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쓰나미 피해’ 바다 생태계 거의 회복
입력 2021.03.19 (09:46)
수정 2021.03.19 (09: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 동일본 대지진 당시, 쓰나미로 큰 피해를 입었던 바닷속 생태계가, 10년이 지난 지금 거의 회복됐습니다.
[리포트]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 앞바다.
대지진 직후는 어땠을까?
떠내려온 잔해와 중유 등으로 바닷물이 탁해져 있습니다.
이런 생태계의 파괴는 많은 해양 생물들에게 큰 위협이었습니다.
그리고 10년 뒤.
바닷속은 여전히 건물 잔해도 보이고 싱크대와 냄비 등도 보입니다.
하지만 바다 환경은 서서히 회복되면서 지금은 무성한 해초들이 숲을 이루고 있습니다.
[취재 기자 : "해초 숲입니다. 모자반이 바다 밑을 뒤덮고 있고 해수면 가까이 자랐습니다."]
이 해역을 조사한 연구자는 대지진 후 6개월이 지나면서 해초가 다시 자라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해초 사이로 작은 물고기들이 놀고 이런 물고기를 노리는 게도 발견됩니다.
대지진 후 5년이 지나면서 이곳에 살던 생물 대부분이 돌아왔고 10년이 지난 지금은 해양 생태계가 거의 복원됐습니다.
덕분에 굴 양식도 가능해져 지금은 굴 수확량이 대지진 이전의 70% 수준까지 회복됐습니다.
일본 동일본 대지진 당시, 쓰나미로 큰 피해를 입었던 바닷속 생태계가, 10년이 지난 지금 거의 회복됐습니다.
[리포트]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 앞바다.
대지진 직후는 어땠을까?
떠내려온 잔해와 중유 등으로 바닷물이 탁해져 있습니다.
이런 생태계의 파괴는 많은 해양 생물들에게 큰 위협이었습니다.
그리고 10년 뒤.
바닷속은 여전히 건물 잔해도 보이고 싱크대와 냄비 등도 보입니다.
하지만 바다 환경은 서서히 회복되면서 지금은 무성한 해초들이 숲을 이루고 있습니다.
[취재 기자 : "해초 숲입니다. 모자반이 바다 밑을 뒤덮고 있고 해수면 가까이 자랐습니다."]
이 해역을 조사한 연구자는 대지진 후 6개월이 지나면서 해초가 다시 자라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해초 사이로 작은 물고기들이 놀고 이런 물고기를 노리는 게도 발견됩니다.
대지진 후 5년이 지나면서 이곳에 살던 생물 대부분이 돌아왔고 10년이 지난 지금은 해양 생태계가 거의 복원됐습니다.
덕분에 굴 양식도 가능해져 지금은 굴 수확량이 대지진 이전의 70% 수준까지 회복됐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日 ‘쓰나미 피해’ 바다 생태계 거의 회복
-
- 입력 2021-03-19 09:46:13
- 수정2021-03-19 09:53:47

[앵커]
일본 동일본 대지진 당시, 쓰나미로 큰 피해를 입었던 바닷속 생태계가, 10년이 지난 지금 거의 회복됐습니다.
[리포트]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 앞바다.
대지진 직후는 어땠을까?
떠내려온 잔해와 중유 등으로 바닷물이 탁해져 있습니다.
이런 생태계의 파괴는 많은 해양 생물들에게 큰 위협이었습니다.
그리고 10년 뒤.
바닷속은 여전히 건물 잔해도 보이고 싱크대와 냄비 등도 보입니다.
하지만 바다 환경은 서서히 회복되면서 지금은 무성한 해초들이 숲을 이루고 있습니다.
[취재 기자 : "해초 숲입니다. 모자반이 바다 밑을 뒤덮고 있고 해수면 가까이 자랐습니다."]
이 해역을 조사한 연구자는 대지진 후 6개월이 지나면서 해초가 다시 자라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해초 사이로 작은 물고기들이 놀고 이런 물고기를 노리는 게도 발견됩니다.
대지진 후 5년이 지나면서 이곳에 살던 생물 대부분이 돌아왔고 10년이 지난 지금은 해양 생태계가 거의 복원됐습니다.
덕분에 굴 양식도 가능해져 지금은 굴 수확량이 대지진 이전의 70% 수준까지 회복됐습니다.
일본 동일본 대지진 당시, 쓰나미로 큰 피해를 입었던 바닷속 생태계가, 10년이 지난 지금 거의 회복됐습니다.
[리포트]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 앞바다.
대지진 직후는 어땠을까?
떠내려온 잔해와 중유 등으로 바닷물이 탁해져 있습니다.
이런 생태계의 파괴는 많은 해양 생물들에게 큰 위협이었습니다.
그리고 10년 뒤.
바닷속은 여전히 건물 잔해도 보이고 싱크대와 냄비 등도 보입니다.
하지만 바다 환경은 서서히 회복되면서 지금은 무성한 해초들이 숲을 이루고 있습니다.
[취재 기자 : "해초 숲입니다. 모자반이 바다 밑을 뒤덮고 있고 해수면 가까이 자랐습니다."]
이 해역을 조사한 연구자는 대지진 후 6개월이 지나면서 해초가 다시 자라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해초 사이로 작은 물고기들이 놀고 이런 물고기를 노리는 게도 발견됩니다.
대지진 후 5년이 지나면서 이곳에 살던 생물 대부분이 돌아왔고 10년이 지난 지금은 해양 생태계가 거의 복원됐습니다.
덕분에 굴 양식도 가능해져 지금은 굴 수확량이 대지진 이전의 70% 수준까지 회복됐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