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복귀 피해 아동 10%는 또 학대 당해…방지 대책은?

입력 2021.11.19 (21:44) 수정 2021.11.19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부모에게 학대를 당한 어린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다시 가정으로 돌아가는데요.

이렇게 돌아간 피해 어린이 열 명 가운데 한 명은 또 학대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유는 뭔지, 막을 방안은 없는 건지 이어서, 박웅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9년, 자신의 말을 듣지 않는다며 7살 아들에게 신체적 학대를 일삼은 30대 미혼모.

법원에서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를 선고받았습니다.

접근금지 명령까지 선고받은 이 여성은 뒤늦게 반성하며 변화를 위한 노력을 시작했습니다.

담당 보호관찰관과 1년 넘게 상담하며 양육 태도를 바꾸는 데 힘쓴 결과, 피해 아동을 가정으로 돌려보내도 된다는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양지혜/군산보호관찰소 주무관 : "직업 훈련도 시켜주면서 사회로 나와서 여러 사람들과 교류하다 보니까 본인이 '이렇게 잘못된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있었구나'라는 것을 깨달은 것도 같고…."]

학대를 당한 분리됐던 아동들이 보호자의 양육 태도 변화로 다시 가정으로 돌아간 사례는 한해 전국적으로 1,000건 안팎에 이릅니다.

하지만 가정으로 다시 돌아간 피해 아동의 10% 정도는 다시 학대를 당하고 있습니다.

[유경화/전라북도 아동보호전문기관 사무국장 : "부모가 양육 기술들을 제대로 알지 못해서 아이들에 대해서 행동에서 훈육하는 방법들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다 보니까 결국은 아이들을 다시 한번 예전과 같은 똑같이 체벌하게 되고…."]

사후 관리가 중요한 이유입니다.

현재 재결합 가정을 일정 기간 살피는 건 각 지역 아동보호전문기관입니다.

하지만 전국 75곳 밖에 안 되는 데다 상담원 1명이 60에서 70건의 사례를 관리하다보니 한계에 이르고 있습니다.

[정재훈/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아동보호전문기관) 1인당 맡고 있는 사례 건수를 지금의 거의 절반 정도로 줄여줄 정도로 인력이나 예산이 보완이 되어야 된다."]

전문가들은 또 아동의 가정 복귀 여부를 판단할 때 가해자보다 피해 아동의 시각으로 접근해 결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박웅입니다.

촬영기자:김경섭/그래픽:김종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정 복귀 피해 아동 10%는 또 학대 당해…방지 대책은?
    • 입력 2021-11-19 21:44:29
    • 수정2021-11-19 22:00:38
    뉴스9(전주)
[앵커]

부모에게 학대를 당한 어린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다시 가정으로 돌아가는데요.

이렇게 돌아간 피해 어린이 열 명 가운데 한 명은 또 학대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유는 뭔지, 막을 방안은 없는 건지 이어서, 박웅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9년, 자신의 말을 듣지 않는다며 7살 아들에게 신체적 학대를 일삼은 30대 미혼모.

법원에서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를 선고받았습니다.

접근금지 명령까지 선고받은 이 여성은 뒤늦게 반성하며 변화를 위한 노력을 시작했습니다.

담당 보호관찰관과 1년 넘게 상담하며 양육 태도를 바꾸는 데 힘쓴 결과, 피해 아동을 가정으로 돌려보내도 된다는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양지혜/군산보호관찰소 주무관 : "직업 훈련도 시켜주면서 사회로 나와서 여러 사람들과 교류하다 보니까 본인이 '이렇게 잘못된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있었구나'라는 것을 깨달은 것도 같고…."]

학대를 당한 분리됐던 아동들이 보호자의 양육 태도 변화로 다시 가정으로 돌아간 사례는 한해 전국적으로 1,000건 안팎에 이릅니다.

하지만 가정으로 다시 돌아간 피해 아동의 10% 정도는 다시 학대를 당하고 있습니다.

[유경화/전라북도 아동보호전문기관 사무국장 : "부모가 양육 기술들을 제대로 알지 못해서 아이들에 대해서 행동에서 훈육하는 방법들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다 보니까 결국은 아이들을 다시 한번 예전과 같은 똑같이 체벌하게 되고…."]

사후 관리가 중요한 이유입니다.

현재 재결합 가정을 일정 기간 살피는 건 각 지역 아동보호전문기관입니다.

하지만 전국 75곳 밖에 안 되는 데다 상담원 1명이 60에서 70건의 사례를 관리하다보니 한계에 이르고 있습니다.

[정재훈/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아동보호전문기관) 1인당 맡고 있는 사례 건수를 지금의 거의 절반 정도로 줄여줄 정도로 인력이나 예산이 보완이 되어야 된다."]

전문가들은 또 아동의 가정 복귀 여부를 판단할 때 가해자보다 피해 아동의 시각으로 접근해 결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박웅입니다.

촬영기자:김경섭/그래픽:김종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