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으로 나눠진 세계경제…코백스와 지식재산권은?

입력 2021.07.30 (21:30) 수정 2021.07.30 (22: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 나온 지난 2분기 미국 경제성장률은 6.5%를 기록했습니다.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는 평가인데요,

높은 백신 접종률을 바탕으로 하반기에도 성 장세가 예상됩니다.

국제통화기금 IMF는 최근 미국과 유럽연합 등 백신접종률이 높은 지역에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반면, 태국과 베트남 등 동남아와 저개발 국가 성장률 전망치는 큰 폭으로 낮 춰 잡았는데요

백신 양극화가 고스란히 경제 회복 양극화로 이어지는 셈입니다.

이 문제 풀자며 출범한 '백신 공 동 분 배 프로젝트' 코백스는 백신 수출 규제 등으로 유명무실한 상태이고 백신 지식재산권 해제 논의 역시 지지부진합니다.

각국 특파원을 연결해서,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방콕 김원장 특파원, ​동남아 국가들은 연일 상황이 심각해지고 있는데, 김 특파원 있는 태국에선 지금 백신 얼마나 맞았습니까

[기자]

두 번 다 맞은 사람은 이제 6% 수준입니다.

무섭게 늘어나는 확진자 추세를 잡기엔 역부족입니다.

며칠 전 태국사람들을 가슴 아프게 했던 영상인데요.

고열을 호소하던 어머니가 아침에 일어나보니 숨져 있었고, 어린 딸들이 울면서 그 어머니를 떠나보내는 모습입니다.

태국은 한 달 전에 비해 확진자, 사망자 모두 3배나 늘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매일 2천 명 가까이 숨지고 있습니다.

미얀마는 "2주 안에 인구 절반이 감염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동남아의 확산세는 백신을 맞은 선진국의 확산세와 크게 다릅니다.

사망률이 10배 이상 높습니다.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의 경우 연일 4만 명 넘게 확진자가 나와 매일 1,500여 명, 3.6%가 사망하고 있는데, 영국은 하루 2만 8천여 명 중 평균 59명이 사망하니까…. 사망률이 18배나 차이가 납니다.

의료 환경 등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백신이 사망률을 줄인다는 연구 결과 등을 볼 때 백신 접종의 차이로 보여집니다.

그런데 선진국들이 추가 접종을 위해 다시 백신을 사 모은다면, 동남아 국가들의 확산세를 잡을 시간은 그만큼 더 미뤄지는 겁니다.

그리고 이들 국가에서 바이러스의 범람을 계속 방치한다면, 또 어떤 변이 바이러스가 만들어져 다시 선진국으로 향할지 모릅니다.

[앵커]

이번엔 백신이 충분한 ​미국으로 가봅니다.

뉴욕 한보경 특파원 최근 델타 변이가 급증하면서 미국이 백신, 추가로 확보했죠

[기자]

지난주에 화이자 백신 2억 회분을 추가로 계약하면서 인구 3억 명가량의 미국이 구매를 확정한 코로나19 백신만 14억 회 분으로 추산됩니다.

미국의 고민은 정체돼 있는 접종률입니다.

지난주 미국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전 세계 최다를 기록했는데, 이른바 '델타 리스크'에 하반기 경기 둔화 우려도 커지자 미국 정부는 '백신 맞으면 100달러 지급'이라는 대책까지 내놨습니다.

[앵커]

변이바이러스에 백신으로 대응하겠다는 건데 미국이 5월에 공개 지지한 '백신 지식재산권 면제' 논의, 이건 진전이 좀 있습니까

[기자]

진전이라고 할 만하게 없습니다.

미국이 제약사가 백신 기술을 푸는 '지재권 면제'를 지지한데 대해 독일을 포함한 유럽국가들이 크게 반발하지 않았습니까.

그러고 나서 두 달여 만인 지난 15일 독일 메르켈 총리가 미국을 방문했지만, 두 정상 간에 관련 논의는 없었던 거로 보입니다.

백악관 측도 최근 '지재권 면제는 세계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여러 방법 중 하나일 뿐이다.'라고 즉답을 피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 백신 지식재산권 면제에 대해선 특히 독일 등이 반대하고 있는데요,

베를린 김귀수 특파원 지재권 면제에 반대하는 논리는 뭡니까

[기자]

반대 국가 논리는 이렇습니다.

지재권 면제는 결국 백신 생산을 늘리자는 건데 지금 당장 지재권을 푼다고 갑자기 생산량이 늘어나겠냐는 겁니다.

기술 이전, 제조 설비 제작에 몇 년이 걸릴 지 모르니, 지금 생산자들이 더 많이 만들게 하는게 낫다는 얘깁니다.

또 엄청난 재원을 들여 신약을 개발했는데 그 권리를 주장하지 못하면 누가 혁신에 돈을 투자하겠냐고 반문합니다.

백신 기술력을 보유한 나라, 독일, 영국과 제약 강국 스위스 등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는데요,

황금알을 낳는 원천 기술을 뺏길 수 없다는 속내도 읽힙니다.

[앵커]

백신 공동 분배 프로젝트, 즉 코백스를 통한 저소득 국가로의 백신 공급도 속도를 못 내고 있죠?

[기자]

코백스의 올해 안 공급 목표는 20억 회분입니다.

그런데 7월27일 현재 137개국에 1억5,000여만회분 공급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런 속도로는 목표 달성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그런데 부자나라들은 백신이 남아돌고 있습니다.

캐나다는 인구 대비 11배의 백신을 확보하고 있고요,

이스라엘은 다음 달 1일부터 접종 완료자에 대한 추가접종, 이른바 부스터샷 접종을 시작합니다.

하지만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저소득국가의 백신 접종률은 1.1%에 불과합니다.

국제공조를 통한 위기 극복이라는 코백스의 이상은 훌륭했지만 선진국의 기부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럼 뉴욕 한보경 특파원에 다시 물어보죠,

이 백신 지식재산권 면제와 코백스, 이거는 미국의 좀더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한 거 아닌가요?

[기자]

이달 APEC 정상회의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백신 5억 회분 이상을 기부"하고 있다면서도, 지재권 문제와 관련해선 어떤 언급도 하질 않았습니다.

얘기만 꺼내놓고 적극적으로 나서는 게 없으니깐 미국의 지재권 면제 지지가 생색내기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변이가 심각한 국가에 당장 백신을 기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백신 기술 공유로 각 나라의 바이러스 대응력을 장기적으로 높이는 것 역시 국제사회가 해결할 과제라는 데 이견은 없어 보입니다.

[앵커]

네, 지금까지 코로나 백신 관련 동남아와 미국, 유럽 상황 짚어봤습니다.

영상편집:고응용 한찬의 이진이/촬영:지한샘/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백신으로 나눠진 세계경제…코백스와 지식재산권은?
    • 입력 2021-07-30 21:30:11
    • 수정2021-07-30 22:44:59
    뉴스 9
[앵커]

오늘 나온 지난 2분기 미국 경제성장률은 6.5%를 기록했습니다.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는 평가인데요,

높은 백신 접종률을 바탕으로 하반기에도 성 장세가 예상됩니다.

국제통화기금 IMF는 최근 미국과 유럽연합 등 백신접종률이 높은 지역에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반면, 태국과 베트남 등 동남아와 저개발 국가 성장률 전망치는 큰 폭으로 낮 춰 잡았는데요

백신 양극화가 고스란히 경제 회복 양극화로 이어지는 셈입니다.

이 문제 풀자며 출범한 '백신 공 동 분 배 프로젝트' 코백스는 백신 수출 규제 등으로 유명무실한 상태이고 백신 지식재산권 해제 논의 역시 지지부진합니다.

각국 특파원을 연결해서,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방콕 김원장 특파원, ​동남아 국가들은 연일 상황이 심각해지고 있는데, 김 특파원 있는 태국에선 지금 백신 얼마나 맞았습니까

[기자]

두 번 다 맞은 사람은 이제 6% 수준입니다.

무섭게 늘어나는 확진자 추세를 잡기엔 역부족입니다.

며칠 전 태국사람들을 가슴 아프게 했던 영상인데요.

고열을 호소하던 어머니가 아침에 일어나보니 숨져 있었고, 어린 딸들이 울면서 그 어머니를 떠나보내는 모습입니다.

태국은 한 달 전에 비해 확진자, 사망자 모두 3배나 늘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매일 2천 명 가까이 숨지고 있습니다.

미얀마는 "2주 안에 인구 절반이 감염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동남아의 확산세는 백신을 맞은 선진국의 확산세와 크게 다릅니다.

사망률이 10배 이상 높습니다.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의 경우 연일 4만 명 넘게 확진자가 나와 매일 1,500여 명, 3.6%가 사망하고 있는데, 영국은 하루 2만 8천여 명 중 평균 59명이 사망하니까…. 사망률이 18배나 차이가 납니다.

의료 환경 등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백신이 사망률을 줄인다는 연구 결과 등을 볼 때 백신 접종의 차이로 보여집니다.

그런데 선진국들이 추가 접종을 위해 다시 백신을 사 모은다면, 동남아 국가들의 확산세를 잡을 시간은 그만큼 더 미뤄지는 겁니다.

그리고 이들 국가에서 바이러스의 범람을 계속 방치한다면, 또 어떤 변이 바이러스가 만들어져 다시 선진국으로 향할지 모릅니다.

[앵커]

이번엔 백신이 충분한 ​미국으로 가봅니다.

뉴욕 한보경 특파원 최근 델타 변이가 급증하면서 미국이 백신, 추가로 확보했죠

[기자]

지난주에 화이자 백신 2억 회분을 추가로 계약하면서 인구 3억 명가량의 미국이 구매를 확정한 코로나19 백신만 14억 회 분으로 추산됩니다.

미국의 고민은 정체돼 있는 접종률입니다.

지난주 미국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전 세계 최다를 기록했는데, 이른바 '델타 리스크'에 하반기 경기 둔화 우려도 커지자 미국 정부는 '백신 맞으면 100달러 지급'이라는 대책까지 내놨습니다.

[앵커]

변이바이러스에 백신으로 대응하겠다는 건데 미국이 5월에 공개 지지한 '백신 지식재산권 면제' 논의, 이건 진전이 좀 있습니까

[기자]

진전이라고 할 만하게 없습니다.

미국이 제약사가 백신 기술을 푸는 '지재권 면제'를 지지한데 대해 독일을 포함한 유럽국가들이 크게 반발하지 않았습니까.

그러고 나서 두 달여 만인 지난 15일 독일 메르켈 총리가 미국을 방문했지만, 두 정상 간에 관련 논의는 없었던 거로 보입니다.

백악관 측도 최근 '지재권 면제는 세계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여러 방법 중 하나일 뿐이다.'라고 즉답을 피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 백신 지식재산권 면제에 대해선 특히 독일 등이 반대하고 있는데요,

베를린 김귀수 특파원 지재권 면제에 반대하는 논리는 뭡니까

[기자]

반대 국가 논리는 이렇습니다.

지재권 면제는 결국 백신 생산을 늘리자는 건데 지금 당장 지재권을 푼다고 갑자기 생산량이 늘어나겠냐는 겁니다.

기술 이전, 제조 설비 제작에 몇 년이 걸릴 지 모르니, 지금 생산자들이 더 많이 만들게 하는게 낫다는 얘깁니다.

또 엄청난 재원을 들여 신약을 개발했는데 그 권리를 주장하지 못하면 누가 혁신에 돈을 투자하겠냐고 반문합니다.

백신 기술력을 보유한 나라, 독일, 영국과 제약 강국 스위스 등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는데요,

황금알을 낳는 원천 기술을 뺏길 수 없다는 속내도 읽힙니다.

[앵커]

백신 공동 분배 프로젝트, 즉 코백스를 통한 저소득 국가로의 백신 공급도 속도를 못 내고 있죠?

[기자]

코백스의 올해 안 공급 목표는 20억 회분입니다.

그런데 7월27일 현재 137개국에 1억5,000여만회분 공급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런 속도로는 목표 달성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그런데 부자나라들은 백신이 남아돌고 있습니다.

캐나다는 인구 대비 11배의 백신을 확보하고 있고요,

이스라엘은 다음 달 1일부터 접종 완료자에 대한 추가접종, 이른바 부스터샷 접종을 시작합니다.

하지만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저소득국가의 백신 접종률은 1.1%에 불과합니다.

국제공조를 통한 위기 극복이라는 코백스의 이상은 훌륭했지만 선진국의 기부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럼 뉴욕 한보경 특파원에 다시 물어보죠,

이 백신 지식재산권 면제와 코백스, 이거는 미국의 좀더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한 거 아닌가요?

[기자]

이달 APEC 정상회의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백신 5억 회분 이상을 기부"하고 있다면서도, 지재권 문제와 관련해선 어떤 언급도 하질 않았습니다.

얘기만 꺼내놓고 적극적으로 나서는 게 없으니깐 미국의 지재권 면제 지지가 생색내기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변이가 심각한 국가에 당장 백신을 기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백신 기술 공유로 각 나라의 바이러스 대응력을 장기적으로 높이는 것 역시 국제사회가 해결할 과제라는 데 이견은 없어 보입니다.

[앵커]

네, 지금까지 코로나 백신 관련 동남아와 미국, 유럽 상황 짚어봤습니다.

영상편집:고응용 한찬의 이진이/촬영:지한샘/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