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 완화로 다중이용시설 집단감염 증가…“마스크 벗는 시간 최소화”

입력 2021.04.05 (21:08) 수정 2021.04.05 (2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추세를 보면 그동안 사회적 거리두기가 비교적 약했던 수도권 바깥에서 확진자가 크게 늘었습니다.

특히 유흥시설이나 목욕탕처럼 마스크 쓰기 어려운 곳을 고리로 감염이 번지고 있는 것도 특징입니다.

계속해서 이효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부산에서 거리 두기가 1.5단계로 완화됐던 기간은 약 한 달 보름간이었습니다.

수도권과 달리 음식점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제한이 없었고 유흥시설도 문을 열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부산의 일일 확진자 수는 이전 대비 최대 4배까지 늘었고 연쇄 감염도 잇따랐습니다.

실제로 부산의 한 노래주점과 관련해선 지난달 24일 최초 확진자가 나온 뒤 직장 등 다른 곳으로 전파됐습니다.

이어 개인 간 접촉으로 연쇄 감염이 이어지면서 관련 확진자가 300명에 육박할 정돕니다.

접촉자 비중이 종사자나 이용자보다 더 큽니다.

[이소라/부산시 시민방역추진단장 : "전파 속도가 상당히 빨라졌다라는 부분은 실감하고 있습니다. 이전과 달리 시민분들께서 활동 반경은 넓어지고 접촉은 많아진다라고 하면 확진자 수는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올 초 20%대까지 떨어졌었던 비수도권의 전체 확진자 비중은 최근엔 40% 가까이를 차지할 정도로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발생 장소도 유흥주점, 헬스장, 목욕장 등 마스크를 쓰기 어려운 곳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방역 당국은 3차 유행 장기화로 숨은 감염자가 많다는 점과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에 따른 집단감염 발생이 늘어난 게 비수도권 확진자 증가의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은경/중앙방역대책본부장 : "수도권하고의 왕래가 분명히 있기 때문에 수도권에서의 집단 발병이 비수도권으로 확산되고 또 다중이용시설을 통해서 소규모 증폭돼서 지역 내 유행을 만드는 그런 양상으로…."]

방역 당국과 지자체는 다중이용시설 종사자 등에 대한 선제 검사를 대폭 확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효연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강민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거리두기 완화로 다중이용시설 집단감염 증가…“마스크 벗는 시간 최소화”
    • 입력 2021-04-05 21:08:45
    • 수정2021-04-05 22:12:31
    뉴스 9
[앵커]

최근 추세를 보면 그동안 사회적 거리두기가 비교적 약했던 수도권 바깥에서 확진자가 크게 늘었습니다.

특히 유흥시설이나 목욕탕처럼 마스크 쓰기 어려운 곳을 고리로 감염이 번지고 있는 것도 특징입니다.

계속해서 이효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부산에서 거리 두기가 1.5단계로 완화됐던 기간은 약 한 달 보름간이었습니다.

수도권과 달리 음식점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제한이 없었고 유흥시설도 문을 열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부산의 일일 확진자 수는 이전 대비 최대 4배까지 늘었고 연쇄 감염도 잇따랐습니다.

실제로 부산의 한 노래주점과 관련해선 지난달 24일 최초 확진자가 나온 뒤 직장 등 다른 곳으로 전파됐습니다.

이어 개인 간 접촉으로 연쇄 감염이 이어지면서 관련 확진자가 300명에 육박할 정돕니다.

접촉자 비중이 종사자나 이용자보다 더 큽니다.

[이소라/부산시 시민방역추진단장 : "전파 속도가 상당히 빨라졌다라는 부분은 실감하고 있습니다. 이전과 달리 시민분들께서 활동 반경은 넓어지고 접촉은 많아진다라고 하면 확진자 수는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올 초 20%대까지 떨어졌었던 비수도권의 전체 확진자 비중은 최근엔 40% 가까이를 차지할 정도로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발생 장소도 유흥주점, 헬스장, 목욕장 등 마스크를 쓰기 어려운 곳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방역 당국은 3차 유행 장기화로 숨은 감염자가 많다는 점과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에 따른 집단감염 발생이 늘어난 게 비수도권 확진자 증가의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은경/중앙방역대책본부장 : "수도권하고의 왕래가 분명히 있기 때문에 수도권에서의 집단 발병이 비수도권으로 확산되고 또 다중이용시설을 통해서 소규모 증폭돼서 지역 내 유행을 만드는 그런 양상으로…."]

방역 당국과 지자체는 다중이용시설 종사자 등에 대한 선제 검사를 대폭 확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효연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강민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