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에게 듣는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백혈병·월경 장애…인과관계는?

입력 2021.09.03 (06:36) 수정 2021.09.03 (06: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백신이 백혈병을 유발한다고 볼 수 없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습니다.

최근 백신 접종 후 급성 백혈병 진단을 받았다는 신고가 잇따르자 정부가 조사 결과를 발표한 건데요.

아울러 여성의 부정출혈과 같은 월경 이상 반응에 대한 견해도 함께 밝혔습니다.

들어보시죠.

[리포트]

["현재까지 저희 식약처, 즉 의약품안전관리원을 통해 월경 장애로 부작용 보고가 신고된 사례는 총 18건이 보고가 되어 있습니다. 아울러, 해외의 경우에는 영국에서 현재까지 8월 18일 기준으로 해서 3만 2,455건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국내에서 보고는 있으나, 여기에 대한 인과성이 확실하게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생리에 대한 이상은 사실 일반인, 특히 기저질환이 없는 분에게도 일단 흔히 생길 수 있지만 스트레스라든가 여러 가지 유발시킬 수 있는 원인이 다양합니다. 1451 만약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예기치 않은 질 출혈이라든가 장기간 지속된다면 이것은 분명히 의료진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대한혈액학회 자문 결과 현재까지 코로나19 백신이 백혈병을 유발 또는 촉발한다는 근거는 없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백혈병 발생에 대한 우려는 불필요하므로 개인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아주시기 바랍니다."]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백신 이후에 발생한 백혈병은 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보고가 되고 있습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병인론을 잘 고려해 볼 때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접종 이후에 수일 수개월 이후에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발생한다는 것은 이론적으로 맞지는 않은 것으로 저희가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매년 약 3,500명 정도의 백혈병 환자가 진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요. 급성 골수성 백혈병만 놓고 보더라도 매일 수명의 환자가 새롭게 진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 국민이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맞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이후에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진단이 되었다고 오인을 할 소지가 충분히 있다고 판단이 됩니다."]

["인플루엔자 백신과 같은 기존의 백신도 백혈병과 같은 암을 유발한다는 보고는 없습니다. 미국 과학학회에서 전문가들이 모여서 백신의 부작용에 대해서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예방접종이 백혈병과 같은 암을 유발한다는 근거는 현재까지는 없는 상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문가에게 듣는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백혈병·월경 장애…인과관계는?
    • 입력 2021-09-03 06:36:43
    • 수정2021-09-03 06:46:25
    뉴스광장 1부
[앵커]

코로나19 백신이 백혈병을 유발한다고 볼 수 없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습니다.

최근 백신 접종 후 급성 백혈병 진단을 받았다는 신고가 잇따르자 정부가 조사 결과를 발표한 건데요.

아울러 여성의 부정출혈과 같은 월경 이상 반응에 대한 견해도 함께 밝혔습니다.

들어보시죠.

[리포트]

["현재까지 저희 식약처, 즉 의약품안전관리원을 통해 월경 장애로 부작용 보고가 신고된 사례는 총 18건이 보고가 되어 있습니다. 아울러, 해외의 경우에는 영국에서 현재까지 8월 18일 기준으로 해서 3만 2,455건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국내에서 보고는 있으나, 여기에 대한 인과성이 확실하게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생리에 대한 이상은 사실 일반인, 특히 기저질환이 없는 분에게도 일단 흔히 생길 수 있지만 스트레스라든가 여러 가지 유발시킬 수 있는 원인이 다양합니다. 1451 만약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예기치 않은 질 출혈이라든가 장기간 지속된다면 이것은 분명히 의료진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대한혈액학회 자문 결과 현재까지 코로나19 백신이 백혈병을 유발 또는 촉발한다는 근거는 없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백혈병 발생에 대한 우려는 불필요하므로 개인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아주시기 바랍니다."]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백신 이후에 발생한 백혈병은 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보고가 되고 있습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병인론을 잘 고려해 볼 때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접종 이후에 수일 수개월 이후에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발생한다는 것은 이론적으로 맞지는 않은 것으로 저희가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매년 약 3,500명 정도의 백혈병 환자가 진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요. 급성 골수성 백혈병만 놓고 보더라도 매일 수명의 환자가 새롭게 진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 국민이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맞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이후에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진단이 되었다고 오인을 할 소지가 충분히 있다고 판단이 됩니다."]

["인플루엔자 백신과 같은 기존의 백신도 백혈병과 같은 암을 유발한다는 보고는 없습니다. 미국 과학학회에서 전문가들이 모여서 백신의 부작용에 대해서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예방접종이 백혈병과 같은 암을 유발한다는 근거는 현재까지는 없는 상황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