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못 막고 소형점포만 잡을라…‘지원금 상향’ 실효성은?
입력 2021.05.26 (21:23)
수정 2021.05.26 (2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럼, 소비자 입장에서 이게 좋아지는 건지 효과는 있을지 이 문제 취재한 김민경 기자와 함께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 기자, 앞서 방통위 얘길 들어보면 소비자 입장에서 휴대전화 가격이 더 싸진다는거죠?
[기자]
네. 예를 한번 들어보죠.
지금 유통점에 가서 100만 원짜리 스마트폰을 산다고 생각해보시면요.
보통 이런 경우 통신사가 주는 공시지원금이 30만 원 정돕니다.
여기다 유통점이 주는 추가지원금이 공시지원금의 15%, 최대 4만5천 원입니다.
그래서 소비자는 65만5천 원에 살 수 있는데요, 추가지원금 한도가 최대 30%로 올라가면 9만 원.
그러니까 단말기 값이 61만 원까지 더 내려가는 거죠.
[앵커]
이 경우에도 3만5천원 더 싸게 살 수 있는는 건데, 실효성이 없다는 주장은 왜 나오는거죠?
[기자]
앞서 참여연대 관계자 얘기도 들어보셨지만, 이미 불법보조금을 추가지원금보다 더 많이 주는 경우도 있다고 하거든요.
이런 상황에서 추가지원금 몇만 원 올린다고 소비자가 체감하겠느냐, 불법지원금이 줄어들겠느냐. 이런 얘깁니다.
유통점이 줘도 되고 안줘도 되는 추가지원금 손본 것 정도론 시장에 영향을 주기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반응입니다.
[앵커]
유통점들 역시 반발하고 있다면서요?
왜 그런 건가요?
[기자]
소비자에게 추가지원금을 더 줘야 하는데 자금 여력이 없는 유통점은 고사 위기에 처할 거라는 겁니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관계자의 말 들어보시죠.
[이종천/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이사 : "15%의 추가 지원금도 지급할 여력이 없는 그런 소매점들이 앞으로 30%로 상향했을때 그 30%를 지급할 여력이 있을까...현실적으로 불가능할거라고 보는거죠."]
결국 이를 보완하려면 이통사가 유통점에 주는 판매장려금 차별 행위를 개선해야 한다고 유통점들은 주장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럼 이런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하죠?
지원금 말고 논의되는 것들이 있습니까?
[기자]
단말기 가격을 투명하게 공개해서 소비자 구매부담을 낮추는 게 중요한데요.
그러기 위해선 제조사와 이통사의 지원금을 각각 분리해서 공시하는, 이른바 분리공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이건 국회에 관련 개정안이 계류중입니다. 처리 과정을 지켜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방통위는 이 밖에도 공시지원금 차등, 약정기간 다양화 등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그럼, 소비자 입장에서 이게 좋아지는 건지 효과는 있을지 이 문제 취재한 김민경 기자와 함께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 기자, 앞서 방통위 얘길 들어보면 소비자 입장에서 휴대전화 가격이 더 싸진다는거죠?
[기자]
네. 예를 한번 들어보죠.
지금 유통점에 가서 100만 원짜리 스마트폰을 산다고 생각해보시면요.
보통 이런 경우 통신사가 주는 공시지원금이 30만 원 정돕니다.
여기다 유통점이 주는 추가지원금이 공시지원금의 15%, 최대 4만5천 원입니다.
그래서 소비자는 65만5천 원에 살 수 있는데요, 추가지원금 한도가 최대 30%로 올라가면 9만 원.
그러니까 단말기 값이 61만 원까지 더 내려가는 거죠.
[앵커]
이 경우에도 3만5천원 더 싸게 살 수 있는는 건데, 실효성이 없다는 주장은 왜 나오는거죠?
[기자]
앞서 참여연대 관계자 얘기도 들어보셨지만, 이미 불법보조금을 추가지원금보다 더 많이 주는 경우도 있다고 하거든요.
이런 상황에서 추가지원금 몇만 원 올린다고 소비자가 체감하겠느냐, 불법지원금이 줄어들겠느냐. 이런 얘깁니다.
유통점이 줘도 되고 안줘도 되는 추가지원금 손본 것 정도론 시장에 영향을 주기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반응입니다.
[앵커]
유통점들 역시 반발하고 있다면서요?
왜 그런 건가요?
[기자]
소비자에게 추가지원금을 더 줘야 하는데 자금 여력이 없는 유통점은 고사 위기에 처할 거라는 겁니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관계자의 말 들어보시죠.
[이종천/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이사 : "15%의 추가 지원금도 지급할 여력이 없는 그런 소매점들이 앞으로 30%로 상향했을때 그 30%를 지급할 여력이 있을까...현실적으로 불가능할거라고 보는거죠."]
결국 이를 보완하려면 이통사가 유통점에 주는 판매장려금 차별 행위를 개선해야 한다고 유통점들은 주장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럼 이런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하죠?
지원금 말고 논의되는 것들이 있습니까?
[기자]
단말기 가격을 투명하게 공개해서 소비자 구매부담을 낮추는 게 중요한데요.
그러기 위해선 제조사와 이통사의 지원금을 각각 분리해서 공시하는, 이른바 분리공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이건 국회에 관련 개정안이 계류중입니다. 처리 과정을 지켜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방통위는 이 밖에도 공시지원금 차등, 약정기간 다양화 등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법 못 막고 소형점포만 잡을라…‘지원금 상향’ 실효성은?
-
- 입력 2021-05-26 21:23:13
- 수정2021-05-26 22:12:50

[앵커]
그럼, 소비자 입장에서 이게 좋아지는 건지 효과는 있을지 이 문제 취재한 김민경 기자와 함께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 기자, 앞서 방통위 얘길 들어보면 소비자 입장에서 휴대전화 가격이 더 싸진다는거죠?
[기자]
네. 예를 한번 들어보죠.
지금 유통점에 가서 100만 원짜리 스마트폰을 산다고 생각해보시면요.
보통 이런 경우 통신사가 주는 공시지원금이 30만 원 정돕니다.
여기다 유통점이 주는 추가지원금이 공시지원금의 15%, 최대 4만5천 원입니다.
그래서 소비자는 65만5천 원에 살 수 있는데요, 추가지원금 한도가 최대 30%로 올라가면 9만 원.
그러니까 단말기 값이 61만 원까지 더 내려가는 거죠.
[앵커]
이 경우에도 3만5천원 더 싸게 살 수 있는는 건데, 실효성이 없다는 주장은 왜 나오는거죠?
[기자]
앞서 참여연대 관계자 얘기도 들어보셨지만, 이미 불법보조금을 추가지원금보다 더 많이 주는 경우도 있다고 하거든요.
이런 상황에서 추가지원금 몇만 원 올린다고 소비자가 체감하겠느냐, 불법지원금이 줄어들겠느냐. 이런 얘깁니다.
유통점이 줘도 되고 안줘도 되는 추가지원금 손본 것 정도론 시장에 영향을 주기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반응입니다.
[앵커]
유통점들 역시 반발하고 있다면서요?
왜 그런 건가요?
[기자]
소비자에게 추가지원금을 더 줘야 하는데 자금 여력이 없는 유통점은 고사 위기에 처할 거라는 겁니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관계자의 말 들어보시죠.
[이종천/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이사 : "15%의 추가 지원금도 지급할 여력이 없는 그런 소매점들이 앞으로 30%로 상향했을때 그 30%를 지급할 여력이 있을까...현실적으로 불가능할거라고 보는거죠."]
결국 이를 보완하려면 이통사가 유통점에 주는 판매장려금 차별 행위를 개선해야 한다고 유통점들은 주장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럼 이런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하죠?
지원금 말고 논의되는 것들이 있습니까?
[기자]
단말기 가격을 투명하게 공개해서 소비자 구매부담을 낮추는 게 중요한데요.
그러기 위해선 제조사와 이통사의 지원금을 각각 분리해서 공시하는, 이른바 분리공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이건 국회에 관련 개정안이 계류중입니다. 처리 과정을 지켜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방통위는 이 밖에도 공시지원금 차등, 약정기간 다양화 등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그럼, 소비자 입장에서 이게 좋아지는 건지 효과는 있을지 이 문제 취재한 김민경 기자와 함께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 기자, 앞서 방통위 얘길 들어보면 소비자 입장에서 휴대전화 가격이 더 싸진다는거죠?
[기자]
네. 예를 한번 들어보죠.
지금 유통점에 가서 100만 원짜리 스마트폰을 산다고 생각해보시면요.
보통 이런 경우 통신사가 주는 공시지원금이 30만 원 정돕니다.
여기다 유통점이 주는 추가지원금이 공시지원금의 15%, 최대 4만5천 원입니다.
그래서 소비자는 65만5천 원에 살 수 있는데요, 추가지원금 한도가 최대 30%로 올라가면 9만 원.
그러니까 단말기 값이 61만 원까지 더 내려가는 거죠.
[앵커]
이 경우에도 3만5천원 더 싸게 살 수 있는는 건데, 실효성이 없다는 주장은 왜 나오는거죠?
[기자]
앞서 참여연대 관계자 얘기도 들어보셨지만, 이미 불법보조금을 추가지원금보다 더 많이 주는 경우도 있다고 하거든요.
이런 상황에서 추가지원금 몇만 원 올린다고 소비자가 체감하겠느냐, 불법지원금이 줄어들겠느냐. 이런 얘깁니다.
유통점이 줘도 되고 안줘도 되는 추가지원금 손본 것 정도론 시장에 영향을 주기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반응입니다.
[앵커]
유통점들 역시 반발하고 있다면서요?
왜 그런 건가요?
[기자]
소비자에게 추가지원금을 더 줘야 하는데 자금 여력이 없는 유통점은 고사 위기에 처할 거라는 겁니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관계자의 말 들어보시죠.
[이종천/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이사 : "15%의 추가 지원금도 지급할 여력이 없는 그런 소매점들이 앞으로 30%로 상향했을때 그 30%를 지급할 여력이 있을까...현실적으로 불가능할거라고 보는거죠."]
결국 이를 보완하려면 이통사가 유통점에 주는 판매장려금 차별 행위를 개선해야 한다고 유통점들은 주장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럼 이런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하죠?
지원금 말고 논의되는 것들이 있습니까?
[기자]
단말기 가격을 투명하게 공개해서 소비자 구매부담을 낮추는 게 중요한데요.
그러기 위해선 제조사와 이통사의 지원금을 각각 분리해서 공시하는, 이른바 분리공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이건 국회에 관련 개정안이 계류중입니다. 처리 과정을 지켜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방통위는 이 밖에도 공시지원금 차등, 약정기간 다양화 등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
김민경 기자 mkdream@kbs.co.kr
김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