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난 속에 청년들 ‘1인 창업’으로 눈길 돌려

입력 2021.05.28 (21:36) 수정 2021.05.28 (22: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는 우리 경제 곳곳에, 특히 고용에 큰 충격을 가져왔습니다.

그 중에서도 청년들은 취업 보릿고개라는 말이 나올 만큼 일자리 찾기가 어렵습니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려고 나 홀로 창업에 도전하는 청년 사장님들, 김수연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재료 손질부터 매장 정리까지, 홀로 장사를 준비하는 이현재 씨는 올해 초만 해도 대형 음식점 직원이었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어려워진 회사, 이 씨의 선택은 경험을 살린 창업이었습니다.

[이현재/일식당 사장 : "직원을 정리해야 한다는 소식을 듣고 그러던 와중에 창업을 예전부터 생각해오던 아이템을 지금 한번 해봐야겠다고 생각을 해서 창업 준비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됐고요."]

코로나19로 늘어난 비대면 수요가 장우희 씨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됐습니다.

택배 증가와 함께 늘어난 비닐 쓰레기를 재활용해 지갑과 가방을 만들어 팝니다.

매장을 찾는 손님이 뜸한 상황, 장 씨가 온라인 판매로 눈을 돌린 이유입니다.

[장우희/업사이클링 업체 대표 : "사업을 이어나가기 위해서 비대면 언택트 사업이라든지 온라인 쪽으로 조금 더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방법에 집중하게 됐고 (코로나19가) 저에게는 조금 더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이 돼요."]

코로나19 충격에도 지난해 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청년 1인 자영업자는 한 달 평균 만 명 넘게 늘었습니다.

특히, 도소매업과 정보통신업 등에서 증가율이 높았습니다.

온라인 쇼핑몰이나 SNS 광고 업체 같은 비대면 사업에서 창업이 늘었다는 분석.

여기에 온라인을 통해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된 것도 창업 문턱을 낮췄습니다.

[양슬기/온라인 쇼핑몰 대표 : "(관련) 사이트가 생겨나면서 문턱이 낮아진 것 같기는 해요. 나라에서 지원을 해주는 것들이 많이 있어요, 창업교육 같은 게. 그래서 그런 걸 하면서 많이 정보를 접하게 (됐습니다)."]

상대적으로 비용이 덜 들고 위험 부담이 적다는 인식 속에 청년들이 나 홀로 창업을 돌파구로 삼고 있습니다.

촬영기자:송상엽 김태현/영상편집:위강해/그래픽:이근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업난 속에 청년들 ‘1인 창업’으로 눈길 돌려
    • 입력 2021-05-28 21:36:47
    • 수정2021-05-28 22:15:00
    뉴스 9
[앵커]

코로나19는 우리 경제 곳곳에, 특히 고용에 큰 충격을 가져왔습니다.

그 중에서도 청년들은 취업 보릿고개라는 말이 나올 만큼 일자리 찾기가 어렵습니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려고 나 홀로 창업에 도전하는 청년 사장님들, 김수연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재료 손질부터 매장 정리까지, 홀로 장사를 준비하는 이현재 씨는 올해 초만 해도 대형 음식점 직원이었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어려워진 회사, 이 씨의 선택은 경험을 살린 창업이었습니다.

[이현재/일식당 사장 : "직원을 정리해야 한다는 소식을 듣고 그러던 와중에 창업을 예전부터 생각해오던 아이템을 지금 한번 해봐야겠다고 생각을 해서 창업 준비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됐고요."]

코로나19로 늘어난 비대면 수요가 장우희 씨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됐습니다.

택배 증가와 함께 늘어난 비닐 쓰레기를 재활용해 지갑과 가방을 만들어 팝니다.

매장을 찾는 손님이 뜸한 상황, 장 씨가 온라인 판매로 눈을 돌린 이유입니다.

[장우희/업사이클링 업체 대표 : "사업을 이어나가기 위해서 비대면 언택트 사업이라든지 온라인 쪽으로 조금 더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방법에 집중하게 됐고 (코로나19가) 저에게는 조금 더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이 돼요."]

코로나19 충격에도 지난해 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청년 1인 자영업자는 한 달 평균 만 명 넘게 늘었습니다.

특히, 도소매업과 정보통신업 등에서 증가율이 높았습니다.

온라인 쇼핑몰이나 SNS 광고 업체 같은 비대면 사업에서 창업이 늘었다는 분석.

여기에 온라인을 통해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된 것도 창업 문턱을 낮췄습니다.

[양슬기/온라인 쇼핑몰 대표 : "(관련) 사이트가 생겨나면서 문턱이 낮아진 것 같기는 해요. 나라에서 지원을 해주는 것들이 많이 있어요, 창업교육 같은 게. 그래서 그런 걸 하면서 많이 정보를 접하게 (됐습니다)."]

상대적으로 비용이 덜 들고 위험 부담이 적다는 인식 속에 청년들이 나 홀로 창업을 돌파구로 삼고 있습니다.

촬영기자:송상엽 김태현/영상편집:위강해/그래픽:이근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