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판 ‘15분 도시’ 조성…‘어떻게’는 빠져
입력 2021.05.26 (21:49)
수정 2021.05.26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차량과 인파가 몰리는 대도시의 삶에는 여러 불편이 따라오는데요,
부산시가 이런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15분 도시'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모든 시민이 걸어서 15분 안에 주요 시설을 누릴 수 있게 한다는 건데, 어떻게 실현할지는 빠져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준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도심 주택가에 들어선 작은 공원.
차를 타고 나가지 않더라도 주민 누구나 쉽게 오갈 수 있어 만족도가 높습니다.
[이종대/사상구 주례1동 : "주택가에서 이런 공원이 있는 곳은 그렇게 많지 않아요. 여기 와보니까 많아요. 이런 공간이 있다는 것은 우리 삶에 정말 좋죠."]
하지만 부산에서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에 이런 작은 공원을 둔 곳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더욱이 상점과 병원, 문화시설 등 각종 편의시설조차 쉽게 접근하기 힘든 동네도 많습니다.
부산시가 '15분 도시' 조성을 추진하는 건 바로 이런 도심 형태를 바꾸기 위해섭니다.
4개 동을 하나의 생활권역으로 묶어 '내 집에서 걸어서 15분 거리' 안에 학교와 의료, 상점, 여가시설 등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게 핵심.
이와 동시에 부산시는 스마트 교통체계 구축과 보행 환경 개선 등을 통해 하나의 생활권역 안에서의 접근성도 높인다는 계획입니다.
'15분 도시'는 이미 프랑스 파리를 시작으로 전 세계 주요 도시로 퍼지고 있습니다.
삶의 질 향상은 물론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저탄소 도시로의 전환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 : "(15분 도시 조성은) 불균형 발전을 해소하기 위해서 하는 겁니다. 그러니까 어떤 지역에 다양한 시설들이 너무 편중되거나 집중되는 것을 막고 골고루 그 시설들이 편재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부산시는 10년 이상 장기 과제로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보궐선거로 뽑힌 박형준 시장 임기는 내년 6월까집니다.
특히 15분 도시 조성을 위해 민간 영역을 포함해 핵심 시설을 각 생활권역 안으로 어떻게 끌어들일지에 대한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김희나
차량과 인파가 몰리는 대도시의 삶에는 여러 불편이 따라오는데요,
부산시가 이런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15분 도시'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모든 시민이 걸어서 15분 안에 주요 시설을 누릴 수 있게 한다는 건데, 어떻게 실현할지는 빠져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준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도심 주택가에 들어선 작은 공원.
차를 타고 나가지 않더라도 주민 누구나 쉽게 오갈 수 있어 만족도가 높습니다.
[이종대/사상구 주례1동 : "주택가에서 이런 공원이 있는 곳은 그렇게 많지 않아요. 여기 와보니까 많아요. 이런 공간이 있다는 것은 우리 삶에 정말 좋죠."]
하지만 부산에서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에 이런 작은 공원을 둔 곳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더욱이 상점과 병원, 문화시설 등 각종 편의시설조차 쉽게 접근하기 힘든 동네도 많습니다.
부산시가 '15분 도시' 조성을 추진하는 건 바로 이런 도심 형태를 바꾸기 위해섭니다.
4개 동을 하나의 생활권역으로 묶어 '내 집에서 걸어서 15분 거리' 안에 학교와 의료, 상점, 여가시설 등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게 핵심.
이와 동시에 부산시는 스마트 교통체계 구축과 보행 환경 개선 등을 통해 하나의 생활권역 안에서의 접근성도 높인다는 계획입니다.
'15분 도시'는 이미 프랑스 파리를 시작으로 전 세계 주요 도시로 퍼지고 있습니다.
삶의 질 향상은 물론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저탄소 도시로의 전환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 : "(15분 도시 조성은) 불균형 발전을 해소하기 위해서 하는 겁니다. 그러니까 어떤 지역에 다양한 시설들이 너무 편중되거나 집중되는 것을 막고 골고루 그 시설들이 편재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부산시는 10년 이상 장기 과제로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보궐선거로 뽑힌 박형준 시장 임기는 내년 6월까집니다.
특히 15분 도시 조성을 위해 민간 영역을 포함해 핵심 시설을 각 생활권역 안으로 어떻게 끌어들일지에 대한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김희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산판 ‘15분 도시’ 조성…‘어떻게’는 빠져
-
- 입력 2021-05-26 21:49:49
- 수정2021-05-26 22:07:27

[앵커]
차량과 인파가 몰리는 대도시의 삶에는 여러 불편이 따라오는데요,
부산시가 이런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15분 도시'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모든 시민이 걸어서 15분 안에 주요 시설을 누릴 수 있게 한다는 건데, 어떻게 실현할지는 빠져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준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도심 주택가에 들어선 작은 공원.
차를 타고 나가지 않더라도 주민 누구나 쉽게 오갈 수 있어 만족도가 높습니다.
[이종대/사상구 주례1동 : "주택가에서 이런 공원이 있는 곳은 그렇게 많지 않아요. 여기 와보니까 많아요. 이런 공간이 있다는 것은 우리 삶에 정말 좋죠."]
하지만 부산에서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에 이런 작은 공원을 둔 곳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더욱이 상점과 병원, 문화시설 등 각종 편의시설조차 쉽게 접근하기 힘든 동네도 많습니다.
부산시가 '15분 도시' 조성을 추진하는 건 바로 이런 도심 형태를 바꾸기 위해섭니다.
4개 동을 하나의 생활권역으로 묶어 '내 집에서 걸어서 15분 거리' 안에 학교와 의료, 상점, 여가시설 등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게 핵심.
이와 동시에 부산시는 스마트 교통체계 구축과 보행 환경 개선 등을 통해 하나의 생활권역 안에서의 접근성도 높인다는 계획입니다.
'15분 도시'는 이미 프랑스 파리를 시작으로 전 세계 주요 도시로 퍼지고 있습니다.
삶의 질 향상은 물론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저탄소 도시로의 전환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 : "(15분 도시 조성은) 불균형 발전을 해소하기 위해서 하는 겁니다. 그러니까 어떤 지역에 다양한 시설들이 너무 편중되거나 집중되는 것을 막고 골고루 그 시설들이 편재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부산시는 10년 이상 장기 과제로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보궐선거로 뽑힌 박형준 시장 임기는 내년 6월까집니다.
특히 15분 도시 조성을 위해 민간 영역을 포함해 핵심 시설을 각 생활권역 안으로 어떻게 끌어들일지에 대한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김희나
차량과 인파가 몰리는 대도시의 삶에는 여러 불편이 따라오는데요,
부산시가 이런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15분 도시'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모든 시민이 걸어서 15분 안에 주요 시설을 누릴 수 있게 한다는 건데, 어떻게 실현할지는 빠져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준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도심 주택가에 들어선 작은 공원.
차를 타고 나가지 않더라도 주민 누구나 쉽게 오갈 수 있어 만족도가 높습니다.
[이종대/사상구 주례1동 : "주택가에서 이런 공원이 있는 곳은 그렇게 많지 않아요. 여기 와보니까 많아요. 이런 공간이 있다는 것은 우리 삶에 정말 좋죠."]
하지만 부산에서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에 이런 작은 공원을 둔 곳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더욱이 상점과 병원, 문화시설 등 각종 편의시설조차 쉽게 접근하기 힘든 동네도 많습니다.
부산시가 '15분 도시' 조성을 추진하는 건 바로 이런 도심 형태를 바꾸기 위해섭니다.
4개 동을 하나의 생활권역으로 묶어 '내 집에서 걸어서 15분 거리' 안에 학교와 의료, 상점, 여가시설 등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게 핵심.
이와 동시에 부산시는 스마트 교통체계 구축과 보행 환경 개선 등을 통해 하나의 생활권역 안에서의 접근성도 높인다는 계획입니다.
'15분 도시'는 이미 프랑스 파리를 시작으로 전 세계 주요 도시로 퍼지고 있습니다.
삶의 질 향상은 물론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저탄소 도시로의 전환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 : "(15분 도시 조성은) 불균형 발전을 해소하기 위해서 하는 겁니다. 그러니까 어떤 지역에 다양한 시설들이 너무 편중되거나 집중되는 것을 막고 골고루 그 시설들이 편재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부산시는 10년 이상 장기 과제로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보궐선거로 뽑힌 박형준 시장 임기는 내년 6월까집니다.
특히 15분 도시 조성을 위해 민간 영역을 포함해 핵심 시설을 각 생활권역 안으로 어떻게 끌어들일지에 대한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김희나
-
-
이준석 기자 alleylee@kbs.co.kr
이준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