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여야정 협의체 정례화”…야당 국정 ‘맹공’

입력 2021.05.27 (06:16) 수정 2021.05.27 (06: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방미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여야 5당 대표를 청와대로 초청해 만났는데, 야당 반응이 호의적이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문 대통령은 석 달에 한번씩 여야정 협의체를 갖자고 제안했습니다.

안다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년 3개월여 만에 만난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대표.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확고한 공감대가 생겼다, 백신 협력은 뿌듯한 성과라며, 한미 정상회담 후속 조치에서 국회 협력을 요청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한미동맹이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재확인할 수 있었던 뜻깊은 기회였습니다."]

하지만 야당에선 백신 협상에 대한 아쉬움부터 나왔습니다.

[안철수/국민의당 대표 : "(백신) 원천 기술을 가지고 있지 못하면 굉장히 뒤처질 가능성들이 많아서..."]

현안인 부동산 정책과 최근 인사 문제, 북한 인권까지, 모두발언부터 작심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김기현/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 :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인물을 반복적으로 추천해온 인사 라인에 대해서 이제는 교체하시는 것이 옳다고 저희들은 생각합니다."]

민주당은 정상회담 후속 조치로 판문점선언 비준동의안에 대한 초당적 협력을 촉구하면서, 백신 불안 해소에 정치권이 앞장서자고 했습니다.

[송영길/더불어민주당 대표 : "여야 대표들부터 먼저 선언적으로 백신 주사를, '노쇼 하는 것'(잔여 백신)은 맞을 수 있다고 그러더라고요."]

남북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해 8월 한미연합훈련을 조정하자는 의견도 나왔고,

[여영국/정의당 대표 : "8월로 예정된 한미 연합훈련 취소나 연기 의지를 실어서..."]

문 대통령은 코로나 19로 대규모 훈련은 어렵지 않겠냐는 취지의 답을 내놨습니다.

전시작전권 전환 논의가 미진하다는 얘기에, 문 대통령은 귀속 책임이 우리에게도 있다며, 한미간 긴밀히 논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강욱/열린민주당 대표 : "아쉬웠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이 미국이 전시작전권 전환 문제에 대해서 뭔가 구체적인 얘기를 하지 않았다는 점을 좀 말씀드리고 싶고요."]

문 대통령은 여·야·정 협의체를 다시 가동해 석 달마다 정례화하자고 제안했습니다.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촬영기자:윤희진/영상편집:이상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문 대통령 “여야정 협의체 정례화”…야당 국정 ‘맹공’
    • 입력 2021-05-27 06:16:26
    • 수정2021-05-27 06:24:29
    뉴스광장 1부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방미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여야 5당 대표를 청와대로 초청해 만났는데, 야당 반응이 호의적이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문 대통령은 석 달에 한번씩 여야정 협의체를 갖자고 제안했습니다.

안다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년 3개월여 만에 만난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대표.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확고한 공감대가 생겼다, 백신 협력은 뿌듯한 성과라며, 한미 정상회담 후속 조치에서 국회 협력을 요청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한미동맹이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재확인할 수 있었던 뜻깊은 기회였습니다."]

하지만 야당에선 백신 협상에 대한 아쉬움부터 나왔습니다.

[안철수/국민의당 대표 : "(백신) 원천 기술을 가지고 있지 못하면 굉장히 뒤처질 가능성들이 많아서..."]

현안인 부동산 정책과 최근 인사 문제, 북한 인권까지, 모두발언부터 작심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김기현/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 :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인물을 반복적으로 추천해온 인사 라인에 대해서 이제는 교체하시는 것이 옳다고 저희들은 생각합니다."]

민주당은 정상회담 후속 조치로 판문점선언 비준동의안에 대한 초당적 협력을 촉구하면서, 백신 불안 해소에 정치권이 앞장서자고 했습니다.

[송영길/더불어민주당 대표 : "여야 대표들부터 먼저 선언적으로 백신 주사를, '노쇼 하는 것'(잔여 백신)은 맞을 수 있다고 그러더라고요."]

남북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해 8월 한미연합훈련을 조정하자는 의견도 나왔고,

[여영국/정의당 대표 : "8월로 예정된 한미 연합훈련 취소나 연기 의지를 실어서..."]

문 대통령은 코로나 19로 대규모 훈련은 어렵지 않겠냐는 취지의 답을 내놨습니다.

전시작전권 전환 논의가 미진하다는 얘기에, 문 대통령은 귀속 책임이 우리에게도 있다며, 한미간 긴밀히 논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강욱/열린민주당 대표 : "아쉬웠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이 미국이 전시작전권 전환 문제에 대해서 뭔가 구체적인 얘기를 하지 않았다는 점을 좀 말씀드리고 싶고요."]

문 대통령은 여·야·정 협의체를 다시 가동해 석 달마다 정례화하자고 제안했습니다.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촬영기자:윤희진/영상편집:이상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