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울산공장 물량 일부 이관 합의…“전주공장 숨통 트여”

입력 2021.10.07 (21:39) 수정 2021.10.07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버스와 화물차 등 상용차 판매가 줄어들면서 현대차 전주공장은 차량 생산을 일시 중단하는 등 어려움을 겪어왔는데요.

울산공장 노조가 오늘 소형 상용차인 '스타리아' 생산 물량의 일부를 전주공장에 넘기기로 합의하면서 다소나마 숨통이 트이게 됐습니다.

이지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중대형 상용차를 생산하는 현대차 전주공장입니다.

코로나19와 세계적인 경기 침체 여파로 수요가 줄면서 공장 가동률은 70%대에 그치고 있습니다.

한 해 10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은 지난 2014년 6만 9천여 대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에는 3만 5천여 대에 그치는 등 6년 사이 생산량이 절반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해법을 고심하던 현대차 노사는 결국 소형 상용차인 스타리아 승합차 물량 이관으로 돌파구를 찾았습니다.

울산공장에서 생산하던 스타리아 물량 5만 5천여 대 가운데 일부를 전주공장에서 생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장정현/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 전주공장위원회 대외협력부장 : "울산에서 생산하던 스타리아를 8천 대 생산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소형 상용차는 26년 만에 처음입니다."]

과정은 쉽지 않았습니다.

지난 3월부터 모두 4차례 협의를 벌이면서 물량 감소를 우려한 울산공장 노조의 반발로 회의가 무산되고 이 과정에 몸싸움도 벌어졌습니다.

또 급하게 연 활로지만, 생산은 내년 7월쯤 가능할 전망입니다.

[현대차 전주공장 관계자 : "소형 상용차급인 스타리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생산 라인을 새롭게 정비를 하고 일부 설비를 개선해야 합니다."]

이번 물량 이관 조치는 1년 단위 한시적 조치로, 울산공장 물량이 줄면 언제든지 되돌려 줘야 합니다.

이 때문에 지역 자동차업계 안팎에서는 반복되는 상용차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전주공장 생산 차종을 소형 화물과 승합차, 승용차까지 다변화하는 장기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현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대차 울산공장 물량 일부 이관 합의…“전주공장 숨통 트여”
    • 입력 2021-10-07 21:39:51
    • 수정2021-10-07 22:01:28
    뉴스9(전주)
[앵커]

버스와 화물차 등 상용차 판매가 줄어들면서 현대차 전주공장은 차량 생산을 일시 중단하는 등 어려움을 겪어왔는데요.

울산공장 노조가 오늘 소형 상용차인 '스타리아' 생산 물량의 일부를 전주공장에 넘기기로 합의하면서 다소나마 숨통이 트이게 됐습니다.

이지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중대형 상용차를 생산하는 현대차 전주공장입니다.

코로나19와 세계적인 경기 침체 여파로 수요가 줄면서 공장 가동률은 70%대에 그치고 있습니다.

한 해 10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은 지난 2014년 6만 9천여 대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에는 3만 5천여 대에 그치는 등 6년 사이 생산량이 절반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해법을 고심하던 현대차 노사는 결국 소형 상용차인 스타리아 승합차 물량 이관으로 돌파구를 찾았습니다.

울산공장에서 생산하던 스타리아 물량 5만 5천여 대 가운데 일부를 전주공장에서 생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장정현/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 전주공장위원회 대외협력부장 : "울산에서 생산하던 스타리아를 8천 대 생산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소형 상용차는 26년 만에 처음입니다."]

과정은 쉽지 않았습니다.

지난 3월부터 모두 4차례 협의를 벌이면서 물량 감소를 우려한 울산공장 노조의 반발로 회의가 무산되고 이 과정에 몸싸움도 벌어졌습니다.

또 급하게 연 활로지만, 생산은 내년 7월쯤 가능할 전망입니다.

[현대차 전주공장 관계자 : "소형 상용차급인 스타리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생산 라인을 새롭게 정비를 하고 일부 설비를 개선해야 합니다."]

이번 물량 이관 조치는 1년 단위 한시적 조치로, 울산공장 물량이 줄면 언제든지 되돌려 줘야 합니다.

이 때문에 지역 자동차업계 안팎에서는 반복되는 상용차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전주공장 생산 차종을 소형 화물과 승합차, 승용차까지 다변화하는 장기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현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