 사유 시설은 주민들 자체적으로 복구에 나설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 때문에 아직도 복구가 끝나지 않은 현장들도 남아있습니다.

당시 특히 농경지 피해가 컸는데요.

벼와 인삼, 복숭아, 포도 등이 물에 잠겨 대부분을 버리거나 헐값에 팔아야 했습니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한 복숭아 재배 농민은 피해 금액이 5천만 원이 넘는다고 토로했는데요.

빚을 갚기 위해서 최근 건설현장 임시 근로자로 일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앵커]

이렇게 주민의 고통이 계속되는데, 정부 차원의 보상은 아직 갈 길이 멀다고요.

[기자]

네. 지난 여름 댐 방류로 충북을 비롯해 전국 곳곳에서 피해가 나자, 환경부는 신속한 조사를 약속했습니다.

지난 9월에는 교수 등 전문가들로 댐 관리 조사위원회를 구성했는데요.

초반부터 피해 지역에서 추천한 전문가나 주민들이 배제됐다면서 반발에 부딪혔습니다.

이어 국정감사 기간에는 환경부 주도로 구성한 위원회는 사실상 '셀프 조사'라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논란 끝에 조사위는 한 달여 만에 해산했습니다.

이어 피해지역 주민들도 참여하는 수해 원인 조사협의회로 확대 개편됐는데요.

협의회를 구성한 지 한 달이 넘었지만, 아직 수해 원인을 조사할 용역 업체도 선정하지 못한 상탭니다.

용역 업체를 선정해도 원인 조사에만 최소 6개월이 걸리는데요.

결국, 주민들이 요구하는 피해 보상이 이뤄지려면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고 그만큼 주민들의 시름도 깊어지게 됐습니다.

지금까지 청주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