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FDA, 화이자·모더나 추가접종 “성인 전체로 확대”

입력 2021.11.20 (07:08) 수정 2021.11.20 (07: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 식품의약국이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의 3차 접종을 모든 성인으로 확대했습니다.

백신 효과가 여섯 달이 지나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된 데다 확진자 수가 다시 늘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스라엘을 필두로 3차 접종을 의무화하는 나라들도 늘고 있습니다.

워싱턴 김양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 식품의약국, FDA가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의 3차 추가 접종 대상을 모든 성인으로 확대했습니다.

지난 9월 65살 이상 노인과 고위험군에 한해 추가접종을 승인했던 것에서 대상을 전격 확대한 겁니다.

겨울철을 맞아 코로나 확진자와 입원환자 수가 증가추세로 돌아선 점이 반영됐습니다.

[로셸 월렌스키/미 질병통제예방센터 국장 : "백신을 맞지 않은 이들이 가장 위험도가 높지만, 최근 65세 이상 성인의 응급실 이송이 다시금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6달이 지나면 효능이 크게 감소하고 돌파감염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 보건전문가들은 모든 성인에 대해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6달, 얀센 백신은 접종한 지 2달이 지났다면 추가접종을 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앤서니 파우치/미 백악관 코로나19 대응팀 수석 고문 : "지금 당장 백신을 맞으세요. 더 중요한 것은, 백신을 맞은 지 6달 혹은 그 이상이 지났다면 추가접종 대상입니다. 추가접종하세요."]

일부 선진국들은 이미 추가접종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과 오스트리아는 백신 3차 접종을 끝내야 백신 패스 사용이 가능하도록 정책을 변경했고, 프랑스도 65세 이상의 경우 추가 접종을 의무화한다는 방침입니다.

일찌감치 백신을 맞기 시작해 접종률이 높은 나라일 수록 시간이 지날 수록 추가접종이 필요하다는 결정을 내리고 있습니다.

그만큼 코로나의 기세가 꺾이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FDA, 화이자·모더나 추가접종 “성인 전체로 확대”
    • 입력 2021-11-20 07:07:59
    • 수정2021-11-20 07:41:22
    뉴스광장
[앵커]

미국 식품의약국이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의 3차 접종을 모든 성인으로 확대했습니다.

백신 효과가 여섯 달이 지나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된 데다 확진자 수가 다시 늘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스라엘을 필두로 3차 접종을 의무화하는 나라들도 늘고 있습니다.

워싱턴 김양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 식품의약국, FDA가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의 3차 추가 접종 대상을 모든 성인으로 확대했습니다.

지난 9월 65살 이상 노인과 고위험군에 한해 추가접종을 승인했던 것에서 대상을 전격 확대한 겁니다.

겨울철을 맞아 코로나 확진자와 입원환자 수가 증가추세로 돌아선 점이 반영됐습니다.

[로셸 월렌스키/미 질병통제예방센터 국장 : "백신을 맞지 않은 이들이 가장 위험도가 높지만, 최근 65세 이상 성인의 응급실 이송이 다시금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6달이 지나면 효능이 크게 감소하고 돌파감염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 보건전문가들은 모든 성인에 대해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6달, 얀센 백신은 접종한 지 2달이 지났다면 추가접종을 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앤서니 파우치/미 백악관 코로나19 대응팀 수석 고문 : "지금 당장 백신을 맞으세요. 더 중요한 것은, 백신을 맞은 지 6달 혹은 그 이상이 지났다면 추가접종 대상입니다. 추가접종하세요."]

일부 선진국들은 이미 추가접종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과 오스트리아는 백신 3차 접종을 끝내야 백신 패스 사용이 가능하도록 정책을 변경했고, 프랑스도 65세 이상의 경우 추가 접종을 의무화한다는 방침입니다.

일찌감치 백신을 맞기 시작해 접종률이 높은 나라일 수록 시간이 지날 수록 추가접종이 필요하다는 결정을 내리고 있습니다.

그만큼 코로나의 기세가 꺾이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