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조건 격리’ 지속 가능할까?…“자가치료, 방치 아냐”

입력 2021.08.18 (21:12) 수정 2021.08.18 (21: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취재기자와 이 문제, 좀 더 짚어보겠습니다.

김도영 기자, 생활치료센터에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이런 제안이 나온거죠?

[기자]

네, 중증이든 경증이든 모든 확진자를 일단 격리한다는 생활치료센터는 우리만의 독특한 시스템입니다.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격리'와 환자의 '빠른 치료'를 합쳐 놓은 거죠.

관리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이 60%가 넘었습니다.

지역에 따라 정원 초과인 곳도 있고요.

과연 앞으로도 계속 모든 확진자를 격리시킬 수 있나, 이른바 지속 가능한 건지 확진자 수가 1천 명 이상씩 나오는 지금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앵커]

그런데 앞서 자가치료를 담당할 인력 얘기를 했습니다.

그러면 의료진을 새로 뽑아야 한다는 얘긴가요?

[기자]

아닙니다.

무한정 보건소 인력이나 의료진 충원을 할 수는 없는 것이죠.

예산 등의 문제로 현실적으로도 어렵고요.

지금 현재 보건소 인력들이 하고 있는 일들 가운데 일부를 줄여주자는 거죠.

예를 들면 확진자 동선 추적 같은 일들에 지나치게 많은 보건 인력들이 투입되고 있는데, 확진자의 접촉자를 모두 찾아내 감염을 차단하는 방식의 방역은 이제 명백하게 한계가 드러났고 지속 가능하지도 않으니 이런 업무를 과감히 버리고 자가치료 같은 데 집중하자는 거죠.

사실 생활치료센터는 공무원의 편의를 위해 확진자들을 관리하기 편하게 한 곳에 모아둔 것이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그래서 생활치료센터를 장기적으로 없애고 자가치료를 확대하되, 비대면 진료 등을 담당할 수 있는 인력을 재분배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 나가자는 얘기입니다.

[앵커]

그런데 집에 머무르면 아무래도 다른 사람하고 접촉할 가능성도 높고요? 관리가 잘 될까요?

[기자]

네, 그런데 생활치료센터 의료진 현황을 보니 의사 서너 명이 수십 명 환자를 교대로 보고요.

의사가 10명 넘는 곳은 1600병상이 있는 한 곳 뿐이었습니다.

실제로 한정된 의료진이 많은 환자를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건데, 그렇기 때문에 비대면 진료 위주의 자가 치료가 이걸 보완할 수 있다는 얘기죠.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보건소 인력의 업무를 줄여 여기에 투입하고 또 지역 병원과 약국을 동원하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환자 수가 줄면서 동네 병·의원들이 전보다는 좀 여유가 있는데, 백신 접종을 위탁하는 것처럼 비대면 진료에도 동네 병·의원을 활용하자는 겁니다.

[앵커]

일부에선 생활치료센터에 있다가 환자가 숨지기도 하는데 집에 있으면 더 위험하지 않냐, 우려도 있을 것 같은데요?

[기자]

그래서 자가치료를 위한 성공 조건에는 '위험의 수용성'을 높이는 게 필요하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자가치료를 한다고 해서 방치되는 것이 아니고 동네에 무증상, 경증 환자가 있다고 해서 동네 전체가 위험해지는 것도 아니고요.

이런 부분들에 대한 오해와 우려를 하지 않도록 방역당국이 국민들을 잘 설득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이미 우리에겐 위치추적 앱 등으로 자가격리자를 관리해 온 경험이 있고 자가치료는 일일이 환자 상태를 체크하는 과정까지 더해져 관리가 더 강화됩니다.

인적 자원, 의료기관과 원활한 연계, 이런 부분들을 보완해 가면 비용은 낮추고 효율성을 높이면서 지속 가능한 방역 형태로 전환되는 시작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영상편집:권형욱/그래픽:이근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조건 격리’ 지속 가능할까?…“자가치료, 방치 아냐”
    • 입력 2021-08-18 21:12:24
    • 수정2021-08-18 21:41:21
    뉴스 9
[앵커]

취재기자와 이 문제, 좀 더 짚어보겠습니다.

김도영 기자, 생활치료센터에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이런 제안이 나온거죠?

[기자]

네, 중증이든 경증이든 모든 확진자를 일단 격리한다는 생활치료센터는 우리만의 독특한 시스템입니다.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격리'와 환자의 '빠른 치료'를 합쳐 놓은 거죠.

관리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이 60%가 넘었습니다.

지역에 따라 정원 초과인 곳도 있고요.

과연 앞으로도 계속 모든 확진자를 격리시킬 수 있나, 이른바 지속 가능한 건지 확진자 수가 1천 명 이상씩 나오는 지금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앵커]

그런데 앞서 자가치료를 담당할 인력 얘기를 했습니다.

그러면 의료진을 새로 뽑아야 한다는 얘긴가요?

[기자]

아닙니다.

무한정 보건소 인력이나 의료진 충원을 할 수는 없는 것이죠.

예산 등의 문제로 현실적으로도 어렵고요.

지금 현재 보건소 인력들이 하고 있는 일들 가운데 일부를 줄여주자는 거죠.

예를 들면 확진자 동선 추적 같은 일들에 지나치게 많은 보건 인력들이 투입되고 있는데, 확진자의 접촉자를 모두 찾아내 감염을 차단하는 방식의 방역은 이제 명백하게 한계가 드러났고 지속 가능하지도 않으니 이런 업무를 과감히 버리고 자가치료 같은 데 집중하자는 거죠.

사실 생활치료센터는 공무원의 편의를 위해 확진자들을 관리하기 편하게 한 곳에 모아둔 것이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그래서 생활치료센터를 장기적으로 없애고 자가치료를 확대하되, 비대면 진료 등을 담당할 수 있는 인력을 재분배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 나가자는 얘기입니다.

[앵커]

그런데 집에 머무르면 아무래도 다른 사람하고 접촉할 가능성도 높고요? 관리가 잘 될까요?

[기자]

네, 그런데 생활치료센터 의료진 현황을 보니 의사 서너 명이 수십 명 환자를 교대로 보고요.

의사가 10명 넘는 곳은 1600병상이 있는 한 곳 뿐이었습니다.

실제로 한정된 의료진이 많은 환자를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건데, 그렇기 때문에 비대면 진료 위주의 자가 치료가 이걸 보완할 수 있다는 얘기죠.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보건소 인력의 업무를 줄여 여기에 투입하고 또 지역 병원과 약국을 동원하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환자 수가 줄면서 동네 병·의원들이 전보다는 좀 여유가 있는데, 백신 접종을 위탁하는 것처럼 비대면 진료에도 동네 병·의원을 활용하자는 겁니다.

[앵커]

일부에선 생활치료센터에 있다가 환자가 숨지기도 하는데 집에 있으면 더 위험하지 않냐, 우려도 있을 것 같은데요?

[기자]

그래서 자가치료를 위한 성공 조건에는 '위험의 수용성'을 높이는 게 필요하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자가치료를 한다고 해서 방치되는 것이 아니고 동네에 무증상, 경증 환자가 있다고 해서 동네 전체가 위험해지는 것도 아니고요.

이런 부분들에 대한 오해와 우려를 하지 않도록 방역당국이 국민들을 잘 설득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이미 우리에겐 위치추적 앱 등으로 자가격리자를 관리해 온 경험이 있고 자가치료는 일일이 환자 상태를 체크하는 과정까지 더해져 관리가 더 강화됩니다.

인적 자원, 의료기관과 원활한 연계, 이런 부분들을 보완해 가면 비용은 낮추고 효율성을 높이면서 지속 가능한 방역 형태로 전환되는 시작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영상편집:권형욱/그래픽:이근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