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온 최장기화 전망…부산도 양식 물고기 폐사 잇따라

입력 2021.08.10 (19:24) 수정 2021.08.10 (19: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올 여름 남해, 동해를 중심으로 한 달 가까이 이어진 고수온 현상에 부산 일대 양식장에서도 물고기 폐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피해가 가장 심했던 2018년보다 고수온 현상이 더 길어 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재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양식장 수조에서 죽은 넙치 수십 상자가 냉동창고에서 실려 나옵니다.

이 양식장에서 죽은 넙치만 대략 2만 5천여 마리.

국립수산과학원과 수협, 부산시 공무원들이 합동으로 피해 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신일근/넙치 양식 어민 : "수조가 아예 하얗게 돼 있어요. (배가 뒤집어져서) 그렇죠 뒤집어지고. 바로 건지면 그래도 그나마 반 정도는 형태라도 있는데 아니면 다 녹아버려요. 수온이 높다 보니까…."]

기장 일대 양식장에서는 지난달부터 지금까지 모두 7건의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피해 규모는 강도다리와 넙치 등 10만 마리가 넘습니다.

[문지윤/부산시 기장군 해양수산과 팀장 : "지금 (고수온주의보) 지속 기간이 길어짐으로 인해서 고수온 피해가 조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요. 오늘도 3개 어가에서 추가로 피해를 신고하겠다고 접수가 들어온 상황입니다."]

올해 고수온 현상은 지난달 15일 전남 함평만에서 시작해 한 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6백여억 원의 큰 피해를 안겼던 2018년보다 9일이나 빨리 시작돼 당시 43일 지속 기록을 깰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최진/국립수산과학원 양식관리과 연구사 : "고수온 상황이 최장기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어업인들은 먹이 공급을 중단하시고 액화 산소나 산소발생기 등 대응장비를 이용하여 산소를 충분히 공급해 주시는 게 좋습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8월 말 북태평양 고기압이 확장돼 수온을 더 끌어올릴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KBS 뉴스 최재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수온 최장기화 전망…부산도 양식 물고기 폐사 잇따라
    • 입력 2021-08-10 19:24:45
    • 수정2021-08-10 19:27:57
    뉴스7(청주)
[앵커]

올 여름 남해, 동해를 중심으로 한 달 가까이 이어진 고수온 현상에 부산 일대 양식장에서도 물고기 폐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피해가 가장 심했던 2018년보다 고수온 현상이 더 길어 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재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양식장 수조에서 죽은 넙치 수십 상자가 냉동창고에서 실려 나옵니다.

이 양식장에서 죽은 넙치만 대략 2만 5천여 마리.

국립수산과학원과 수협, 부산시 공무원들이 합동으로 피해 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신일근/넙치 양식 어민 : "수조가 아예 하얗게 돼 있어요. (배가 뒤집어져서) 그렇죠 뒤집어지고. 바로 건지면 그래도 그나마 반 정도는 형태라도 있는데 아니면 다 녹아버려요. 수온이 높다 보니까…."]

기장 일대 양식장에서는 지난달부터 지금까지 모두 7건의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피해 규모는 강도다리와 넙치 등 10만 마리가 넘습니다.

[문지윤/부산시 기장군 해양수산과 팀장 : "지금 (고수온주의보) 지속 기간이 길어짐으로 인해서 고수온 피해가 조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요. 오늘도 3개 어가에서 추가로 피해를 신고하겠다고 접수가 들어온 상황입니다."]

올해 고수온 현상은 지난달 15일 전남 함평만에서 시작해 한 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6백여억 원의 큰 피해를 안겼던 2018년보다 9일이나 빨리 시작돼 당시 43일 지속 기록을 깰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최진/국립수산과학원 양식관리과 연구사 : "고수온 상황이 최장기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어업인들은 먹이 공급을 중단하시고 액화 산소나 산소발생기 등 대응장비를 이용하여 산소를 충분히 공급해 주시는 게 좋습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8월 말 북태평양 고기압이 확장돼 수온을 더 끌어올릴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KBS 뉴스 최재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