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무주택 서민 울리는 분양 전환 갈등
입력 2021.04.26 (21:46)
수정 2021.04.26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신도시 부동산 투기 사태로 한국토지주택공사, LH에 대한 비판이 거센데요,
제주에서는 주로 무주택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기 위해 공공임대 아파트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10년 임대기간이 끝나 분양 전환을 앞둔 하귀 휴먼시아 아파트를 놓고 입주민들과 대립하며 갈등이 생기고 있습니다.
나종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0년 전 무주택자 자격으로 하귀 휴먼시아 2단지 공공임대 아파트를 얻게 된 홍택용 씨.
10년 임대 뒤 분양전환 조건에 따라 최근 우선 공급자가 되면서 70을 바라보는 나이에 첫 내 집 마련을 꿈꾸게 됐는데 오히려 근심 걱정이 생겼습니다.
홍 씨가 살고 있는 전용면적 84㎡ 꼭대기 층의 분양가는 3억 2천만 원 선.
10년 전 공고된 주택가격 1억 7천만 원보다 2배 정도 비싼 데다 조그만 다락이 더 있다는 이유만으로 같은 면적 바로 아래층보다 무려 7천만 원이나 비싸기 때문입니다.
결국, 꼭대기 층 입주자 18가구가 모여 제주도 임대주택 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해 조정을 신청했습니다.
분쟁조정위원회가 분양가 인하 조정안도 내놨지만 LH가 거부하면서 조정은 끝내 결렬됐습니다.
홍 씨는 입주 당시 꼭대기 층을 원한 것이 아니고 무작위 추첨을 통해 선택된 만큼 다른 층 대비 훨씬 비싼 분양가는 억울하다는 입장입니다.
[홍택용/하귀 휴먼시아 2단지 입주민 : "그때(입주할 때) 이런 이야기 했죠. 분양할 때 (다락이) 분양가에 영향을 받습니까? 전혀 아니다. 이유는 서비스 면적이라 그렇다. 건축면적에 삽입이 안 된다."]
이에 대해 LH 측은 최초 입주 당시 분양전환 조건에 감정평가 금액을 따르겠다고 공고했다는 입장입니다.
더욱이 분양가 산정을 위한 감정평가 이의제기 기간도 이미 끝났다며 어쩔 수 없다고 말합니다.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급하고 있는 공공임대주택.
공공임대주택 입주자는 도시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을 넘을 수 없다는 소득기준도 있는데 정작 분양전환 가격은 일반 주택 시세와 비슷하게 책정되며 LH가 서민들을 상대로 주택 장사를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나종훈입니다.
촬영기자:허수곤/그래픽:서경환
최근 신도시 부동산 투기 사태로 한국토지주택공사, LH에 대한 비판이 거센데요,
제주에서는 주로 무주택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기 위해 공공임대 아파트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10년 임대기간이 끝나 분양 전환을 앞둔 하귀 휴먼시아 아파트를 놓고 입주민들과 대립하며 갈등이 생기고 있습니다.
나종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0년 전 무주택자 자격으로 하귀 휴먼시아 2단지 공공임대 아파트를 얻게 된 홍택용 씨.
10년 임대 뒤 분양전환 조건에 따라 최근 우선 공급자가 되면서 70을 바라보는 나이에 첫 내 집 마련을 꿈꾸게 됐는데 오히려 근심 걱정이 생겼습니다.
홍 씨가 살고 있는 전용면적 84㎡ 꼭대기 층의 분양가는 3억 2천만 원 선.
10년 전 공고된 주택가격 1억 7천만 원보다 2배 정도 비싼 데다 조그만 다락이 더 있다는 이유만으로 같은 면적 바로 아래층보다 무려 7천만 원이나 비싸기 때문입니다.
결국, 꼭대기 층 입주자 18가구가 모여 제주도 임대주택 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해 조정을 신청했습니다.
분쟁조정위원회가 분양가 인하 조정안도 내놨지만 LH가 거부하면서 조정은 끝내 결렬됐습니다.
홍 씨는 입주 당시 꼭대기 층을 원한 것이 아니고 무작위 추첨을 통해 선택된 만큼 다른 층 대비 훨씬 비싼 분양가는 억울하다는 입장입니다.
[홍택용/하귀 휴먼시아 2단지 입주민 : "그때(입주할 때) 이런 이야기 했죠. 분양할 때 (다락이) 분양가에 영향을 받습니까? 전혀 아니다. 이유는 서비스 면적이라 그렇다. 건축면적에 삽입이 안 된다."]
이에 대해 LH 측은 최초 입주 당시 분양전환 조건에 감정평가 금액을 따르겠다고 공고했다는 입장입니다.
더욱이 분양가 산정을 위한 감정평가 이의제기 기간도 이미 끝났다며 어쩔 수 없다고 말합니다.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급하고 있는 공공임대주택.
공공임대주택 입주자는 도시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을 넘을 수 없다는 소득기준도 있는데 정작 분양전환 가격은 일반 주택 시세와 비슷하게 책정되며 LH가 서민들을 상대로 주택 장사를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나종훈입니다.
촬영기자:허수곤/그래픽:서경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LH, 무주택 서민 울리는 분양 전환 갈등
-
- 입력 2021-04-26 21:46:22
- 수정2021-04-26 22:01:35

[앵커]
최근 신도시 부동산 투기 사태로 한국토지주택공사, LH에 대한 비판이 거센데요,
제주에서는 주로 무주택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기 위해 공공임대 아파트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10년 임대기간이 끝나 분양 전환을 앞둔 하귀 휴먼시아 아파트를 놓고 입주민들과 대립하며 갈등이 생기고 있습니다.
나종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0년 전 무주택자 자격으로 하귀 휴먼시아 2단지 공공임대 아파트를 얻게 된 홍택용 씨.
10년 임대 뒤 분양전환 조건에 따라 최근 우선 공급자가 되면서 70을 바라보는 나이에 첫 내 집 마련을 꿈꾸게 됐는데 오히려 근심 걱정이 생겼습니다.
홍 씨가 살고 있는 전용면적 84㎡ 꼭대기 층의 분양가는 3억 2천만 원 선.
10년 전 공고된 주택가격 1억 7천만 원보다 2배 정도 비싼 데다 조그만 다락이 더 있다는 이유만으로 같은 면적 바로 아래층보다 무려 7천만 원이나 비싸기 때문입니다.
결국, 꼭대기 층 입주자 18가구가 모여 제주도 임대주택 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해 조정을 신청했습니다.
분쟁조정위원회가 분양가 인하 조정안도 내놨지만 LH가 거부하면서 조정은 끝내 결렬됐습니다.
홍 씨는 입주 당시 꼭대기 층을 원한 것이 아니고 무작위 추첨을 통해 선택된 만큼 다른 층 대비 훨씬 비싼 분양가는 억울하다는 입장입니다.
[홍택용/하귀 휴먼시아 2단지 입주민 : "그때(입주할 때) 이런 이야기 했죠. 분양할 때 (다락이) 분양가에 영향을 받습니까? 전혀 아니다. 이유는 서비스 면적이라 그렇다. 건축면적에 삽입이 안 된다."]
이에 대해 LH 측은 최초 입주 당시 분양전환 조건에 감정평가 금액을 따르겠다고 공고했다는 입장입니다.
더욱이 분양가 산정을 위한 감정평가 이의제기 기간도 이미 끝났다며 어쩔 수 없다고 말합니다.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급하고 있는 공공임대주택.
공공임대주택 입주자는 도시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을 넘을 수 없다는 소득기준도 있는데 정작 분양전환 가격은 일반 주택 시세와 비슷하게 책정되며 LH가 서민들을 상대로 주택 장사를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나종훈입니다.
촬영기자:허수곤/그래픽:서경환
최근 신도시 부동산 투기 사태로 한국토지주택공사, LH에 대한 비판이 거센데요,
제주에서는 주로 무주택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기 위해 공공임대 아파트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10년 임대기간이 끝나 분양 전환을 앞둔 하귀 휴먼시아 아파트를 놓고 입주민들과 대립하며 갈등이 생기고 있습니다.
나종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0년 전 무주택자 자격으로 하귀 휴먼시아 2단지 공공임대 아파트를 얻게 된 홍택용 씨.
10년 임대 뒤 분양전환 조건에 따라 최근 우선 공급자가 되면서 70을 바라보는 나이에 첫 내 집 마련을 꿈꾸게 됐는데 오히려 근심 걱정이 생겼습니다.
홍 씨가 살고 있는 전용면적 84㎡ 꼭대기 층의 분양가는 3억 2천만 원 선.
10년 전 공고된 주택가격 1억 7천만 원보다 2배 정도 비싼 데다 조그만 다락이 더 있다는 이유만으로 같은 면적 바로 아래층보다 무려 7천만 원이나 비싸기 때문입니다.
결국, 꼭대기 층 입주자 18가구가 모여 제주도 임대주택 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해 조정을 신청했습니다.
분쟁조정위원회가 분양가 인하 조정안도 내놨지만 LH가 거부하면서 조정은 끝내 결렬됐습니다.
홍 씨는 입주 당시 꼭대기 층을 원한 것이 아니고 무작위 추첨을 통해 선택된 만큼 다른 층 대비 훨씬 비싼 분양가는 억울하다는 입장입니다.
[홍택용/하귀 휴먼시아 2단지 입주민 : "그때(입주할 때) 이런 이야기 했죠. 분양할 때 (다락이) 분양가에 영향을 받습니까? 전혀 아니다. 이유는 서비스 면적이라 그렇다. 건축면적에 삽입이 안 된다."]
이에 대해 LH 측은 최초 입주 당시 분양전환 조건에 감정평가 금액을 따르겠다고 공고했다는 입장입니다.
더욱이 분양가 산정을 위한 감정평가 이의제기 기간도 이미 끝났다며 어쩔 수 없다고 말합니다.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급하고 있는 공공임대주택.
공공임대주택 입주자는 도시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을 넘을 수 없다는 소득기준도 있는데 정작 분양전환 가격은 일반 주택 시세와 비슷하게 책정되며 LH가 서민들을 상대로 주택 장사를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나종훈입니다.
촬영기자:허수곤/그래픽:서경환
-
-
나종훈 기자 na@kbs.co.kr
나종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