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에 환경·사회 책임 강화…제도·인력은 미흡

입력 2021.11.30 (19:24) 수정 2021.11.30 (19: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기업에도 사회적인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관련 규제도 강화되고 있는데요.

지역 기업들도 경영환경을 개선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 제도적인 뒷받침이 부족해 속도를 내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박준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기후변화 위기에 대비해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문재인 정부.

기업에게도 탄소배출 감소 등 사회적 책임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친환경 신소재로 맨홀 뚜껑을 개발한 이 업체는 정부 규제 때문에 제품 인증을 받는 데만 4년이 넘게 걸렸습니다.

[최윤호/친환경 소재 개발업체 대표 : "(맨홀 뚜껑) 소재를 한정해 놓으니까 공공기관에서 (신소재를) 쓸 수가 없죠. 철근, 강판, 콘크리트만 쓰도록 못을 딱 박아놨으니까 법으로..."]

투명한 지배구조와 노사관계 등의 기업 윤리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대구상공회의소 조사 결과 대구기업의 60% 이상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이른바 ESG경영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답한 이유입니다.

[남광현/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 : "사회적 전환이라던가 새로운 에너지 전환도 해야 되고, 새로운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 기업이 먼저 체질을 바꿔야 하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ESG경영에 대한 강조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마다 실정이 다르고 당장 투자 여력도 부족한 상황.

때문에 지역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의 실천 과제를 구체화하는 방안과 기업별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재하/대구상공회의소 회장 : "최근 ESG 경영이 가장 큰 화두입니다. 지역기업의 가치를 높이고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최근 유럽의 탄소세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한 규제도 대폭 강화되는 추세여서 지역 기업들의 발 빠른 대비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준형입니다.

촬영기자:한규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업에 환경·사회 책임 강화…제도·인력은 미흡
    • 입력 2021-11-30 19:24:15
    • 수정2021-11-30 19:57:58
    뉴스7(대구)
[앵커]

최근 기업에도 사회적인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관련 규제도 강화되고 있는데요.

지역 기업들도 경영환경을 개선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 제도적인 뒷받침이 부족해 속도를 내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박준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기후변화 위기에 대비해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문재인 정부.

기업에게도 탄소배출 감소 등 사회적 책임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친환경 신소재로 맨홀 뚜껑을 개발한 이 업체는 정부 규제 때문에 제품 인증을 받는 데만 4년이 넘게 걸렸습니다.

[최윤호/친환경 소재 개발업체 대표 : "(맨홀 뚜껑) 소재를 한정해 놓으니까 공공기관에서 (신소재를) 쓸 수가 없죠. 철근, 강판, 콘크리트만 쓰도록 못을 딱 박아놨으니까 법으로..."]

투명한 지배구조와 노사관계 등의 기업 윤리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대구상공회의소 조사 결과 대구기업의 60% 이상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이른바 ESG경영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답한 이유입니다.

[남광현/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 : "사회적 전환이라던가 새로운 에너지 전환도 해야 되고, 새로운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 기업이 먼저 체질을 바꿔야 하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ESG경영에 대한 강조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마다 실정이 다르고 당장 투자 여력도 부족한 상황.

때문에 지역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의 실천 과제를 구체화하는 방안과 기업별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재하/대구상공회의소 회장 : "최근 ESG 경영이 가장 큰 화두입니다. 지역기업의 가치를 높이고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최근 유럽의 탄소세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한 규제도 대폭 강화되는 추세여서 지역 기업들의 발 빠른 대비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준형입니다.

촬영기자:한규석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