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Talk] 美 멸종위기 거북 종 보호 돕는 ‘견공’
입력 2021.05.13 (10:55)
수정 2021.05.13 (11: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미국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 보호를 받는 서부상자거북입니다.
주로 잔디에 숨어 사는 이 거북들은 몸집이 작아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후각이 발달한 개들이 거북을 찾아내 건강을 살피는 일을 돕고 있다는데요, 함께 만나보시죠.
[리포트]
미국 일리노이의 한 자연보호구역에 풀려난 개들, 모두 보이킨스패니얼 종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서부상자거북을 찾는 특수 임무에 돌입했습니다.
면적 15㎢가 넘는 풀밭에서 사람이 서부상자거북을 찾아내는 건, 사막에서 바늘 찾기에 버금가는 일인데요,
훈련된 개들은 거북이 있는 지점을 금세 찾아냅니다.
[존 러커/개 조련사 : "서부상자거북들은 풀밭을 통과할 때 아주 희미한 흔적을 남깁니다. 개들은 부지런히 냄새를 맡아 찾아냅니다."]
거북의 무게는 500g에 불과하고 몸길이 10cm 정도여서, 3m만 떨어져 있어도 찾기가 어렵습니다.
학자들은 지역 환경과 생태계 활력의 척도로 서부상자거북의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 중입니다.
미국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 보호를 받는 서부상자거북입니다.
주로 잔디에 숨어 사는 이 거북들은 몸집이 작아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후각이 발달한 개들이 거북을 찾아내 건강을 살피는 일을 돕고 있다는데요, 함께 만나보시죠.
[리포트]
미국 일리노이의 한 자연보호구역에 풀려난 개들, 모두 보이킨스패니얼 종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서부상자거북을 찾는 특수 임무에 돌입했습니다.
면적 15㎢가 넘는 풀밭에서 사람이 서부상자거북을 찾아내는 건, 사막에서 바늘 찾기에 버금가는 일인데요,
훈련된 개들은 거북이 있는 지점을 금세 찾아냅니다.
[존 러커/개 조련사 : "서부상자거북들은 풀밭을 통과할 때 아주 희미한 흔적을 남깁니다. 개들은 부지런히 냄새를 맡아 찾아냅니다."]
거북의 무게는 500g에 불과하고 몸길이 10cm 정도여서, 3m만 떨어져 있어도 찾기가 어렵습니다.
학자들은 지역 환경과 생태계 활력의 척도로 서부상자거북의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 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구촌 Talk] 美 멸종위기 거북 종 보호 돕는 ‘견공’
-
- 입력 2021-05-13 10:55:12
- 수정2021-05-13 11:32:51

[앵커]
미국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 보호를 받는 서부상자거북입니다.
주로 잔디에 숨어 사는 이 거북들은 몸집이 작아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후각이 발달한 개들이 거북을 찾아내 건강을 살피는 일을 돕고 있다는데요, 함께 만나보시죠.
[리포트]
미국 일리노이의 한 자연보호구역에 풀려난 개들, 모두 보이킨스패니얼 종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서부상자거북을 찾는 특수 임무에 돌입했습니다.
면적 15㎢가 넘는 풀밭에서 사람이 서부상자거북을 찾아내는 건, 사막에서 바늘 찾기에 버금가는 일인데요,
훈련된 개들은 거북이 있는 지점을 금세 찾아냅니다.
[존 러커/개 조련사 : "서부상자거북들은 풀밭을 통과할 때 아주 희미한 흔적을 남깁니다. 개들은 부지런히 냄새를 맡아 찾아냅니다."]
거북의 무게는 500g에 불과하고 몸길이 10cm 정도여서, 3m만 떨어져 있어도 찾기가 어렵습니다.
학자들은 지역 환경과 생태계 활력의 척도로 서부상자거북의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 중입니다.
미국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 보호를 받는 서부상자거북입니다.
주로 잔디에 숨어 사는 이 거북들은 몸집이 작아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후각이 발달한 개들이 거북을 찾아내 건강을 살피는 일을 돕고 있다는데요, 함께 만나보시죠.
[리포트]
미국 일리노이의 한 자연보호구역에 풀려난 개들, 모두 보이킨스패니얼 종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서부상자거북을 찾는 특수 임무에 돌입했습니다.
면적 15㎢가 넘는 풀밭에서 사람이 서부상자거북을 찾아내는 건, 사막에서 바늘 찾기에 버금가는 일인데요,
훈련된 개들은 거북이 있는 지점을 금세 찾아냅니다.
[존 러커/개 조련사 : "서부상자거북들은 풀밭을 통과할 때 아주 희미한 흔적을 남깁니다. 개들은 부지런히 냄새를 맡아 찾아냅니다."]
거북의 무게는 500g에 불과하고 몸길이 10cm 정도여서, 3m만 떨어져 있어도 찾기가 어렵습니다.
학자들은 지역 환경과 생태계 활력의 척도로 서부상자거북의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 중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