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장애인 학대 141건…“재발방지 대책 필요”

입력 2021.09.08 (22:04) 수정 2021.09.08 (22: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 4월 충주에서는 한 장애인 거주 시설에서 학대와 성폭력 방임 의혹이 불거져 논란이 됐습니다.

현재, 가해 교사들에 대한 재판이 진행 중인 가운데,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말을 듣지 않는다며 때리고, 시설 입소자 간 성폭력 사건을 방임한, 충주의 한 장애인 거주 시설 생활 교사들.

재판부는 최근 성폭력 사건을 방임한 혐의로 한 생활 교사에게 벌금형을 선고했습니다.

학대 혐의를 받는 또 다른 생활 교사는 고의성 여부를 두고 아직 법정 다툼 중입니다.

지난 4월, 내부 직원의 폭로 전까지 이 같은 사실은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폭로 직후, 뒤늦게 실태 조사에 들어간 충주시는, 시설 개선 명령을 내리고 재발 방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남선화/충주시 노인장애인과 장애인재활팀장 : "시설 종사자하고 이용인에게 성교육하고 인권 교육 실시하고, 차후로 이러한 인권 학대가 일어나지 않도록 자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도록 했습니다)."]

이 같은 장애인 학대 의심 신고가 최근 크게 늘고 있습니다.

충북에서 신고된 장애인 학대 사례는 지난 2018년 100건에서 지난해 141건으로, 최근 3년 사이 41%나 증가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신고된 학대 사례 중 4분의 1은 시설 관계자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신 해/충청북도 장애인권익옹호기관장 : "관리의 효율성보다는 한 인간으로서 어떻게 대우할까라는 고민을 민·관이 같이 해야 할 때입니다."]

장애인 학대를 근절하기 위한 더욱 철저한 조사와 재발 방지책 마련이 절실합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윤진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충북 장애인 학대 141건…“재발방지 대책 필요”
    • 입력 2021-09-08 22:04:12
    • 수정2021-09-08 22:13:06
    뉴스9(청주)
[앵커]

지난 4월 충주에서는 한 장애인 거주 시설에서 학대와 성폭력 방임 의혹이 불거져 논란이 됐습니다.

현재, 가해 교사들에 대한 재판이 진행 중인 가운데,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말을 듣지 않는다며 때리고, 시설 입소자 간 성폭력 사건을 방임한, 충주의 한 장애인 거주 시설 생활 교사들.

재판부는 최근 성폭력 사건을 방임한 혐의로 한 생활 교사에게 벌금형을 선고했습니다.

학대 혐의를 받는 또 다른 생활 교사는 고의성 여부를 두고 아직 법정 다툼 중입니다.

지난 4월, 내부 직원의 폭로 전까지 이 같은 사실은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폭로 직후, 뒤늦게 실태 조사에 들어간 충주시는, 시설 개선 명령을 내리고 재발 방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남선화/충주시 노인장애인과 장애인재활팀장 : "시설 종사자하고 이용인에게 성교육하고 인권 교육 실시하고, 차후로 이러한 인권 학대가 일어나지 않도록 자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도록 했습니다)."]

이 같은 장애인 학대 의심 신고가 최근 크게 늘고 있습니다.

충북에서 신고된 장애인 학대 사례는 지난 2018년 100건에서 지난해 141건으로, 최근 3년 사이 41%나 증가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신고된 학대 사례 중 4분의 1은 시설 관계자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신 해/충청북도 장애인권익옹호기관장 : "관리의 효율성보다는 한 인간으로서 어떻게 대우할까라는 고민을 민·관이 같이 해야 할 때입니다."]

장애인 학대를 근절하기 위한 더욱 철저한 조사와 재발 방지책 마련이 절실합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윤진모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