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UP!] 밀양 송전탑 그 후 7년…“고통은 현재 진행형”

입력 2021.06.22 (19:37) 수정 2021.06.22 (19: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 2014년 이맘때 밀양의 초고압 송전탑 건설을 놓고 한전과 반대 측 주민들이 충돌했었는데요.

7년이 흐른 지금도 주민들은 송전탑 건설 이전의 평범했던 일상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밀양 송전탑 인근 마을 주민들의 고통, 경남 업그레이드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움막을 에워싼 경찰이 칼로 천막을 찢고 철골 구조물을 잘라내 진입합니다.

쇠사슬을 두른 고령의 주민들은 오열하며 거세게 저항합니다.

["지금 바로 행정대집행을 시작하겠습니다."]

경찰과 공무원 등 2,500여 명이 동원된 밀양 송전탑 행정대집행 현장.

반대 주민들의 거점인 움막은 11시간 만에 철거됐습니다.
그 후 7년.

밀양 곳곳에는 평균 100미터, 아파트 40층 높이 송전철탑 69기가 들어섰습니다.

철탑 인근 돼지 300여 마리를 키우던 양돈장입니다.

텅 빈 돼지우리에는 치우지 못한 돼지 폐사체와 오물, 먼지만 가득합니다.

지난 2013년 12월 송전탑 건설에 반대하며 스스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고 유한숙 씨의 양돈장입니다.

[김영순/밀양시 고정마을 주민 : "그 어르신도 진짜로 데모 많이 하고 그랬는데 전부 다 그렇게 억울하게 죽어도 아무 보상도 없고..."]

유 씨의 죽음 뒤에도 가족들의 고통은 계속됐습니다.

유 씨 가족과 한전은 2015년 양돈장 피해 보상을 위한 '감정 의뢰 협의서'를 작성합니다.

하지만 한전은 감정기관의 피해액 산정에 객관적 근거가 부족하다며 보상을 거부했습니다.

2018년 유 씨 가족은 한전을 상대로 '약정금 청구 소송'을 제기했지만 패소했고 소송 비용까지 떠안아야 했습니다.

힘겨운 싸움을 이어가던 유 씨의 부인과 아들은 지난 3월 지병으로 잇따라 숨졌습니다.

[이형찬/변호사 : "지난 소송에서 전부 패소하셨잖아요. 그 소송 비용을 패소한 측에서 보통 부담을 하게 되는데, 그게 몇천만 원 되거든요. 2~3천 정도 되는데…."]

신고리 원전 3, 4호기를 창녕 북경남 변전소로 보내기 위한 76만 5천 볼트 초고압 송전선로 사업.

평온했던 마을은 2008년 공사가 시작되면서, 충돌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2012년 1월에는 고 이치우 씨가, 이듬해에는 고 유한숙 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동요한 마을 주민들은 하나 둘씩 고향을 떠났습니다.

[김필선/밀양시 용회마을 주민 : "데모하자는 사람도 있고 반대도 있고 그렇다 아닙니까? 그러니까 이거 안 되겠다 하더니 집 팔고 이사 가버렸어요."]

2014년 행정대집행 뒤 한전과 찬성 측 주민대표를 주축으로 '갈등 해소 특별지원협의회'가 꾸려졌습니다.

협의회는 송전탑이 지나는 마을에 보상금 185억 원 지급을 결정했습니다.

문제는 전체 보상금의 40%, 74억 원을 개별 가구 지급하기로 한 것!

송전탑 건설 과정에서 전례를 찾기 힘든 개별 보상에 대대로 어울려 살던 마을 공동체는 분열하기 시작했습니다.

보상금을 받은 주민과 이를 거부하는 주민들 사이에 앙금이 생겼고 '돈이 원수'라는 말까지 나돌았습니다.

[김영순/밀양시 고정마을 주민 : "우리 마을의 아줌마들, 형님들 뭐 이런 사람들도 전부 다 나한테 말해 놓고는 결국은 다 거짓말이었어. 다 합의 본 상태에서 나한테 다 말한 거야. 그래서 나는 그런 마을의 형님들이 더 밉고 용서할 수 없고."]

2002년 고향으로 귀농해 남편과 아이 넷을 키우던 박은숙 씨.

2012년부터 햇수로 10년째 송전탑 반대 운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전체 보상 대상 2,200여 가구 가운데 박 씨를 포함한 110여 가구는 여전히 보상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돈을 앞세워 공동체를 분열시키는 한전의 사업 방식에 수긍할 수가 없습니다.

[박은숙/밀양 송전탑 반대대책위 상임위원 : "사람이 돈이 있다 보니까 서로 싸우는 거예요. 왜 서로 왜 싸우는지 모르겠는데 우리는 찬성파 반대파 이렇게 갈라져서 서로 싸우는 거죠. 다른 동네는 어디 여행도 보내줬다던데 너희 때문에 우리는 여행도 못 갔다."]

지난 2019년 경찰청 인권침해 진상조사위는 송전탑 행정대집행 과정에서 반대 주민에 대한 인권침해와 사찰 및 회유, 비인도적 조치가 있었다는 사실을 공식 인정했습니다.

이를 근거로 반대 대책위는 정부에 진상조사단 구성을 요구했지만, 협상은 번번이 무산됐습니다.

진상 조사의 핵심 내용에 '공동체 파괴'를 포함 시킬 것이냐를 두고 견해차가 컸습니다.

[김영자/밀양시 여수마을 주민 : "송전탑이 세워지고부터 마을에 찬성하는 사람, 반대하는 사람이 나눠져서 마을 분위기가 예전과 비교하면 서로 말 안 하고. 마을 공동체라는 게 산산조각이 난 상황이거든요. 합의 본 사람들은 본 사람들끼리 이렇게 잘 다니고, 안 본 사람들은 안 본 사람들끼리 다니는 거예요."]

밀양 송전탑 공사가 시작되고 햇수로 14년, 마을과 이웃이 삶의 전부였던 고령의 농촌 주민들에게 76만 5천 볼트 초고압 송전탑이 남긴 고통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입니다.

경남업그레이드, 김소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남 UP!] 밀양 송전탑 그 후 7년…“고통은 현재 진행형”
    • 입력 2021-06-22 19:37:15
    • 수정2021-06-22 19:47:46
    뉴스7(창원)
[앵커]

지난 2014년 이맘때 밀양의 초고압 송전탑 건설을 놓고 한전과 반대 측 주민들이 충돌했었는데요.

7년이 흐른 지금도 주민들은 송전탑 건설 이전의 평범했던 일상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밀양 송전탑 인근 마을 주민들의 고통, 경남 업그레이드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움막을 에워싼 경찰이 칼로 천막을 찢고 철골 구조물을 잘라내 진입합니다.

쇠사슬을 두른 고령의 주민들은 오열하며 거세게 저항합니다.

["지금 바로 행정대집행을 시작하겠습니다."]

경찰과 공무원 등 2,500여 명이 동원된 밀양 송전탑 행정대집행 현장.

반대 주민들의 거점인 움막은 11시간 만에 철거됐습니다.
그 후 7년.

밀양 곳곳에는 평균 100미터, 아파트 40층 높이 송전철탑 69기가 들어섰습니다.

철탑 인근 돼지 300여 마리를 키우던 양돈장입니다.

텅 빈 돼지우리에는 치우지 못한 돼지 폐사체와 오물, 먼지만 가득합니다.

지난 2013년 12월 송전탑 건설에 반대하며 스스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고 유한숙 씨의 양돈장입니다.

[김영순/밀양시 고정마을 주민 : "그 어르신도 진짜로 데모 많이 하고 그랬는데 전부 다 그렇게 억울하게 죽어도 아무 보상도 없고..."]

유 씨의 죽음 뒤에도 가족들의 고통은 계속됐습니다.

유 씨 가족과 한전은 2015년 양돈장 피해 보상을 위한 '감정 의뢰 협의서'를 작성합니다.

하지만 한전은 감정기관의 피해액 산정에 객관적 근거가 부족하다며 보상을 거부했습니다.

2018년 유 씨 가족은 한전을 상대로 '약정금 청구 소송'을 제기했지만 패소했고 소송 비용까지 떠안아야 했습니다.

힘겨운 싸움을 이어가던 유 씨의 부인과 아들은 지난 3월 지병으로 잇따라 숨졌습니다.

[이형찬/변호사 : "지난 소송에서 전부 패소하셨잖아요. 그 소송 비용을 패소한 측에서 보통 부담을 하게 되는데, 그게 몇천만 원 되거든요. 2~3천 정도 되는데…."]

신고리 원전 3, 4호기를 창녕 북경남 변전소로 보내기 위한 76만 5천 볼트 초고압 송전선로 사업.

평온했던 마을은 2008년 공사가 시작되면서, 충돌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2012년 1월에는 고 이치우 씨가, 이듬해에는 고 유한숙 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동요한 마을 주민들은 하나 둘씩 고향을 떠났습니다.

[김필선/밀양시 용회마을 주민 : "데모하자는 사람도 있고 반대도 있고 그렇다 아닙니까? 그러니까 이거 안 되겠다 하더니 집 팔고 이사 가버렸어요."]

2014년 행정대집행 뒤 한전과 찬성 측 주민대표를 주축으로 '갈등 해소 특별지원협의회'가 꾸려졌습니다.

협의회는 송전탑이 지나는 마을에 보상금 185억 원 지급을 결정했습니다.

문제는 전체 보상금의 40%, 74억 원을 개별 가구 지급하기로 한 것!

송전탑 건설 과정에서 전례를 찾기 힘든 개별 보상에 대대로 어울려 살던 마을 공동체는 분열하기 시작했습니다.

보상금을 받은 주민과 이를 거부하는 주민들 사이에 앙금이 생겼고 '돈이 원수'라는 말까지 나돌았습니다.

[김영순/밀양시 고정마을 주민 : "우리 마을의 아줌마들, 형님들 뭐 이런 사람들도 전부 다 나한테 말해 놓고는 결국은 다 거짓말이었어. 다 합의 본 상태에서 나한테 다 말한 거야. 그래서 나는 그런 마을의 형님들이 더 밉고 용서할 수 없고."]

2002년 고향으로 귀농해 남편과 아이 넷을 키우던 박은숙 씨.

2012년부터 햇수로 10년째 송전탑 반대 운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전체 보상 대상 2,200여 가구 가운데 박 씨를 포함한 110여 가구는 여전히 보상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돈을 앞세워 공동체를 분열시키는 한전의 사업 방식에 수긍할 수가 없습니다.

[박은숙/밀양 송전탑 반대대책위 상임위원 : "사람이 돈이 있다 보니까 서로 싸우는 거예요. 왜 서로 왜 싸우는지 모르겠는데 우리는 찬성파 반대파 이렇게 갈라져서 서로 싸우는 거죠. 다른 동네는 어디 여행도 보내줬다던데 너희 때문에 우리는 여행도 못 갔다."]

지난 2019년 경찰청 인권침해 진상조사위는 송전탑 행정대집행 과정에서 반대 주민에 대한 인권침해와 사찰 및 회유, 비인도적 조치가 있었다는 사실을 공식 인정했습니다.

이를 근거로 반대 대책위는 정부에 진상조사단 구성을 요구했지만, 협상은 번번이 무산됐습니다.

진상 조사의 핵심 내용에 '공동체 파괴'를 포함 시킬 것이냐를 두고 견해차가 컸습니다.

[김영자/밀양시 여수마을 주민 : "송전탑이 세워지고부터 마을에 찬성하는 사람, 반대하는 사람이 나눠져서 마을 분위기가 예전과 비교하면 서로 말 안 하고. 마을 공동체라는 게 산산조각이 난 상황이거든요. 합의 본 사람들은 본 사람들끼리 이렇게 잘 다니고, 안 본 사람들은 안 본 사람들끼리 다니는 거예요."]

밀양 송전탑 공사가 시작되고 햇수로 14년, 마을과 이웃이 삶의 전부였던 고령의 농촌 주민들에게 76만 5천 볼트 초고압 송전탑이 남긴 고통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입니다.

경남업그레이드, 김소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