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지 침범 인도형 태양광 ‘원상회복 명령’
입력 2021.04.26 (21:43)
수정 2021.04.26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KBS는 지난주 전남 에너지신산업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둘러싼 문제점을 연속보도했습니다.
특히 특구 사업으로 추진된 인도형 태양광이 녹지에 불법 설치됐다는 내용을 전해드렸는데요.
나주시가 태양광 시설을 철거하고 원상회복하라는 행정 명령을 내렸습니다.
하선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구조물이 조경수 수십 그루를 훼손하고 완충녹지까지 침범한 인도형 태양광 시설!
불법 점용한 녹지 면적은 천 8백여 제곱미터에 달합니다.
KBS 보도 이후, 나주시가 사업 주관기관인 녹색에너지연구원에 '원상회복' 행정명령을 내렸습니다.
사실상 태양광 시설을 철거하라는 통보입니다.
녹지에는 태양광 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데다. 도로 점용허가 당시 주변 나무들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라는 허가조건마저 위반했다는 이유에섭니다.
나주시는 연구원 측에 다음달 7일까지 원상회복 계획서 제출을 요구했습니다.
[홍웅민/나주시 산단조성지원팀장 : "(녹지) 불법 점용에 관한 원상회복 명령이 나가 있고요. 원상회복 안될 경우 해당 법령에 따라 고발조치하고, 과태료 부과할 계획입니다."]
태양광 설치에 들어간 비용은 20억 원!
시설을 철거하고 재설치하려면 추가로 사업비를 투입해야합니다.
문제는 책임소재와 비용분담을 놓고 시공·설계 업체 사이의 공방이 예상된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태양광 철거와 재시공을 거쳐 실제 실증사업이 이뤄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석연찮은 사업자 선정과 무리한 사업추진으로 흔들리는 특구 사업 전반에 대해 재점검과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
KBS는 지난주 전남 에너지신산업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둘러싼 문제점을 연속보도했습니다.
특히 특구 사업으로 추진된 인도형 태양광이 녹지에 불법 설치됐다는 내용을 전해드렸는데요.
나주시가 태양광 시설을 철거하고 원상회복하라는 행정 명령을 내렸습니다.
하선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구조물이 조경수 수십 그루를 훼손하고 완충녹지까지 침범한 인도형 태양광 시설!
불법 점용한 녹지 면적은 천 8백여 제곱미터에 달합니다.
KBS 보도 이후, 나주시가 사업 주관기관인 녹색에너지연구원에 '원상회복' 행정명령을 내렸습니다.
사실상 태양광 시설을 철거하라는 통보입니다.
녹지에는 태양광 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데다. 도로 점용허가 당시 주변 나무들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라는 허가조건마저 위반했다는 이유에섭니다.
나주시는 연구원 측에 다음달 7일까지 원상회복 계획서 제출을 요구했습니다.
[홍웅민/나주시 산단조성지원팀장 : "(녹지) 불법 점용에 관한 원상회복 명령이 나가 있고요. 원상회복 안될 경우 해당 법령에 따라 고발조치하고, 과태료 부과할 계획입니다."]
태양광 설치에 들어간 비용은 20억 원!
시설을 철거하고 재설치하려면 추가로 사업비를 투입해야합니다.
문제는 책임소재와 비용분담을 놓고 시공·설계 업체 사이의 공방이 예상된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태양광 철거와 재시공을 거쳐 실제 실증사업이 이뤄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석연찮은 사업자 선정과 무리한 사업추진으로 흔들리는 특구 사업 전반에 대해 재점검과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녹지 침범 인도형 태양광 ‘원상회복 명령’
-
- 입력 2021-04-26 21:43:18
- 수정2021-04-26 21:55:58

[앵커]
KBS는 지난주 전남 에너지신산업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둘러싼 문제점을 연속보도했습니다.
특히 특구 사업으로 추진된 인도형 태양광이 녹지에 불법 설치됐다는 내용을 전해드렸는데요.
나주시가 태양광 시설을 철거하고 원상회복하라는 행정 명령을 내렸습니다.
하선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구조물이 조경수 수십 그루를 훼손하고 완충녹지까지 침범한 인도형 태양광 시설!
불법 점용한 녹지 면적은 천 8백여 제곱미터에 달합니다.
KBS 보도 이후, 나주시가 사업 주관기관인 녹색에너지연구원에 '원상회복' 행정명령을 내렸습니다.
사실상 태양광 시설을 철거하라는 통보입니다.
녹지에는 태양광 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데다. 도로 점용허가 당시 주변 나무들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라는 허가조건마저 위반했다는 이유에섭니다.
나주시는 연구원 측에 다음달 7일까지 원상회복 계획서 제출을 요구했습니다.
[홍웅민/나주시 산단조성지원팀장 : "(녹지) 불법 점용에 관한 원상회복 명령이 나가 있고요. 원상회복 안될 경우 해당 법령에 따라 고발조치하고, 과태료 부과할 계획입니다."]
태양광 설치에 들어간 비용은 20억 원!
시설을 철거하고 재설치하려면 추가로 사업비를 투입해야합니다.
문제는 책임소재와 비용분담을 놓고 시공·설계 업체 사이의 공방이 예상된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태양광 철거와 재시공을 거쳐 실제 실증사업이 이뤄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석연찮은 사업자 선정과 무리한 사업추진으로 흔들리는 특구 사업 전반에 대해 재점검과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
KBS는 지난주 전남 에너지신산업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둘러싼 문제점을 연속보도했습니다.
특히 특구 사업으로 추진된 인도형 태양광이 녹지에 불법 설치됐다는 내용을 전해드렸는데요.
나주시가 태양광 시설을 철거하고 원상회복하라는 행정 명령을 내렸습니다.
하선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구조물이 조경수 수십 그루를 훼손하고 완충녹지까지 침범한 인도형 태양광 시설!
불법 점용한 녹지 면적은 천 8백여 제곱미터에 달합니다.
KBS 보도 이후, 나주시가 사업 주관기관인 녹색에너지연구원에 '원상회복' 행정명령을 내렸습니다.
사실상 태양광 시설을 철거하라는 통보입니다.
녹지에는 태양광 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데다. 도로 점용허가 당시 주변 나무들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라는 허가조건마저 위반했다는 이유에섭니다.
나주시는 연구원 측에 다음달 7일까지 원상회복 계획서 제출을 요구했습니다.
[홍웅민/나주시 산단조성지원팀장 : "(녹지) 불법 점용에 관한 원상회복 명령이 나가 있고요. 원상회복 안될 경우 해당 법령에 따라 고발조치하고, 과태료 부과할 계획입니다."]
태양광 설치에 들어간 비용은 20억 원!
시설을 철거하고 재설치하려면 추가로 사업비를 투입해야합니다.
문제는 책임소재와 비용분담을 놓고 시공·설계 업체 사이의 공방이 예상된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태양광 철거와 재시공을 거쳐 실제 실증사업이 이뤄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석연찮은 사업자 선정과 무리한 사업추진으로 흔들리는 특구 사업 전반에 대해 재점검과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
-
-
하선아 기자 saha@kbs.co.kr
하선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