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날 기획]③ 비대면 시대가 낳은 차별…식당·카페 곳곳이 ‘장벽’

입력 2021.04.20 (19:17) 수정 2021.04.20 (19: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비대면과 거리 두기, 마스크 착용 등 우리 일상의 모습도 많이 변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들로 장애인들은 더욱 힘겨워하고 있다는데요.

코로나 시대 장애인들에게 가중된 차별과 불편을 이어서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패스트푸드 매장에 방문한 지체장애인 김시형 씨.

무거운 출입문을 여는 것부터 방명록 작성까지 하나 쉬운 게 없습니다.

무인 주문기는 팔을 뻗어봐도 손이 닿지 않고, 화장실은 2층에 있어 이용이 불가능합니다.

[김시형/대구사람장애인자립생활센터 팀장 : "장애인 버튼이 있지만, 매장이 바쁘거나 직원들이 올 수 없는 상황이 돼버리면 장애인들은 어쩔 수 없이 또 기다려야 하고, 또 기다려야 하고…."]

비대면 거래로 은행이 점점 사라지면서 찾게 된 무인 ATM 기계.

문턱이 높아 진입할 수 없거나 입출금기 높이가 안 맞아 화면이 안 보이기 일쑤입니다.

[김시형/대구사람장애인자립생활센터 팀장 : "휠체어를 타고 ATM기를 이용하게 되면 터치스크린이 보이지가 않습니다. 왜냐하면, 각도가 너무 낮아서."]

청각 장애인 장세일 씨와 찾은 프랜차이즈 카페.

음성으로 소통하는 드라이브 스루는 이용이 불가능하고, 매장에서도 점원의 입 모양을 읽을 수 없습니다.

[장세일/음성대역 : "마스크를 하고 있으면 입 모양을 볼 수가 없습니다. 마주 보고 있어도 음성으로만 계속 응대하기 때문에 소통이 어렵습니다."]

이젠 불편을 넘어 생존의 문제로 느껴집니다.

[장세일/음성대역 : "사측에 건의를 여러 번 했는데도 불구하고 결국 바뀌는 건 없었습니다. 기술은 많이 발전했다고 해도 장애인은 그 발전에 포함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장애인들의 일상은 여전히 우리가 아닌, '그들'이 사는 세상입니다.

["비장애인들처럼 똑같은 일상, 평범한 일상을 누리는 것이 제가 바라는 것입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그래픽:인푸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장애인의 날 기획]③ 비대면 시대가 낳은 차별…식당·카페 곳곳이 ‘장벽’
    • 입력 2021-04-20 19:17:34
    • 수정2021-04-20 19:50:08
    뉴스7(대구)
[앵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비대면과 거리 두기, 마스크 착용 등 우리 일상의 모습도 많이 변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들로 장애인들은 더욱 힘겨워하고 있다는데요.

코로나 시대 장애인들에게 가중된 차별과 불편을 이어서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패스트푸드 매장에 방문한 지체장애인 김시형 씨.

무거운 출입문을 여는 것부터 방명록 작성까지 하나 쉬운 게 없습니다.

무인 주문기는 팔을 뻗어봐도 손이 닿지 않고, 화장실은 2층에 있어 이용이 불가능합니다.

[김시형/대구사람장애인자립생활센터 팀장 : "장애인 버튼이 있지만, 매장이 바쁘거나 직원들이 올 수 없는 상황이 돼버리면 장애인들은 어쩔 수 없이 또 기다려야 하고, 또 기다려야 하고…."]

비대면 거래로 은행이 점점 사라지면서 찾게 된 무인 ATM 기계.

문턱이 높아 진입할 수 없거나 입출금기 높이가 안 맞아 화면이 안 보이기 일쑤입니다.

[김시형/대구사람장애인자립생활센터 팀장 : "휠체어를 타고 ATM기를 이용하게 되면 터치스크린이 보이지가 않습니다. 왜냐하면, 각도가 너무 낮아서."]

청각 장애인 장세일 씨와 찾은 프랜차이즈 카페.

음성으로 소통하는 드라이브 스루는 이용이 불가능하고, 매장에서도 점원의 입 모양을 읽을 수 없습니다.

[장세일/음성대역 : "마스크를 하고 있으면 입 모양을 볼 수가 없습니다. 마주 보고 있어도 음성으로만 계속 응대하기 때문에 소통이 어렵습니다."]

이젠 불편을 넘어 생존의 문제로 느껴집니다.

[장세일/음성대역 : "사측에 건의를 여러 번 했는데도 불구하고 결국 바뀌는 건 없었습니다. 기술은 많이 발전했다고 해도 장애인은 그 발전에 포함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장애인들의 일상은 여전히 우리가 아닌, '그들'이 사는 세상입니다.

["비장애인들처럼 똑같은 일상, 평범한 일상을 누리는 것이 제가 바라는 것입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그래픽:인푸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