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소 건설 어업피해보상 주먹구구
입력 2021.06.21 (07:44)
수정 2021.06.21 (07: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강원도 강릉에서 5조 6천억 원대의 화력발전소 건설이 진행되면서 어민들에게 피해 보상이 이뤄졌는데요.
이 과정에서 보상금 142억 원이 지급된 어장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보상금이 터무니없이 부풀려졌다는 정황을 KBS가 포착했습니다.
박성은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바닷가에서 발전 연료를 실어나를 항만을 건설하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여기서 1Km 정도 떨어진 한 어촌계의 양식어장.
암반지대에 사는 멍게와 해삼, 전복이 많이 나온다고 해서 보상금 142억 원이 지급된 곳입니다.
비슷한 크기의 근처 양식어장 보상가보다 59억 원이 많았습니다.
바닷속에 들어가 봤습니다.
물 속으로 20미터쯤 들어가니 암반지대가 나타납니다.
멍게와 해삼이 가끔 눈에 띕니다.
하지만, 먼 바다쪽으로 조금 이동하자 암반은 사라지고, 끝없는 모래밭이 펼쳐집니다.
멍게도 해삼도 자취를 감췄습니다.
간간이 불가사리만 눈에 띕니다.
저희 취재진이 어장 곳곳의 물 속 상황을 살펴보 결과, 해삼과 멍게, 전복이 주로 산다는 암반보다는 모래와 펄층이 훨씬 많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국립해양조사원도 이 어장의 암반 비율은 30%가 안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보상 연구용역을 맡은 경상국립대학교 연구진은 암반 비율은 고려하지 않고 전복과 멍게, 해삼이 연평균 161톤씩 생산된다는 조사 결과를 내놨습니다.
[어업 피해 조사 용역 관계자/음성변조 : "정점(측정지점)을 무작위로 설정하기 때문에 생물이 서식하는 지역하고 안하는 지역이 평균대가 계산이 되기 때문에 전체 어장을 나타낸다고 저희들을 판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용역에 참가했던 잠수부는 연구진이 암반지역만 골라 생산량을 조사했다고 증언합니다.
[용역 참가 잠수부/음성변조 : "암반 있는 쪽 그쪽을 찾아 보라니까 우리는 여기밖에 못 하는 거죠. (펄이나 모래 있는 곳 가서 해보자는 주문은 없었어요?) 아뇨. 없죠. 거기서는 뭐 없으니까."]
취재진은 해당 연구진에 해명을 요청했지만, 답변을 거부했습니다.
연구용역 감수를 맡은 한국부동산원과 보상금을 지급한 발전사업자는 용역내용에 대한 검증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성은입니다.
강원도 강릉에서 5조 6천억 원대의 화력발전소 건설이 진행되면서 어민들에게 피해 보상이 이뤄졌는데요.
이 과정에서 보상금 142억 원이 지급된 어장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보상금이 터무니없이 부풀려졌다는 정황을 KBS가 포착했습니다.
박성은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바닷가에서 발전 연료를 실어나를 항만을 건설하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여기서 1Km 정도 떨어진 한 어촌계의 양식어장.
암반지대에 사는 멍게와 해삼, 전복이 많이 나온다고 해서 보상금 142억 원이 지급된 곳입니다.
비슷한 크기의 근처 양식어장 보상가보다 59억 원이 많았습니다.
바닷속에 들어가 봤습니다.
물 속으로 20미터쯤 들어가니 암반지대가 나타납니다.
멍게와 해삼이 가끔 눈에 띕니다.
하지만, 먼 바다쪽으로 조금 이동하자 암반은 사라지고, 끝없는 모래밭이 펼쳐집니다.
멍게도 해삼도 자취를 감췄습니다.
간간이 불가사리만 눈에 띕니다.
저희 취재진이 어장 곳곳의 물 속 상황을 살펴보 결과, 해삼과 멍게, 전복이 주로 산다는 암반보다는 모래와 펄층이 훨씬 많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국립해양조사원도 이 어장의 암반 비율은 30%가 안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보상 연구용역을 맡은 경상국립대학교 연구진은 암반 비율은 고려하지 않고 전복과 멍게, 해삼이 연평균 161톤씩 생산된다는 조사 결과를 내놨습니다.
[어업 피해 조사 용역 관계자/음성변조 : "정점(측정지점)을 무작위로 설정하기 때문에 생물이 서식하는 지역하고 안하는 지역이 평균대가 계산이 되기 때문에 전체 어장을 나타낸다고 저희들을 판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용역에 참가했던 잠수부는 연구진이 암반지역만 골라 생산량을 조사했다고 증언합니다.
[용역 참가 잠수부/음성변조 : "암반 있는 쪽 그쪽을 찾아 보라니까 우리는 여기밖에 못 하는 거죠. (펄이나 모래 있는 곳 가서 해보자는 주문은 없었어요?) 아뇨. 없죠. 거기서는 뭐 없으니까."]
취재진은 해당 연구진에 해명을 요청했지만, 답변을 거부했습니다.
연구용역 감수를 맡은 한국부동산원과 보상금을 지급한 발전사업자는 용역내용에 대한 검증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성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발전소 건설 어업피해보상 주먹구구
-
- 입력 2021-06-21 07:44:41
- 수정2021-06-21 07:49:57
[앵커]
강원도 강릉에서 5조 6천억 원대의 화력발전소 건설이 진행되면서 어민들에게 피해 보상이 이뤄졌는데요.
이 과정에서 보상금 142억 원이 지급된 어장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보상금이 터무니없이 부풀려졌다는 정황을 KBS가 포착했습니다.
박성은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바닷가에서 발전 연료를 실어나를 항만을 건설하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여기서 1Km 정도 떨어진 한 어촌계의 양식어장.
암반지대에 사는 멍게와 해삼, 전복이 많이 나온다고 해서 보상금 142억 원이 지급된 곳입니다.
비슷한 크기의 근처 양식어장 보상가보다 59억 원이 많았습니다.
바닷속에 들어가 봤습니다.
물 속으로 20미터쯤 들어가니 암반지대가 나타납니다.
멍게와 해삼이 가끔 눈에 띕니다.
하지만, 먼 바다쪽으로 조금 이동하자 암반은 사라지고, 끝없는 모래밭이 펼쳐집니다.
멍게도 해삼도 자취를 감췄습니다.
간간이 불가사리만 눈에 띕니다.
저희 취재진이 어장 곳곳의 물 속 상황을 살펴보 결과, 해삼과 멍게, 전복이 주로 산다는 암반보다는 모래와 펄층이 훨씬 많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국립해양조사원도 이 어장의 암반 비율은 30%가 안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보상 연구용역을 맡은 경상국립대학교 연구진은 암반 비율은 고려하지 않고 전복과 멍게, 해삼이 연평균 161톤씩 생산된다는 조사 결과를 내놨습니다.
[어업 피해 조사 용역 관계자/음성변조 : "정점(측정지점)을 무작위로 설정하기 때문에 생물이 서식하는 지역하고 안하는 지역이 평균대가 계산이 되기 때문에 전체 어장을 나타낸다고 저희들을 판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용역에 참가했던 잠수부는 연구진이 암반지역만 골라 생산량을 조사했다고 증언합니다.
[용역 참가 잠수부/음성변조 : "암반 있는 쪽 그쪽을 찾아 보라니까 우리는 여기밖에 못 하는 거죠. (펄이나 모래 있는 곳 가서 해보자는 주문은 없었어요?) 아뇨. 없죠. 거기서는 뭐 없으니까."]
취재진은 해당 연구진에 해명을 요청했지만, 답변을 거부했습니다.
연구용역 감수를 맡은 한국부동산원과 보상금을 지급한 발전사업자는 용역내용에 대한 검증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성은입니다.
강원도 강릉에서 5조 6천억 원대의 화력발전소 건설이 진행되면서 어민들에게 피해 보상이 이뤄졌는데요.
이 과정에서 보상금 142억 원이 지급된 어장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보상금이 터무니없이 부풀려졌다는 정황을 KBS가 포착했습니다.
박성은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바닷가에서 발전 연료를 실어나를 항만을 건설하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여기서 1Km 정도 떨어진 한 어촌계의 양식어장.
암반지대에 사는 멍게와 해삼, 전복이 많이 나온다고 해서 보상금 142억 원이 지급된 곳입니다.
비슷한 크기의 근처 양식어장 보상가보다 59억 원이 많았습니다.
바닷속에 들어가 봤습니다.
물 속으로 20미터쯤 들어가니 암반지대가 나타납니다.
멍게와 해삼이 가끔 눈에 띕니다.
하지만, 먼 바다쪽으로 조금 이동하자 암반은 사라지고, 끝없는 모래밭이 펼쳐집니다.
멍게도 해삼도 자취를 감췄습니다.
간간이 불가사리만 눈에 띕니다.
저희 취재진이 어장 곳곳의 물 속 상황을 살펴보 결과, 해삼과 멍게, 전복이 주로 산다는 암반보다는 모래와 펄층이 훨씬 많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국립해양조사원도 이 어장의 암반 비율은 30%가 안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보상 연구용역을 맡은 경상국립대학교 연구진은 암반 비율은 고려하지 않고 전복과 멍게, 해삼이 연평균 161톤씩 생산된다는 조사 결과를 내놨습니다.
[어업 피해 조사 용역 관계자/음성변조 : "정점(측정지점)을 무작위로 설정하기 때문에 생물이 서식하는 지역하고 안하는 지역이 평균대가 계산이 되기 때문에 전체 어장을 나타낸다고 저희들을 판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용역에 참가했던 잠수부는 연구진이 암반지역만 골라 생산량을 조사했다고 증언합니다.
[용역 참가 잠수부/음성변조 : "암반 있는 쪽 그쪽을 찾아 보라니까 우리는 여기밖에 못 하는 거죠. (펄이나 모래 있는 곳 가서 해보자는 주문은 없었어요?) 아뇨. 없죠. 거기서는 뭐 없으니까."]
취재진은 해당 연구진에 해명을 요청했지만, 답변을 거부했습니다.
연구용역 감수를 맡은 한국부동산원과 보상금을 지급한 발전사업자는 용역내용에 대한 검증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성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