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벼 수확인데 병충해 확산…“건질 게 없다” 논 갈아엎어
입력 2021.10.08 (21:45)
수정 2021.10.08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수확의 기쁨은 커녕 오히려 한숨만 쉬고 있는 농민들이 늘고 있습니다.
긴 가을장마 탓에 논에 병충해가 확산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수확해도 건질 게 없다며 논을 아예 갈아엎는 농민들도 있습니다.
서윤덕 기잡니다.
[리포트]
수확을 앞둔 논 들녘이 검붉게 변했습니다.
벼 이삭은 시들었고, 잎과 줄기는 말라 비틀어졌습니다.
깨씨무늬병과 도열병 등 병충해가 한꺼번에 번진 겁니다.
이 마을에서만 80%가량의 벼가 병충해를 본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한승희/벼 재배 농민 : "10%도 수확이 안 돼요. 지난해에도 수해를 입어서 또 수확을 못 봤단 말이에요. 올해는 또 이런 병충해로 인해서…"]
병충해는 충북뿐만 아니라 충남과 전북, 전남지역까지 확산한 상태입니다.
농촌진흥청은 전국 벼 재배 면적의 40%가량인 30만 6천여 ha의 논에서 병충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유달리 길었던 가을 장마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농민들이 트랙터를 이용해 논을 갈아엎고 있습니다.
이대로라면 벼를 수확해봐야 생산비도 못 건질 게 뻔하다는 겁니다.
농민들은 피해가 큰 만큼 피해가 심한 지역을 재해 지역으로 선포해 어려움을 덜어달라고 호소합니다.
[양정석/전국농민회총연맹 사무총장 : "콤바인이 들어가야 하는데 트랙터가 들어가는 정말 눈물 나는 현실입니다. 수수방관하지 마시고 반드시 농민들이 살 수 있는 재난지역으로 선포해서…"]
농민들은 지난해에도 장마와 냉해를 겪는 등 기후 변화로 인한 농업 피해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보호 대책 마련을 바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윤덕입니다.
촬영기자:정종배 윤진모
수확의 기쁨은 커녕 오히려 한숨만 쉬고 있는 농민들이 늘고 있습니다.
긴 가을장마 탓에 논에 병충해가 확산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수확해도 건질 게 없다며 논을 아예 갈아엎는 농민들도 있습니다.
서윤덕 기잡니다.
[리포트]
수확을 앞둔 논 들녘이 검붉게 변했습니다.
벼 이삭은 시들었고, 잎과 줄기는 말라 비틀어졌습니다.
깨씨무늬병과 도열병 등 병충해가 한꺼번에 번진 겁니다.
이 마을에서만 80%가량의 벼가 병충해를 본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한승희/벼 재배 농민 : "10%도 수확이 안 돼요. 지난해에도 수해를 입어서 또 수확을 못 봤단 말이에요. 올해는 또 이런 병충해로 인해서…"]
병충해는 충북뿐만 아니라 충남과 전북, 전남지역까지 확산한 상태입니다.
농촌진흥청은 전국 벼 재배 면적의 40%가량인 30만 6천여 ha의 논에서 병충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유달리 길었던 가을 장마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농민들이 트랙터를 이용해 논을 갈아엎고 있습니다.
이대로라면 벼를 수확해봐야 생산비도 못 건질 게 뻔하다는 겁니다.
농민들은 피해가 큰 만큼 피해가 심한 지역을 재해 지역으로 선포해 어려움을 덜어달라고 호소합니다.
[양정석/전국농민회총연맹 사무총장 : "콤바인이 들어가야 하는데 트랙터가 들어가는 정말 눈물 나는 현실입니다. 수수방관하지 마시고 반드시 농민들이 살 수 있는 재난지역으로 선포해서…"]
농민들은 지난해에도 장마와 냉해를 겪는 등 기후 변화로 인한 농업 피해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보호 대책 마련을 바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윤덕입니다.
촬영기자:정종배 윤진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곧 벼 수확인데 병충해 확산…“건질 게 없다” 논 갈아엎어
-
- 입력 2021-10-08 21:45:55
- 수정2021-10-08 21:55:36

[앵커]
수확의 기쁨은 커녕 오히려 한숨만 쉬고 있는 농민들이 늘고 있습니다.
긴 가을장마 탓에 논에 병충해가 확산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수확해도 건질 게 없다며 논을 아예 갈아엎는 농민들도 있습니다.
서윤덕 기잡니다.
[리포트]
수확을 앞둔 논 들녘이 검붉게 변했습니다.
벼 이삭은 시들었고, 잎과 줄기는 말라 비틀어졌습니다.
깨씨무늬병과 도열병 등 병충해가 한꺼번에 번진 겁니다.
이 마을에서만 80%가량의 벼가 병충해를 본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한승희/벼 재배 농민 : "10%도 수확이 안 돼요. 지난해에도 수해를 입어서 또 수확을 못 봤단 말이에요. 올해는 또 이런 병충해로 인해서…"]
병충해는 충북뿐만 아니라 충남과 전북, 전남지역까지 확산한 상태입니다.
농촌진흥청은 전국 벼 재배 면적의 40%가량인 30만 6천여 ha의 논에서 병충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유달리 길었던 가을 장마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농민들이 트랙터를 이용해 논을 갈아엎고 있습니다.
이대로라면 벼를 수확해봐야 생산비도 못 건질 게 뻔하다는 겁니다.
농민들은 피해가 큰 만큼 피해가 심한 지역을 재해 지역으로 선포해 어려움을 덜어달라고 호소합니다.
[양정석/전국농민회총연맹 사무총장 : "콤바인이 들어가야 하는데 트랙터가 들어가는 정말 눈물 나는 현실입니다. 수수방관하지 마시고 반드시 농민들이 살 수 있는 재난지역으로 선포해서…"]
농민들은 지난해에도 장마와 냉해를 겪는 등 기후 변화로 인한 농업 피해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보호 대책 마련을 바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윤덕입니다.
촬영기자:정종배 윤진모
수확의 기쁨은 커녕 오히려 한숨만 쉬고 있는 농민들이 늘고 있습니다.
긴 가을장마 탓에 논에 병충해가 확산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수확해도 건질 게 없다며 논을 아예 갈아엎는 농민들도 있습니다.
서윤덕 기잡니다.
[리포트]
수확을 앞둔 논 들녘이 검붉게 변했습니다.
벼 이삭은 시들었고, 잎과 줄기는 말라 비틀어졌습니다.
깨씨무늬병과 도열병 등 병충해가 한꺼번에 번진 겁니다.
이 마을에서만 80%가량의 벼가 병충해를 본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한승희/벼 재배 농민 : "10%도 수확이 안 돼요. 지난해에도 수해를 입어서 또 수확을 못 봤단 말이에요. 올해는 또 이런 병충해로 인해서…"]
병충해는 충북뿐만 아니라 충남과 전북, 전남지역까지 확산한 상태입니다.
농촌진흥청은 전국 벼 재배 면적의 40%가량인 30만 6천여 ha의 논에서 병충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유달리 길었던 가을 장마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농민들이 트랙터를 이용해 논을 갈아엎고 있습니다.
이대로라면 벼를 수확해봐야 생산비도 못 건질 게 뻔하다는 겁니다.
농민들은 피해가 큰 만큼 피해가 심한 지역을 재해 지역으로 선포해 어려움을 덜어달라고 호소합니다.
[양정석/전국농민회총연맹 사무총장 : "콤바인이 들어가야 하는데 트랙터가 들어가는 정말 눈물 나는 현실입니다. 수수방관하지 마시고 반드시 농민들이 살 수 있는 재난지역으로 선포해서…"]
농민들은 지난해에도 장마와 냉해를 겪는 등 기후 변화로 인한 농업 피해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보호 대책 마련을 바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윤덕입니다.
촬영기자:정종배 윤진모
-
-
서윤덕 기자 duck@kbs.co.kr
서윤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