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에 달걀값 ‘고공행진’…양계농장도 ‘한숨’

입력 2021.02.25 (19:16) 수정 2021.02.26 (01: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넉 달 사이 달걀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습니다.

가격 상승률이 30%가 넘는데요, 조류인플루엔자, AI 때문입니다.

소비자는 물론이고, 양계농장도 한숨만 짓고 있습니다.

조휴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대형마트의 축산물 판매장입니다.

달걀을 들었다 놨다.

'살까? 말까?' 고민합니다.

가격이 크게 뛴 탓입니다.

[신복매/춘천시 교동 : "작년에는 한 4,000원 정도? 그랬는데 지금은 7,000원 넘었으니까. 작년 물가에 비하면 지금 진짜 많이 올랐어요."]

전국의 달걀 가격을 보면, 국내에서 조류인플루엔자, AI가 막 발생하기 시작했던 지난해 10월 말, 30개들이 달걀 한 판은 5,400원 정도였습니다.

이후 가격이 계속 올라 지금은 7,600원대에 이릅니다.

넉 달 만에 2,000원 넘게 오른 겁니다.

지난해 11월 말부터 지금까지 전국에서 AI 때문에 도태 처리된 산란계는 1,560만 마리.

이로 인해, 국내 달걀 공급량이 하루 800만 개 정도 감소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영민/식료품점 주인 : "50판을 시키면 반도 안 와요. 왜냐면 도매상에서도, 산지에서도 분할을 해서 줘야 되니까. 한 군데 몰아 줄 수가 없어서. 지금 같은 경우는 너무 비싸니까 마진도 많이 못 붙이고..."]

양계농장은 울 수도 웃을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AI 발생농장은 기르던 닭을 전부 도태시켜야 합니다.

보상은 받겠지만, 방역을 끝내고 닭을 다시 들여오기까지 최소 세 달은 걸립니다.

일도 소득도 없어지는 겁니다.

AI가 발생하지 않은 농장도 별다르지 않습니다.

달걀값이 뛴 만큼, 병아리값도 뛰었기 때문입니다.

[최병철/산란계 농장주 : "알 값으로 그렇게 벌어도 나중에 또 닭 교체 시기에 제때 못하고. 병아리가 없다 보니까. (1마리에) 400원 정도 올랐잖아요. 그러면 10만 수면 400원 오르면 얼만 줄 아세요? 4,000만 원 되는 거지."]

이젠 강원도 내 농장으로까지 AI가 확산된 상황.

또 발생할 경우, 달걀값은 더 오를 수도 있다고 양계업계는 전망합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영상편집:김동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I에 달걀값 ‘고공행진’…양계농장도 ‘한숨’
    • 입력 2021-02-25 19:16:47
    • 수정2021-02-26 01:47:19
    뉴스7(춘천)
[앵커]

최근 넉 달 사이 달걀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습니다.

가격 상승률이 30%가 넘는데요, 조류인플루엔자, AI 때문입니다.

소비자는 물론이고, 양계농장도 한숨만 짓고 있습니다.

조휴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대형마트의 축산물 판매장입니다.

달걀을 들었다 놨다.

'살까? 말까?' 고민합니다.

가격이 크게 뛴 탓입니다.

[신복매/춘천시 교동 : "작년에는 한 4,000원 정도? 그랬는데 지금은 7,000원 넘었으니까. 작년 물가에 비하면 지금 진짜 많이 올랐어요."]

전국의 달걀 가격을 보면, 국내에서 조류인플루엔자, AI가 막 발생하기 시작했던 지난해 10월 말, 30개들이 달걀 한 판은 5,400원 정도였습니다.

이후 가격이 계속 올라 지금은 7,600원대에 이릅니다.

넉 달 만에 2,000원 넘게 오른 겁니다.

지난해 11월 말부터 지금까지 전국에서 AI 때문에 도태 처리된 산란계는 1,560만 마리.

이로 인해, 국내 달걀 공급량이 하루 800만 개 정도 감소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영민/식료품점 주인 : "50판을 시키면 반도 안 와요. 왜냐면 도매상에서도, 산지에서도 분할을 해서 줘야 되니까. 한 군데 몰아 줄 수가 없어서. 지금 같은 경우는 너무 비싸니까 마진도 많이 못 붙이고..."]

양계농장은 울 수도 웃을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AI 발생농장은 기르던 닭을 전부 도태시켜야 합니다.

보상은 받겠지만, 방역을 끝내고 닭을 다시 들여오기까지 최소 세 달은 걸립니다.

일도 소득도 없어지는 겁니다.

AI가 발생하지 않은 농장도 별다르지 않습니다.

달걀값이 뛴 만큼, 병아리값도 뛰었기 때문입니다.

[최병철/산란계 농장주 : "알 값으로 그렇게 벌어도 나중에 또 닭 교체 시기에 제때 못하고. 병아리가 없다 보니까. (1마리에) 400원 정도 올랐잖아요. 그러면 10만 수면 400원 오르면 얼만 줄 아세요? 4,000만 원 되는 거지."]

이젠 강원도 내 농장으로까지 AI가 확산된 상황.

또 발생할 경우, 달걀값은 더 오를 수도 있다고 양계업계는 전망합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영상편집:김동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