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 “혼자 있긴 외로워”…‘펫콕족’ 급증

입력 2021.09.16 (18:02) 수정 2021.09.16 (18: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어서 ET콕입니다.

빨간 목걸이에 니트 바지까지 소위 '깔맞춤' 패션입니다.

때론 근엄하게, 때론 멍하게, 표정도 가지각색인 이 개는 유명 사진 작가 윌리엄 웨그만의 반려견입니다.

사진들은 합성이 아닙니다.

실제 개에게 옷을 입히고 필요하면 조수가 뒤에 몸을 숨기고 손만 내밀게 했습니다.

순전히 작가의 애정과 반려견의 교감이 이뤄 낸 하모니입니다.

개는 애완용을 거쳐 어느 덧 인간 삶의 동반자가 됐습니다.

그래서 '반려'란 수식어가 붙었습니다.

인간과 다른 종족으로서는 최초로 '가족의 지위'를 얻게 된 것입니다.

[펫비타민 : "먹고 싶은 사람 손~ 아이구 잘하네"]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집에서 반려동물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이들이 늘면서 펫과 집콕의 합성어 ‘펫콕족’이란 신조어가 등장했습니다.

덩달아 반려동물 용품 수요가 늘면서 2017년 2조 3천억 원이었던 시장 규모는 2027년경 6조원으로 커질 전망입니다.

코로나로 고립된 일상, 반려 동물에게서 안식과 위로를 구하려는 심리가 엿보입니다.

급속한 고령화 사회와도 무관치 않습니다.

얼마 전 빗속에 쓰러진 90대 치매 할머니를 구한 백구가 CNN에 보도돼 일약 스타가 됐습니다.

할머니가 빗 속에 쓰러져 저체온증으로 떨고 있을 때 40시간 가까이 곁을 따뜻하게 지켰습니다.

백구는 이 공로로 명예 119 구조견이 됐고 소방교 계급을 받았습니다.

유기견이었던 백구의 '견생역전'인 셈입니다.

개를 마치 사람처럼 입히고 먹이고 돌보는 ‘의인화’ 현상이 일반화된데는 우리 사회의 여러 구조적 요인이 숨어있는 셈입니다.

최근 한 금융기관에 따르면 반려 동물과 관련해 지출하는 양육비는 월평균 14만 원 선으로 조사됐습니다.

월 평균 자녀양육비의 10분의 1 수준입니다.

하지만 자녀양육비의 절반이 반려동물 양육비에 없는 교육비임을 감안하면 그 비율은 5분의 1로 줄어듭니다.

물론 일각에서는 도를 넘는 행태 아니냐는 시선도 있습니다.

70만원짜리 개 전용 유모차(개모차) 100만원을 훌쩍 넘는 식기 등 일부 고가 반려동물 용품을 놓고는 주인의 과시욕 외에는 설명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나옵니다.

법무부는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라는 조항을 담은 민법 개정안을 다음달 초 국회에 제출할 계획입니다.

반려동물 인구 천5백만 시대가 시장은 물론 법 체계까지 우리 사회 여러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ET 콕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ET] “혼자 있긴 외로워”…‘펫콕족’ 급증
    • 입력 2021-09-16 18:02:04
    • 수정2021-09-16 18:25:21
    통합뉴스룸ET
이어서 ET콕입니다.

빨간 목걸이에 니트 바지까지 소위 '깔맞춤' 패션입니다.

때론 근엄하게, 때론 멍하게, 표정도 가지각색인 이 개는 유명 사진 작가 윌리엄 웨그만의 반려견입니다.

사진들은 합성이 아닙니다.

실제 개에게 옷을 입히고 필요하면 조수가 뒤에 몸을 숨기고 손만 내밀게 했습니다.

순전히 작가의 애정과 반려견의 교감이 이뤄 낸 하모니입니다.

개는 애완용을 거쳐 어느 덧 인간 삶의 동반자가 됐습니다.

그래서 '반려'란 수식어가 붙었습니다.

인간과 다른 종족으로서는 최초로 '가족의 지위'를 얻게 된 것입니다.

[펫비타민 : "먹고 싶은 사람 손~ 아이구 잘하네"]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집에서 반려동물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이들이 늘면서 펫과 집콕의 합성어 ‘펫콕족’이란 신조어가 등장했습니다.

덩달아 반려동물 용품 수요가 늘면서 2017년 2조 3천억 원이었던 시장 규모는 2027년경 6조원으로 커질 전망입니다.

코로나로 고립된 일상, 반려 동물에게서 안식과 위로를 구하려는 심리가 엿보입니다.

급속한 고령화 사회와도 무관치 않습니다.

얼마 전 빗속에 쓰러진 90대 치매 할머니를 구한 백구가 CNN에 보도돼 일약 스타가 됐습니다.

할머니가 빗 속에 쓰러져 저체온증으로 떨고 있을 때 40시간 가까이 곁을 따뜻하게 지켰습니다.

백구는 이 공로로 명예 119 구조견이 됐고 소방교 계급을 받았습니다.

유기견이었던 백구의 '견생역전'인 셈입니다.

개를 마치 사람처럼 입히고 먹이고 돌보는 ‘의인화’ 현상이 일반화된데는 우리 사회의 여러 구조적 요인이 숨어있는 셈입니다.

최근 한 금융기관에 따르면 반려 동물과 관련해 지출하는 양육비는 월평균 14만 원 선으로 조사됐습니다.

월 평균 자녀양육비의 10분의 1 수준입니다.

하지만 자녀양육비의 절반이 반려동물 양육비에 없는 교육비임을 감안하면 그 비율은 5분의 1로 줄어듭니다.

물론 일각에서는 도를 넘는 행태 아니냐는 시선도 있습니다.

70만원짜리 개 전용 유모차(개모차) 100만원을 훌쩍 넘는 식기 등 일부 고가 반려동물 용품을 놓고는 주인의 과시욕 외에는 설명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나옵니다.

법무부는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라는 조항을 담은 민법 개정안을 다음달 초 국회에 제출할 계획입니다.

반려동물 인구 천5백만 시대가 시장은 물론 법 체계까지 우리 사회 여러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ET 콕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